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보행보조로봇 HMI 구현

        천정봉(J. B. Chun),이동광(D. K. Lee),공정식(J. S. Kong),고민수(M. S. Goh),이응혁(E. H.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1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최근에 고령자인구의 증가로 인해 고령자를 위한 보행보조로봇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 경사 등의 공간에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로봇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보행보조로봇 조종이 여의치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의지를 파악하고 조작이 쉽고 간결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자의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령자의 의지력은 FSR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고령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 방향과 이동속도 데이터를 계산하여, 보행보조로봇의 차량 속도와 방향에 대해 구동 바퀴의 차동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맞춰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하려는 의지에 대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지체장애인을 위한 정보 입력 장치의 구현

        천정봉(J. B. Chun),엄수홍(S. H. Eom),이동광(D. K. Lee),고민수(M. S. Ko),이응혁(E. H.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0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국내 보급되고 있는 장애인용 정보입력기기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입력장치이며, 특정 장애 유형과 특정 장애 부위에만 적용 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장애정도가 비교적 경도인 장애인의 특수 키보드 또는 특수 마우스 장치가 주류를 이룬다. 이 또한 전체 장애 인구에 비하여 보급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인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키보드와 마우스의 개별적인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가격을 낮추고 기능적인 면을 향상시켰다.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단어를 저장하여 손쉽게 사용 할 수 있는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키배열을 조정가능하며, 2개의키를 동시에 입력하는 기능키(조합키)를 하나의 키로 동작한다. 이를 통하여 정보 입력을 편리함을 강화하여 기존 장비와 비교하였을 경우 정보 입력의 속도는 개발된 키보드 입력장치를 이용하였을 경우 평균 분당 20.7 타의 속도와 19.1%의 정확도, 마우스 입력장치를 이용 할 경우 평균 분당 24.5타의 속도와 6.2%의 정확도가 향상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