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형성요소로 본 인천광역시 유휴공장 재생 방안 사례 연구

        채창우 ( Changwoo Chae ),서동연 ( Dongyeon 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산업 발전의 주역이었던 공장들이 유휴 상태로 전환되면서 용도의 변경을 통해 도시 공간과 지역 사회 재활성화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장이 지역 재생을 위한 거점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장소 개념을 도입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유휴공장 중 재생된 3곳과 아직 유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3곳, 총 6곳의 대상지를 선정하였고, 재생된 3곳(주안철강공장, 조양방직공장, 코스모화학공장)을 대상으로 장소형성 요소가 도입된 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장소 형성 요소는 선행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공간환경요소와 활용요소, 의미요소로 분류하였다. 공간환경 요소는 주변 입지와 교통과 같은 광역적 맥락과 공장 구조물의 미시적 맥락으로 구분하였으며, 활용 요소는 인간의 점유를 의미하며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리모델링된 3개의 공장에서 나타난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인천광역시 내에 재생된 유휴공장들은 광역적 공간환경 요소들을 볼 때, 교통접근성이 양호한 공장단지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실질적으로 공장과 함께 있는 주거지와 문화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주변 시설들의 성격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미시적 공간환경 요소에서는 기존의 공장 구조물이 갖고 있는 물적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개조된 부분을 이와 대조시키려는 전략, 활용 요소에서는 카페와 전시라는 문화 상업시설이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결론) 다양한 장소 요소들은 상호관계를 통해 고유성을 부여한다. 현재 공장의 구조물을 최대한 보존하려는 전략과 균질한 문화 상업공간은 서로 다른 광역적 맥락을 갖는 3개의 유휴 공간에 어느 정도 균질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들은 매우 매력적인 공간으로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광역적 맥락의 공간환경 요소가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할 때 이 지역의 재생을 이끄는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factories have been converted into idle buildings, they have begun to play a major role in the revitalization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idle factories become a base for regeneration with the Idea of the place. There are 6 sites of idle factories which were 3 regenerated and 3 remained, and the study analyzed 3 regenerated sites. In conclusion, this analysis confirme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focus. (Method)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place are set up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utilization, and sense by re-extracting the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 such as place marketing and placemaking based on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the place.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a broad context such as surrounding location and traffic infrastructure and the micro context of factory structures. The utilization is a program that includes the meaning formed from human/cultural facto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human beings. Finally applied these factors to regenerated idle factories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hose places. (Results) The idle factories regener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have commonalities in that they are located in the factory area with good traffic accessibility when they look at the wide-area physical environme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that can be culturally linked to the residential area with the idle factories. In a factory structures environment factors, 3 sites have a common condition which as preserving the existing structures or facilities and make a contrast with new materials of an extension and modification part. In the activity factors, a program of the idle factories is converted to cultural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and exhibitions. That makes commonalities of regeneration result and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o be weak. (Conclusions) The determinant factors of place give uniqueness through mutual relations. Currently, the strategy to preserve the structure of the factory as much as possible and a converted program like a cultural commercial space create some homogeneity in three idle spaces with different broad contexts. Although they are actively used as very attractive spaces, There is a weakness in identity from other regenerated factories. If they using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broader context more actively, they could be an anchor facility for the regeneration of this area.

      • 골재의 입도변화와 투수특성에 따른 동상 특성

        송창섭 ( Chagseob Song ),채창우 ( Changwoo Chae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도로를 건설하면서 조건을 충족시키는 재료인 강자갈 등 천연재료를 주로 사용하여 왔지만 교통량의 급증에 따른 많은 도로건설로 인하여 천연재료의 고갈을 초래하였다. 이로 인하여 도로건설에 있어서 시방규정과 요구조건들을 만족하는 도로포장 재료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도로건설수요의 급증은 천연재료의 고갈과 환경적 영향을 초래하였고, 소요품질을 만족하는 골재 소요량을 확보하는것이 어렵게 되었으며 이의 대처방안의 하나로 석산골재를 파쇄 하여 소요품질과 입도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입도를 조정하여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재료로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표토나 점토 등이 함유될 경우 재료의 역학적 특성, 투수특성 및 동상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포장층의 일부인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의 재료로 인위적인 생산재료(석산개발, 유용암석재료 등)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크리닝스(Screenings)의 함유량에 따라 보조기층이나 동상방지층의 기능성이 달라지게 된다. 즉, 재료의 품질이 저하되고, 포장수명, 성토구간의 침하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스크리닝스가 과다하게 함유됨으로서 배수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동해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지지력 저하 및 압밀침하 등이 발생하여 포장구조에 부적합한 재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층재로 주로 사용되는 SB-2의 조골재와 세골재를 분리한 후, 조골재와 세골재의 비율에 따라 시료를 조제하여 다짐시험, 투수시험, 동상시험을 수행하여 재료의 역학적 특성, 동상특성 및 투수특성을 규명하여, 동상방지층의 골재 입도 기준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 다짐시험 장비간 지반계수 추정방안

        박병현 ( Byunghyun Pak ),이준헌 ( Junheon Lee ),채창우 ( Changwoo Chae ),이주형 ( Juhyung Lee ),이명구 ( Myunggu Lee ),송창섭 ( Changseob S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technology by various testing devices for measuring degree of compaction. The methods for quality control for compaction are very various. But, normally the specifications have provided PBT(Plate Bearing Test) method when inspector tested quality control. In spite of the PBT has a few weak points to reduce process and cost. In order to improve quality control method, analyzed in-situ test results between PBT and other devices.(LWDT and Geogau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