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출신 이주청소년들이 경험한 초국적 불안정성 -학력 중단 이후 교육 및 진로탐색 경험을 중심으로-

        채소린(Chai, So-Li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기에 부모가 있는 한국으로 이주하게 된 조선족 청소년들의 교육과 진로탐색 경험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한중 양국 모두에서 사회의 중심부로 통합되기 어려운 현실에 주목하였다. 즉, 이주 과정에서 학력 중단을 경험한 이주청소년들의 교육과 노동 경험 분석을 통하여 이들 삶의 초국적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대안적 사유를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이주청소년들은 한국과 중국 모두에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한국과 중국 그 어디에도 뿌리 깊이 정착하지 못한 채 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처해있었다. 가족, 교육, 노동, 국가와 맺고 있는 관계가 총체적으로 불안정한 가운데 이주청소년들의 한국 사회 적응과 통합을 위한 각종 실천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이주노동자의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이주청소년들이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청년 프레카리아트 집단으로 남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사회적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주청소년에 관한 지원정책과 사회적 인식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주청소년들의 교육권과 직업선택권이 더욱 다양한 차원에서 보장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도입국청소년 지원정책이 변화해야 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한국 이주 후 직면했던 학력 중단 경험, 진로계획의 부재, 학교 밖 학력 취득의 어려움, 직업교육 이후의 안정적 일자리 확보의 어려움 등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가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주류사회 진입과 사회적 이동 가능성 확보’라는 측면으로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시대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이주청소년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에서 청년기로 이행하고 있는 이주청소년들에 대한 관점을 전환해야 한다. 이주청소년이 갖고 있는 한국 생활에 대한 기대와 청년으로서 열망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은 이주노동자로서의 삶에 국한되어 있지 않았다. 이들은 한국 이주 후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문화적, 지적 성장을 지속하며 상향이동 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향후에는 이주청소년들이 한국 주류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도입국청소년 정책과 사회통합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Korean-Chinese youths who migrated to South Korea in their teenage years to be integrated into the center of society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lternative thoughts to reduce the transnational precarity of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of migrant youths who experienced school dropout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ut-of-school migrant youths were connected to both South Korea and China, but at the same time, were in a paradoxical situation of being located on the social margins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migrant workers as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education, labor, and the state were generally precarious. Therefore, in order for migrant youths to move to a more stable social position rather than remain as a youth precariat group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it is necessary to change policies and social perceptions regarding migrant youth.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for migrant youth in such a way that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choose a job can be guaranteed in more diverse ways. Therefore, the policy goal needs to be readjusted in terms of Securing the possibility of entry into South Korea s mainstream society and social mobility of immigrant youths .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migrant youths who spend their adolescence in South Korea and are transitioning to adult. The future they aspire to as a young people were not the lives as migrant workers. In the future,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needs to be readjusted in such a way that migrant youth can enter South Korea’s mainstream society.

      • KCI등재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연구

        박주연(Juyeon Park),남영옥(Yeongok Nam),채소린(So-lin Cha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는 대학에서 AI 챗봇의 수업 활용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대한 대학교수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대, 전공계열, 직위)과 AI 챗봇에 대한 인식과 이해 수준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총 126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서술형 응답은 주제 분석과 워드 클라우드분석을 통해 키워드를 도출하고, AI 챗봇 이해도, 활용 의지, 교육 필요도의 차이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85.7%의 교수가 수업에 AI 챗봇을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둘째, 교수들은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신기술 활용 경험, 수업의 개별화와 다양성 확보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었다. 셋째, AI 챗봇의 사용으로 인한 윤리적 문제와 창의성 저하 등에 대한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수의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라 AI 챗봇의 이해도와 활용 의지에 차이가 있었고, 직위에 따라 활용 의지와 교육 필요도에 차이가 있었지만, 연령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ulty's perceptions of AI chatbots' educational us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aculty at K University in Seoul, and a total of 126 responses were analyzed. We derived keywords through both thematic analyses and word cloud analyses and used MANOVA to validate distinctions in AI chatbots comprehension, usage intention, and training requiremen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85.7% of professor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use AI chatbots in their teaching. Secondly, faculty anticipated benefits, including gaining experience with new technologies, individu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lasses in the educational use of AI chatbots. Thirdly, they had concerns about ethical issues and reduced creativity caused by the use of AI chatbot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I chatbot comprehension and usage intention depending on the faculty's gender and major field, and in usage intention and training needs depending on faculty statu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grou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