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대중 중심적인 인공지능에 대한 논의 쟁점 도출 및 활용

        심지원 ( Jiwon Shim ),채선규 ( Sungeu Ch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알파고의 등장으로 인해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들의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들, 자율 주행 자동차, 왓슨 그리고 거대 산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알고리듬이 적용되어 성과를 내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의 확산과 더불어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인공지능이 적용되는 특정 분야에 대한 학계의 관심에 의하여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대중들이 인공지능의 확산에 대하여 우려하는 바가 반영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견을 검열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중들이 인공지능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어떠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As a result of interest in the relatively recent success of AlphaGo, social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ncreasing, and with such social expect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a variety of fields and achieving numerous results.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artificial intelligence, various ethical issues of them are actively discussed to discuss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However, these discussions are largely driven by academic interest in specific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be concerned about the prolif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reflect these interests, it analyzed the data from social networks, inquired about what kind of concerns are discussed within the public, and derived ethical discussion from them.

      • KCI등재후보

        디지털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기후 변화

        최은주 ( Eunjoo Choi ),이은정 ( Eunjung Lee ),채선규 ( Sungeu Chae ),심지원 ( Jiwon Shim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0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6 No.-

        디지털 미디어에서 기후변화의 문제는 큰 비중으로 왜곡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힘입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전국 여러 기관에서 강조되고 있으나 정작 그 접근 방법은 미디어의 포괄적인 분석을 통한 탈진실의 문제 인식 정도로만 그치고 있다. 특히 기후 변화 문제는 국가 및 이익단체의 필요에 따라 자신들에게 유리한 자료만 활용하는 식이며, 검증에 대해서도 굴절된 기준을 마련하면서 과학적 증거를 교란시키고 있다. 또한 미디어의 역사가 디지털화되면서 미디어의 기존 속성인 ‘의도’(intention)는 디지털 환경의 ‘추천 알고리듬’ 등을통해 더욱 심각해지면서 편파적이 되고 있다. 환경 캠페인과 단체가 꾸준히 벌여온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 변화를 인식하는 사람이 미국의 경우 27%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기후 변화가 실재한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심각성은 차지하더라도, 기후 변화가 실재한다는 사실조차 날조되고 있으므로 일반인들은 혼란을 겪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가 인간 주체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시키는 만큼 제대로 된 삶의 터인 환경에 대한 ‘앎’에 접근할 수 있는 스스로 권리를 찾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In digital media,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is distorted to a large extent. Due to this,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is being emphasized by various institutions nationwide, but its approach is limited to recognizing the problem of post-truth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dia.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issues are based on the needs of the state and interest groups, using favorable data, and disrupting scientific evidence by setting refractory verif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as the history of the media has become digital, the existing attribute of the media, “intention,” is becoming more serious and biased through the “recommended algorithm” of the digital environment. Despite the ongoing efforts of environmental campaigns and organizations, only 27% of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re aware of climate change, and the rest are unaware that climate change is real. Although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is accounted for, the fact that climate change is real is being fabricated, and the general public is confused. As digital media affects and alters human subjects, this research is necessary to help them find their own right to “know” about the environment, which is a proper place to l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