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대형 민자사업 효과의 감소원인에 대한 사업외 지역의 조사 및 분석

        채명병(Chae, Myungbyung),배영혜(Bae, Younghye ),김형수(Kim, Hungsoo)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BTL(Build-Transfer-Lease)방식에 의한 하수관로정비 사업이 2008년 이후 순차적으로 준공됨에 따라 사업효과가 가시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사업효과가 감소되고 있는 지역도 있어 감소 원인에 대한 조사·분석 및 대책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효과가 감소하고 있는 3개 지역을 선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운영 자료를 토대로 BTL 사업 내⋅외 지역에 대한 수질(BOD), 침입수/유입수(I/I) 조사를 실시하여 사업효과 감소 원인을 분석하였다. 수질을 조사한 결과, BTL사업 외 지역은 38.1~136.1 mg/L, BTL사업 지역(성과보증지점)은 14.0~171.8 mg/L이었다. 침입수의 경우, BTL사업 외 지역의 침입률은 3.6~76.2%, BTL사업 지역(성과보증지점)은 1.6~29.2%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경우, BTL사업 외 지역의 유입수량은 2.8~1,720.7 ㎥, BTL사업 지역(성과보증지점)은 0~2,124.0 ㎥이었고, BTL사업 외 지역의 비유입수량은 0.2~24 ㎥/mm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업외 지역의 하수관로 미정비, 배수설비 정비 불가 및 오접 등으로 인하여 다량의 하수가 사업내 지역으로 유입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업외 지역이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 감소 원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wer pipe improvement projects by build-transfer-lease (BTL) method were consecutively completed after 2008,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ted projects have been reported. However, certain areas with completed projects suffered from reduced effectiveness due to some factor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project effectiveness. Three study areas which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as reducing were chosen for the caus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reduc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infiltration/inflow (I/I) from inside and outside area of BTL project. The BOD and I/I were obtained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operation data. The water quality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BOD outside the BTL project area was 38.1-136.1 mg/L; the BOD inside the project area (performance guarantee point) was 14.0-171.8 mg/L. The results of I/I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penetration rate of infiltration outside the BTL project area was 3.6-76.2% and the rate inside the project area (performance guarantee point) was 1.6-29.2%. Inflow volume outside the BTL project area was 2.8-1,720.7 m³ while the volume inside the project area (performance guarantee point) was 0-2,124.0 m³. Inflow rate per rainfall was 0.2-24 m³/mm outside the BTL project area and 0-16.8 m³/mm. In summary, the reduction in project effectiveness was mainly influenced by factors from outside the project area. Thus, we have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sewer systems through consist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 KCI등재

        차집관로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 감소 원인 분석

        채명병(Myungbyung Chae),배영혜(Younghye Bae),김형수(Hungsoo Kim)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3

        차집관로는 국유지가 많은 하천변에 매설되어 있어 파손이나 침입수/유입수(불명수, I/I) 의 유입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효율이 떨어지며, 하수관로 정비사업의 효율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수관로 정비사업 효과의 감소원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차집관로를 대상으로 감소원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즉, 대상지역 3개소를 선정하여 차집관로의 현황조사(관로연장, 관경, 관종, 매설년도, 매설위치 등), 차집관로에 대한 차수(Pump 작업) 및 준설작업을 병행한 관로내부 (CCTV)조사, 맨홀내부(육안)조사, 유량 및 수질조사 결과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 등을 수행하였다. 합류지역은 동시다측점 유량조사와 차집관로 유량 및 수질(BOD)조사, 오염부하량 비교 등을 수행하였으며, 차집관로 부실화에 따른 침입수/유입수 발생 현황 등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은 차집관로의 노후화및 미정비로 인해 공공 하수처리시설로 저농도 하수 및 불명수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nterceptor sewer is installed underground near to the river side mostly ofstate-owned land and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public sewage disposal facilities is decreasing as too much infiltration/inflow(I/I) and river flow to interceptor sewer are caused by broken or deteriorated sewer. This also affects the sewer pipeline project and decreases its efficienc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ceptor sewer which has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the project effect. The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for three study areas. The study includes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condition of interceptor sewer(sewer extension, pipe diameter, pipe type, installed year, installed locations, etc), investigation of inside of sewer by CCTV accompanied by pumping and dredging works where required, investigation of inside of manholes by eyes,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 using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flow quantity and quality. Multipoint investigations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for flow quantity at confluence area and other investigations were also performed for flow quantity and BOD for interceptor sewer and comparison of pollutant load, investigation of infiltration/inflow(I/I) caused by deterioration of interceptor sew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a main reason for reduced effect of sewer pipe improvement project was analyzed as the low-density sewage and I/I in public seweage treatment Facility due to deteriorated and unmanaged interceptor sewers.

      • KCI등재

        물수지 방법을 이용한 산지습지의 유출 변동성 분석

        오승현(Seunghyun Oh),김정욱(Jungwook Kim),채명병(Myung-Byung Chae),배영혜(Younghye Bae),김형수(Hung Soo Kim)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3

        산지습지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는 것은 산지습지의 지속적인 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경남 양산시의 금정산에 위치한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우 및 습지 수위의 관측값을 분석한 결과, 습지 내 양(+)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8일에 한번 10mm이상의 강수가 발생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산 기상관측소의 수문기상 자료들을 이용하여 2009년에서 2017년까지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2010년, 2012년, 2015년에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내려 습지 내 물 부족이 발생하였다. 특히, 여름철에 강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내려 바로 유출되었기 때문에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장군습지의 육화 및 건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습지로 유입되는 물길을 확장하고, 작은 둑을 쌓아 물을 저장함으로써 유출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등 적정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water balance in the mountain wetland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wetland. In this study, the SWA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water balance of Janggun wetland located in Geumjeong mountain of Gyungnam province, Korea. The data such as rainfall and water level measured in Janggun wetland were used for water balance analysis and from the analysis we have known that the rainfall of 10mm within 8 days is required for maintaining an appropriate water level in Janggun wetland. Also, water balance analysis in the wetland for the period of 2009 to 2017 was performed by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obtained from Yangsan weather station which is located around Janggun wetland. From the analysis results, we have known that the amount of rainfall was relatively small in 2010, 2012 and 2015 and water shortage was occurred in the wetland. Especially, water shortage was occurred during the summer that we had intensive rainfall for very short time and faster removal of the runoff from the wetland. Therefore, we may need extend water courses from a wetland watershed to the wetland for preventing land-forming of the wetland and also store water by banking up the wetland for preventing the decrease of water level in the wet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