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웹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추출 패턴(lexico-syntactic pattern) 자동 구축

        차정원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5 공업기술연구 Vol.5 No.-

        This paper describes a new metho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ext on disaster combining linguistic patterns and surface patterns. We give key words to web search engine and download documents. We get linguistic patterns after the full parsed documents and surface patterns after named entity tagged documents. In experiments with test corpus, we achieve 45% of template level classification and 34% of feature level classification.

      • KCI등재

        Li<sub>2</sub>B<sub>4</sub>O<sub>7</sub> 단결정의 TSDC에 관한 연구

        차정원,Cha, Jong Won 한국안광학회 1998 한국안광학회지 Vol.3 No.1

        $Li_2B_4O_7$의 완화현상은 이온 깡총뛰기에 의한 것과, 공간전하에 의한 완화현상의 두 가지 종류가 나타나며 이들의 완화시간은 실온 이상에서 모두 $10^2sec$보다 짧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은 매우 낮은 주파수 (mHz 혹은 Hz)에서 나타나는 완화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30{\sim}500^{\circ}C$ 온도영역에서 TSDC(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 특성에 관한 실험과 사각형 파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유전특성 조사에 의하여 이온 및 전자 trap에 의한 완화특성을 논의하였다. TSDC 조사를 통하여 $Li_2B_4O_7$의 TSDC 전류곡선이 두 개의 anomaly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SDC 에서 나타난 anomaly는 공간전하보다 수천배나 더 긴 완화시간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저온 쪽의 anomaly는 공간전하 층에 수입된 전자들이 양의 공간전하 층에 trap 되어 공간전하의 재 분포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trap 되어 있던 전자와 이온이 서로 분리되면서 공간전하의 재 분포가 이루어지는 전도기구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고온쪽의 anomaly는 음의 전하운반자가 전극에 흡착되어 나타나는 완화 mechanism으로 생각된다. The TSDC(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in the temperature range $30{\sim}500^{\circ}C$. We observed the anomalous two peaks that have a thousand times longer relaxation time than that of the space charge. It seems that the origin of the two peak are due to the electron trapping effect and to the adsorption of the vacancies at silver electrode.

      • KCI등재후보

        직경 2m급 반사면을 가지는 태양열 집광 장치 개발

        차정원,이동희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4

        Purpose: To develop a solar concentrator having the reflecting surface with the 2m class diameter. Methods: In order to make the reflecting surface for the solar concentrator, the shape of the reflecting surface sector is required. So, first, we induced the formula that can produce this shape. After that, using Delphi 6.0 language, we developed a program which uses this formula and produces the shape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reflecting surface sector with the input variables such as the external diameter of the reflecting mirror, the reflecting mirror's radius of curvature at the paraxial range, the number of reflecting mirror sector, the size of the center hole of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interval of the output data. Results: This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produce the shape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reflecting surface sector, enables us to see the shape of sector on the monitor and to save the numerical data files for the shape of sector. As a result, the user of this program can easily access the numerical data of the reflecting surface sector. Conclusions: Developing the program which produce the reflecting surface sector used to make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solar concentrator, we could succeed in making the prototype products by applying it to the development of the real solar concentrator with the diameter of the 2m class. 목적: 직경 2m급 반사면을 가지는 태양열 집광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태양열 집광 장치 반사면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에 사용될 반사판 섹터의 형상이 필요한데 먼저 이 형상을 도출할 수 있는 공식을 유도하였다. 반사 경 외형 직경, 근축영역에서의 반사경 곡률반경, 반사경 섹터의 개수, 반사경 중심 홀의 크기, 출력 데이터의 간격 을 입력 변수로 하여 반사면 섹터의 형상과 수치 데이터를 상기 공식으로 도출하는 프로그램을 델파이 6.0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반사면 섹터의 형상과 수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반사면 섹터의 형상을 모니터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형상에 대한 수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 사용자는 반사면 섹터의 수치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결론: 태양열 집광 장치 반사면 제작 에 사용되는 반사면 섹터를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직경 2m급 태양열 집광장치 개발에 적용하여 시제품 제작에 성공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차정원,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family cohesion), peer environment(quality of peer relationship, peer bullying)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425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amily environment of adolescents directly affected peer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peer environment of adolescents directly affected self-esteem. Self-esteem was more highly affected by peer environment than family environment. Adolescents’ self-esteem direct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부모양육태도, 가족응집성), 또래환경(또래관계의 질, 또래 괴롭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 4개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 및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족환경은 또래환경에 직접적으로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이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가족환경보다 또래환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또래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고, 가족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또래환경과 자아존중감이 차례대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 또래환경,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근용 말렛검사와 CISS 증상설문지에 관한 연구

        차정원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Purpose: To research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a patient by using the CISS questionnaire before prescribing a prism based on the Mallett test or Sheard’s criterion under near work. In addition, to research methods of improving the CISS questionnaire. Methods: Near horizontal prism prescriptions were measured using Sheard’s criterion and the Mallett test. Eye symptoms were scored using CISS survey results from 49 test subjects who are university students, aged 20–40 years, who have no ophthalmological disease, no medical history of strabotomy, and corrected visual acuity over 0.9. Comparative analyses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CISS survey, the symptoms that students reported most frequently were feeling sleepy (81.6%), feeling tired (75.5%), trouble remembering (71.4%), and the highest scores were for feeling sleepy (2.7), feeling tired (2.4), and loss of concentration (2.4). In the CISS survey of patients who had not previously undergone a binocular test,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m of the scores of the 15 questions score and the two kinds of prism prescription results for near vision. The sum of the scores of seven questions (questions 1, 2, 3, 5, 8, 10, and 13)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heard’s criterion prescription result. The sum of scores of three questions (questions 6, 13, and 15)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e prism prescription based on the Mallett examination. Conclusions: When we use the CISS survey results of patients who have not undergone a binocular test, it is more useful to use the sum of questions #6, #13, and #15 than sum of all question scores in the Mallett test, and more useful to use the sum of questions #1, #2, #3, #5, #8, #10, and #13 than the sum of all question scores in the Sheard’s criterion. 목적: 근거리 작업시 말렛검사 또는 셔드기준에 의한 프리즘 처방을 하기 전에 CISS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상태를 잘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또한 CISS 설문지의 보완방법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방법: 안과 적으로 질환이 없고, 사시수술에 대한 병력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0.9 이상이고 연령이 20~40 세인 대학생 피검사자 49명을 대상으로 셔드기준과 말렛검사에 의한 근거리 수평방향 프리즘 처방값을 측정하고, CISS 설문조사를 통하여 눈과 관련된 증상을 점수화 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이 자료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CISS 설문조사 결과 조사대상 학생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것은 졸림(81.6%), 피곤함(75.5%), 기억하기 어려움(71.4%) 순으로 나타났고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졸림(2.7), 피곤함(2.4), 집중하기 어려움(2.4)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에 양안시 검사를 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CISS 설문 조사에서는 15항목의 설문점수 전체를 합한 것과 두 가지 근용 프리즘 처방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ISS 설문조사에서 설문1, 설문2, 설문3, 설문5, 설문8, 설문10, 설문13의 7개 합산점수가 셔드 기준에 의한 프리즘 처방 값과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6, 설문13, 설문15의 3개 합산점수가 말렛 검사에 의한 프리즘처방 값과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양안시검사를 하지 않은 환자의 CISS 설문조사를 사용할 때 CISS 설문조사점수 전체를 합하여 활용하기 보다는 말렛검사에서는 설문 #6, #13, #15의 점수 합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고, 셔드기준에서는 설문 #1, #2, #3, #5, #8, #10, #13의 점수 합을 이용하는 것이 더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선글라스 고객의 구매행태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분석

        차정원,최경서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g difference of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sunglasses purchasing behavior and thereby to suggest marketing implication for optical shops. Also the aim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buyer's sunglasses selection attributes and their sunglasses purchasing satisfaction. Methods: Customer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ne 20 to September 30, 2016, targeting general public living in Seoul, Gyeonggi-do, P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s. Questionnaire forms were made with Google questionnaire program, and then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SN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unglasses selection attributes are shown to be classified into 4 kind of factors, which is ‘Function oriented’, ‘Design oriented’, ‘Image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A customer who buys sunglasses lens with visual power correcting function prioritizes ‘Function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more than orthoptic sunglasses lens customer. As the purchase period got shorter, the average importance of ‘Image oriented’ tended to be higher. A sunglasses customer with 6 month~3 year purchasing span thinks ‘Image oriented’ is more importantly than an orthoptic sunglasses lens customer. As the purchasing price got higher, the average importance of ‘Function oriented’, ‘Image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were shown to be higher. A sunglasses purchasing place which has the highest average importance of ‘Function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is optical shop. A sunglasses purchasing place which has the highest average importance of ‘Image oriented’, is department store. An optical shop sunglasses buyer considers ‘Convenience oriented’ more importantly than internet sunglasses buyer. ‘Design oriented’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a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unglasses purchasing. Conclusions: ‘Function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must be emphasized to a customer who needs visual power correcting sunglasses lens. As the purchase period got shorter, the ‘Image oriented’ was more importantly considered, and it needs to be separated by every 3 years of purchasing span. ‘Function oriented’, ‘Image oriented’, and ‘Convenience oriented’ must be emphasized to a customer who pays higher purchasing price. Customers who buy sunglasses in optical shop considers ‘Convenience oriented’ most significantly ‘Design oriented’ is important for a sunglasses customer's satisfaction. 목적: 선글라스 구매행태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안경원의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객의 선글라스 선택속성과 선글라스 구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16.6.20~2016.9.30.의 시기에 서울경기지역 또는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설문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한 후 SN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23.0 통계 패키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요인분석 결과 선글라스 선택속성들을 ‘기능성 추구요인’, ‘디자인 추구요인’, ‘이미지 추구요인’, ‘편리함 추구요인’의 4가지의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교정 겸용렌즈를 구매하는 선글라스 소비자가 정시용 선글라스렌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보다 ‘기능성 추구요인’, ‘편리함 추구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주기가 짧을수록 ‘이미지 추구요인’의 중요도 평균값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3년 이내의 구매주기가 3년 이상의 구매주기로 선글라스를 구매하는 소비자보다‘이미지 추구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글라스 구입비용이 높을수록 ‘기능성 추구요인’, ‘이미지 추구요인’, ‘편리함 추구요인’의 중요도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추구요인’, ‘편리함 추구요인’의 중요도 평균값이 가장 높은 선글라스 구매 장소는 안경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추구요인’의 중요도 평균값이 가장 높은 선글라스 구매 장소는 면세점이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에서 선글라스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인터넷에서선글라스를 구매하는 소비자보다 ‘편리함 추구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디자인 추구요인’ 이 선글라스 구매‘만족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력교정겸용 선글라스 소비자에게는‘기능성 추구요인’과 ‘편리함 추구요인’을 강조해야 한다. 구매주기가 짧을수록 ‘이미지 추구요인’을 중요시 하며, 구매주기 3년을 기준으로 구분해야 한다. 구입비용이 높을수록 ‘기능성 추구요인’, ‘이미지 추구요인’, ‘편리함 추구요인’을 강조해야 한다. 안경원에서 선글라스를 구입하는 사람들은 ‘편리함 추구요인’을 가장 중요시 하므로 선글라스의 편의성을 극대화해야한다. 선글라스 고객의 만족도는 ‘디자인 추구요인’이 중요하다.

      • KCI등재

        안경렌즈의 응력이 시야선명도에 미치는 영향

        차정원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Purpose: To confirm whether the clearness of the eyeglasses lens is affected by strain exerted on the lens by the eye glasses frame and to study whether eyeglasses wearers perceive a blur to what they see. Methods: When strain is applied to the lens of the eyeglasses, the refractive power change or image blur was assessed using a strainer, auto lensometer, and cell phone camer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train score of the lens vs. eyeglasses clearness survey score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Results: It was difficult to find a large change in refractive power caused by strain on the len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yeglasses clearness survey score and total strain score of the len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as the strain applied to the lens increases, eyeglasses wearer perceive more blurring of vision. 목적: 안경테에 의한 압력이 안경렌즈에 응력을 발생시키면 실제로 안경렌즈의 선명도가 낮아지는지를 확인해보고, 안경 착용자가 흐리다고 느끼는지 여부에 관하여 조사한다. 방법: 왜곡검사기, 자동렌즈미터, 휴대전화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에 응력이 있을 때 굴절력변화 혹은 상의 흐림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렌즈에 발생한 응력점수와 안경선명도 설문조사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SPSS 23.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자동렌즈미터와 휴대전화기 카메라에서는 응력에 의하여 굴절력이 크게 변화하는 효과는 관찰하기 어려웠다. 안경 선명도설문점수와 렌즈내부 응력정도의 총점은 음의 상관관계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안경렌즈에 응력이 많이 생길수록안경착용자는 안경렌즈를 선명하지 않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케라토미터의 바이프리즘 원리를 이용한골프거리측정기에 관한 연구

        차정원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golf range finder which could measure exact distance from golfer to flag by using telescope and biprism. Methods: Golf range finder was made that included telescope and biprism which could move in the telescope, and an accuracy of the range finder was analyzed in distance range 20~200 m. Results: An equation was made for measuring distance which was related at position of biprism, and we could measure distance successfully by using developed golf range finder. Biprism of 2 Δ was useful to measure in short distance but it had bad accuracy in long distance, and 0.5 Δ was more useful in long distance. Image got worse when the biprism approch to focal point of objective lens for measurement in long distance, so we developed multi-layer biprism to prevent the weak point. Conclusions: Image stabilization by biprism for measuring distance was confirmed. Even if hand was moving, the distance could be measured well by using biprism, and we could find that the induced equation for distance measurement was useful. We found that multilayer biprism, which is was new developed, was more useful than general biprism when the biprism approched to focal point of objective lens for measurement in long distance, 목적: 본 연구는 망원경과 바이프리즘(biprism)을 이용하여 골퍼로부터 깃대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골프 거리측정기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망원경내부에 이동 가능한 바이프리즘을 포함시켜 골프거리측정기를 제작하였으며. 20~200 m 거리에서 제작된 거리측정기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바이프리즘의 위치에 따라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개발된 골프거리측정기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었다. 2 Δ의 바이프리즘이 짧은 거리의 측정에서는 유용했지만 먼 거리의 측정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먼 거리의 측정에는 0.5 Δ이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이프리즘이 대물렌즈의 초점부근으로 접근할 때 상이 나빠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층형 바이프리즘을 개발하였다. 결론: 바이프리즘을 이용하여 손떨림에 구애받지 않고 거리를 잘 측정할 수 있었으며 유도한 거리계산 방정식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이프리즘이 대물렌즈의 초점부근으로 접근했을 때 새로이 고안된 다층형 바이프리즘이 일반적인 바이프리즘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