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 여성의 마스크와 모자 설계를 위한 얼굴 및 머리 형태 유형화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패션에 관심이 많은 20대 전반 여성을 대상으로 마스크와 모자 개발에 필요한 얼굴과 머리형태를 분석하여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 소비자에게 적합한 마스크와 모자 설계에 필요한 치수 설정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맞음새 향상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제8차 한국인 인체측정 데이터 중 20-24세 여성의 얼굴 및 머리 관련 부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여성얼굴 및 머리부위를 구성하는 요인은 얼굴 및 머리 수직 요인, 얼굴 정면 너비 요인, 얼굴 및 머리두께요인, 얼굴 돌출 요인, 얼굴 수직 비율 요인, 눈 간격 요인 등 6개가 추출되었다. 20대 여성의 얼굴 및머리를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얼굴과 머리두께가 두껍고 눈 아랫부분과 코 아랫부분이 발달되어 있으며, 얼굴 및 머리 수직 길이가 길지 않고 얼굴도 돌출되어 있지 않은‘짧고 두꺼운 하관 발달형’이었다. 유형 2는 얼굴 및 머리가 길고 얼굴 정면 너비도 넓지만, 얼굴 및머리의 두께는 납작한 유형으로 ‘길고 넓은 납작형’이었다. 유형 3은 얼굴 및 머리가 길고 얼굴이 돌출되어 있으며, 눈과 눈 사이 간격이 넓은 유형으로, ‘길고 돌출된 넓은 미간형’이었다. 유형 4는 얼굴길이가 짧은 편이고 얼굴 정면 너비는 가장 좁으며, 얼굴 및 머리두께가 가장 납작했다. 또, 눈과 눈 사이가 가장 가까운 ‘짧고 작은 좁은 미간형’이었다. 마스크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도 얼굴의 돌출 정도, 코의 높이, 얼굴의 너비, 얼굴의 두께, 눈에서 턱까지의 길이, 코 아랫부분의 길이 등 다양한 부위의치수와 형태를 고려하여 마스크 패턴이 제작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모자의 경우 머리둘레뿐만 아니라 모자가 씌워지는 눈썹 위 머리의 깊이, 뒤통수의 형태 등에 따라 모자패턴이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생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형별 실제 마스크 및 모자 원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창의성 함양을 위한 한국무용의 교육적 가치

        차수정 한국무용예술학회 2011 무용예술학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make a foundation of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cultivating creativity, and to clarify its educational possibility and value of Korean dance as right education media for cultivating creativity being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society. Because Korean dance can freely adjust a change improvisedly and creatively without fixation on prepared forms and arrangements, it could become an effective educational basis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First, the fluency, originality and flexibility out of creativity can be cultivated by progressing a story-based dance drama including classic fairy tales. Second, as Korean dance can easily approach on Korean culture and history,the originality and flexibility out of creativity can be cultivated. Third, the fluency and imagination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a usage method of trifling articles, material and costume in Korean dance. Fourth, various ideas can be produced by improving sensitivity and fluency out of creativity through changes of various beats and rhythms. Fifth, the body is easily configured and visualized through narrative structure and material of Korean dance containing historicity. This can foster fluency, flexibility and abstractness of a title out of creativity. Sixth, the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capable of thinking this more deeply after learning Korean dance can be cultivated. Seventh, the delicacy and flexibility being developed more specifically could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by utilizing self-examination and inner expression contained in traditional dance. Like this, as Korean dance has a mutually close relationship with several factors of creativity, it is a field having high educational utilization. Accordingly, the active interest and continuous subsequent research are necessary from an education prospective.

      • KCI등재

        임산부용 레깅스 패턴 분석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pregnant leggings patter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ttern of commercial pregnant leggings. Pattern measurements, pattern shape, virtual simulation, cross-section diagrams, and air gap rate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of pregnant women's leggings patterns. The pattern of the M brand and U brand consisted of one sheet of the front and the back plates in the form of no sides, while the pattern of the N brand consisted of a side-line with separate front and back plates. The crotch length, including the abdominal partial panel width, was set long enough to cover the abdomen protruding from the fetus. The front crotch length including the abdominal panel width was set to 31.0-37.0cm, and the back crotch length was set to 33.0-40.0cm,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normal length setting of the pants and leggings patter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virtual wearing of pregnant leggings, the U brand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fitness, and the degree of wrapping of the abdomen and the comfort of the abdomen serv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criterion for the pregnant women In evaluating the amount of spare parts for pregnant women's leggings, the M-brand was rated as too large because the item called "leggings" was closely attached to the body and preferred to feel a little pul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attern considering this point because proper pulling is required for each part of the body. In the pattern design of maternity leggings, the pattern design of the abdomen tends to think that depressing the abdomen too much like a girdle has a bad influence on the fetus. So, it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excessive abdominal support and supporting function. The legs have experience wearing a lot of leggings before pregnancy, so it seems necessary to set a pattern size that can give a reasonable degree of stretchability without being too loose or tigh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present leggings with excellent fit through the design of maternity leggings pattern that reflects changes in body shape and needs of pregnant women. 본 연구는 시판 임산부 레깅스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임산부 레깅스 패턴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임산부 레깅스 패턴 비교를 위하여 패턴치수, 패턴형태, 가상착의, 단면도, 공극률 등을 분석하였다. M브랜드와 U브랜드 패턴은 옆선이 없는 형태로 앞몸판과 뒤몸판이 한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N브랜드 패턴은 앞몸판과 뒤몸판이 따로 분리되어 옆선이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임산부 레깅스여서 복부부분 패널폭을 포함한 밑위길이는 태아로 인해 돌출되는 복부를 감쌀 수 있도록 길게 설정되어 있었다. 복부패널 폭을 포함하여 앞밑위길이는 31.0-37.0cm로 설정되었고, 뒤밑위길이는 33.0-40.0cm로 설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팬츠 및 레깅스패턴의 밑위길이 설정과는 차이를 나타냈다. 임산부 레깅스의 가상착의 상태 외관평가 결과, U브랜드가 적합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임산부의 경우 복부를 감싸는 정도나 복부의 편안함 등이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작용하여 복부를 가장 많이 감싸는 U패턴이 높은 적합도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임산부 레깅스의 여유량 평가에서는 레깅스라는 아이템의 특성상 몸에 밀착되어 조금 당기는 느낌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너무 크다는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몸의 부위별로 적당한 당김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패턴설계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임부복 레깅스의 패턴 설계에 있어서 복부 부분의 패턴 설계로 거들처럼 지나치게 복부를 누르는 것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지나치게 압박을 주는 형태가 아닌 복부를 위로 올려주고 허리를 받쳐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리부분은 임신 전에 레깅스를 많이 착용해본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너무 헐겁거나 조이지 않는 적절한 정도의 신축성을 줄 수 있는 패턴 크기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산부의 체형 변화 및 요구를 반영한 임부복 레깅스 패턴 설계를 통해 착용감이 우수한 레깅스를 개발 제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60대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 연구 - 지수치를 중심으로 -

        차수정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ower body shape of 60-69-year-old males using index values based on height and weight, and set up cluster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dy type.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making ready-to-wear clothes suitable for the lower body of elderly men in 60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30 items related to the lower body of the direct measurement data of 142 elderly men aged 60-69 years from the 7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data of Size Korea.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Result The items related to height, width, circumference, length and weight of elderly men in their 60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item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ight.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height and lateral leg length. The lower body shape factor was extracted as the lateral size of the lower body to body weight,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lower body to h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body to body weight. The body type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with a longer lower body compared to height and moderate obesity, and one with shorter lower body compared to height and higher obesity at the abdomen and waist. Conclusion As body shape change increases with aging, it is thought that a study on the pants prototype and size system for elderly men in their 60s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ower body shap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important to analyze the lower body shape and standardize i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ready-to-wear clothes to improve the fit of the lower body clothing.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60-69세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을 키와 몸무게를 기준으로 한 지수치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군집을 설정하여 체형별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60대 노년 남성의 하반신에 적합한 기성복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이즈코리아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료에서 60-69세 노년 남성 142명의 직접측정 데이터 중 하반신 관련 30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60대 노년 남성의 키와 높이 관련 항목, 너비와 둘레, 길이 항목, 몸무게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께 항목은 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키와 다리가쪽길이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반신 체형 요인은 몸무게에 대한 하반신의 횡적크기, 키에 대한 하반신의 높이와 길이, 몸무게에 대한 하반신의 두께 요인 등 3개가 추출되었다. 60대 노년 남성의 체형은 키에 비해 하반신이 길고 비만도가 심하지 않은 체형과 키에 비해 하반신이 짧고 배와 허리 부분의 비만도가 높은 체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노화에 따라 체형변화가 커지므로 하반신 체형 분석 결과에 따라 60대 노년 남성을 위한 바지 원형 및 사이즈 체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하반신 의복 맞음새 향상을 위해 하반신 체형을 분석하고 기성복 개발에 맞춰 표준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비만도에 따른 20대 남성의 체간부 체형 유형화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20대 남성 체형의 비만도에 따라 신체 치수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체간부 체형을 분류해봄으로써 비만도에 따른 체간부 체형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이즈코리아의 제7차 인체치수조사데이터 중 20-29세 남성 83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에는SPSS Ver.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남성의 체간부 체형을 구성하는 요인은 체간부 수평요인, 체간부 수직요인, 가슴두께 비율요인, 어깨너비 요인, 허리두께 비율요인, 엉덩이두께 비율요인, 엉덩이처짐 요인, 상체길이 요인이 추출되었다. 20대 남성의 체간부 체형은 5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작은 역삼각 체형, 유형 2는 짧은 몸통 비만 체형, 유형 3은 긴 몸통 처진 힙비만 체형, 유형 4는 가슴 발달 애플힙 체형, 유형 5는 넓은 어깨 얇은 허리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20 대 남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간부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정상체중군은 유형 1, 과체중군은 유형 5, 비만군은 유형 2가 가장 많았다. 즉, 정상체중군은 체간부가 길고 어깨가 넓은 역삼각형 체형이 많았고, 과체중군은 어깨가 넓고 허리와 엉덩이가 얇은 체형이 많았다. 비만군은 체간부가 크고 짧으며, 허리가 두껍고 엉덩이가 처진 체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성복의 경우 사이즈가 커지면 길이도 같이 늘리는 그레이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비만 체형의 경우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간부 길이와 상체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평 방향의 사이즈를 키우더라도 수직 방향의 그레이딩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면 체형 특성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직 방향 그레이딩 방법에 대한 새로운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복부비만 중년 여성의 상의류 개발을 위한 복부 돌출 정도에 따른 앞처짐분 설정 연구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이면서 복부가 돌출된 중년 여성의 체형 특징을 고려하여 상의류 패턴 제작 시앞처짐분 설정 방법을 제시하고, 복부 돌출정도와 앞처짐분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맞음새가 우수한 복부 돌출 중년 여성용 상의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복부비만 여성에게 적합한 상의원형 제도법을 선정하기 위해 A, B, C 패턴 제도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앞면, 옆면, 뒷면에대한 외관평가에서 A 패턴과 B 패턴에 비해 C 패턴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C 패턴 제도법을 기본으로 하여 앞처짐분을 설정하였다. 1차 평가용 상의원형은 젖가슴둘레/24를 적용하여 유형 1이4.33cm, 유형 2와 유형 3이 4.29cm로 기존 앞처짐분에 비해 유형 1은 1.13cm, 유형 2와 유형 3은1.09cm 증가하였다. 그러나 돌출된 복부를 커버하지 못하였다. 2차에서는 젖가슴둘레/21로 앞처짐분량을 수정하여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 1은 앞처짐분이 4.95cm로 0.62cm 증가하였고, 유형 2와유형 3은 4.90cm로 0.61cm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복부 돌출로 뒤로 젖혀지는 자세로 변화되어 신체등길이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뒤중심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최종에서는 뒤중심길이는 등길이-1.0cm로 설정하고 앞처짐분은 젖가슴둘레/21로 설정하되 배둘레가 100.0cm를 초과하는 경우2.0cm가 증가할 때 0.1cm 씩 앞처짐분을 크게 설정하여 돌출된 복부를 커버하여 허리둘레선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복부가 돌출된 복부비만 중년 여성 체형에 적합한 앞처짐분 설정 방법에 있어 젖가슴둘레와 배둘레 치수를 반영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 전반사 장애를 이용한 멀티터치 시스템의 구현

        차수정,이구연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10 産業技術硏究 Vol.30 No.A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multi-touch system using FIDR. The implementation consists of hardware manufacture and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system. In the hardware system, touch screen, infrared LED placements and infrared camera are made. The image processing procedure is to extract each pointer's coordinates from image data and includes binary-coding, noise-elimination, labeling and calculation of mass center. From the implementation, we are able to make a multi-touch system with considerably lower cost than the existing ones.

      • KCI등재

        노년 남성의 보디스 패턴 비교-70-80대를 중심으로

        차수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6

        In this study, four types of bodice patterns of elderly males in their 70s and 80s were made, and appear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3D simulation. For objective evaluation, airgap, cross section, color distribution, etc. were analyz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patterns. The pattern shape of bodice for elderly males was a pattern without darts except for the L pattern. As a result of appearance evaluation for 3D simulation, the elderly males’ patter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atterns on the front, side, and back items, and the H pattern was analyzed as the best pattern in all items except the armhole shape on the sid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irgap, color distribution, and cross-section, the most suitable pattern for the elderly male’s body type was analyzed as the H pattern. Based on the H pattern, it i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a pattern suitable for the upper body shape of elderly male should be made.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70-80대 노년 남성의 보디스 원형 4종을 제작한 후 가상착의를 통해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성을 위해 공극률, 단면도, 색분포도 등을 분석하여 패턴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노년 남성용 보디스 원형의 패턴형태는 L패턴을 제외하고 모든 패턴이 다트가 없는 패턴이었다. 가상착의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노년 남성용 보디스 패턴은 앞면, 옆면, 뒷면 모든 항목에서 패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옆면의 진동둘레 형태를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H패턴이 가장 우수한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공극량, 색분포도, 단면도 등의평가에서도 H패턴이 가장 우수하여 노년 남성에게 가장 적합한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H패턴을 기준으로 노년 남성의 상반신 체형에 적합한 패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령사회의 노년 여성 체형보정 및 체형변화 지연을 위한 "ZIGTECHnology"의복 개발

        차수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1

        In this study, I tried to develop ZIGTECHnology clothing for renovation that can correct the body shape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aging and delay the change of body shape. Develop and suggest corrective clothing for elderly women with easy movement that can alleviate symptoms and delay changes in body shape by analyzing body types for each symptom, such as bending of shoulders, back and waist caused by aging and diseases such as spinal curvature. As a result of the wear evaluation of the developed ZIGTECHnology clothing designs 1, 2, and 3, in terms of functionality, Design 1 was evaluated as excellent by reducing the back angle by 3.17°, but design 3 was evaluated as the most excellent considering the fit. In the clothing of elderly women, the need for clothing that complements physical shortcomings increases, so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development of body shape relief devices should be made.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노년 여성 체형을 보정해주고 체형변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보정용ZIGTECHnology 의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척추의 만곡 등 노화 및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어깨, 등, 허리의 굽어짐 등의 증상별 체형을 분석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체형의 변화를 지연시킬 수있는 움직임이 용이한 노년 여성용 보정 의복을 개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ZIGTECHnology 의복 디자인 1, 2, 3에 대한 착의 평가 결과, 기능성에서는 디자인 1이 등각도를 3.17° 정도 완화시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맞음새 등을 고려하였을 때 디자인 3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년 여성의 의복에서는 신체적 단점을 보완해주는 의복의 필요성이 증대되므로 지속적인 체형완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과 점퍼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차수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7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과 점퍼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인식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학과 점퍼에 대한 태도 및 인식유형은 3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의 경우 학과 점퍼는 학과에 대한 소속감을 주고 학과를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 학과 점퍼 착용 시 행동을 조심하지만, 활동이 편하고 주변 사람들의 좋은 평가를 하여 나의 신뢰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제2유형의 경우 학과 점퍼는 활동하기 편하며 유행을 따르지 않는 무난한 디자인이라 만족스럽고, 등교 시 늘 착용하였다. 제3유형은 학과 점퍼 착용 시 동질감과 소속감을 주고, 학과 점퍼가 유행을 따라가는 스타일이면 좋겠고학과 점퍼 착용에 긍정적인 유형이다. 대학생들의 학과 점퍼는 유니폼으로 학과의 이미지나 상징성을 잘 나타내고, 활동량이 큰 대학생들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맞음새가 우수한 학과 점퍼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department jumper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recognition for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was recognized that the department jumper plays a role of giving a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and promoting the departmen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wearing a department jumper would be cautious, but the activities were comfortable and people around me gave good evaluations and thought it had the effect of enhancing my confidence. In the case of type 2, the department jumper was satisfied because it was an easy-to-work and non-fashionable design, and was always worn when going to university. Type 3 was a type that gives a sense of belonging when wearing the department jumper, and that it was good for the department jumper to follow the fashion. It is thought that a department jumper with a good fit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howing the image or symbolism, so that the department jumper of college students can function as a uni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