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 포장디자인 교육 의식 분석을 통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표준안 개발

        진혜련 ( Hyr Ryeon Jin ),채혜성 ( Hye Sung Ch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농촌의 6차 산업 활성화와 직거래 증가로 인하여 농산물의 품질향상을 위해 농업인 역량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최근 정부기관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강화를 위해 포장 및 브랜드 등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전 연구를 통해 농업인 디자인 교육 기관 20개소 현황조사 결과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인 의식을 분석하고 디자인, 교육 전문가 협의를 통해 농업인 포장디자인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농업인 250명(유효표본 223명)을 대상으로 교육여부, 만족도, 활용 및 참여의지, 요구도 등을 설문으로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협의는 3회에 걸쳐 디자인전문가협의, 교육전문가협의, 농업인디자인교육전문가협의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여부는 41.3%가 받은 경험이 있으며 교육 횟수, 내용, 시기, 방식 등의 만족도가 7점 기준으로 4점 이하로 낮게 나타난 반면 디자인 교육 활용 및 의지는 6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회차는 2회 이상 ~ 4회 미만이 50.7%로 높게 나타났고 시기는 1월~3월시기로 현황과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육방식은 현장견학이 30.5%로 가장 높았고 이론, 실습 등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3회차 협의회를 통해 수준(기초-심화-응용), 단계(이론-실습-현장견학-토론)를 설정하고 각 수준과 단계에 해당하는 역량을 정의하고 교과목을 구성하여 농업인 포장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표준안을 개발하였다. Due to the invigoration of the Sixth Industry in farming villages and the increased amount of direct marketing, the scope of farmers` capability is expanding in quality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Government agencies are accordingly and continuously operating education related to designs for packing and brand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farmer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status reports from twenty design education institutions for farmers, have shown high demands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al programs. Thus, this study has analyzed farmers` awareness of packing, and has consulted with the experts on design and education to help strengthen their capability of packing design by further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Two-hundred fifty farmers (valid samples: 223)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on training, satisfaction, utiliz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study held three rounds of conferences, which included Design Expert Consultation, Education Specialist Conference, and Conference of Professionals for Farmers` Design. Each conference found the following: 41.3%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d certain design training, including satisfaction with the time and content. The timing and the method of training was lower than 4 out of 7 points. In contrast, their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design education was higher than 6 points. Education demand showed that an estimated 50.7% desired around two to three more occasions of training, a considerably high percentage. The subjects requested that the training be from January to March, which differentiates from the current training schedule. 30.5% wanted the training method of the on-the-spot study, which was the highest. Theory education and practice showed a similar rat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ird consultation was held to establish Levels (Basic, In-depth, and Application) and Phases (Theory, Practice, On-the-spot Study, Discussion). The consultation helped strengthen the farmers` capability in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levels, and phases, and allowed them to reach the standar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o develop packing design skills.

      • KCI등재

        농촌 경쟁력 향상 및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한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개발

        진혜련 ( Hyr Ryeon Jin ),조록환(교신저자) ( Lok Hwan J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현재 농촌은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trans pacific Ppartnership) 등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으로 인하여 생산 중심 농업의 위기에 처해있다. 농산물 생산이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현재 농촌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판로 및 유통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농업인 공급자의 경쟁력 향상의 가장 기본적이고 편리한 방법은 현장직거래 방식이다. 농촌관광 활성화로 인하여 농촌의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장직거래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농촌현장 직거래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의 사용편리성을 고련한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방법은 3차 전문가 협의회, 현장조사, 브레인스토밍,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고 도면과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컨셉은 이동성, 공간성, 판매공간, 전시공간, 계산대의 레이아웃과 판매규모을 고려하고 벽면과 유닛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농특산품의 무게와 실제 설계비용을 고려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농업인이 편리하게 이동하고 접이식구조를 활용하여 판매규모에 따라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건축형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디자인 개발을 비용부담, 공간확보. 디자인 부담 등 농촌전시판매장의 애로사항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Currently rural communities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production-oriented farming is in the crisis due to the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of FTA and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Accordingly, it is very urgent to develop certain strategies to beef up th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o do this, a better way to improve the market and the distributional dire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sought for. The most fundamental and convenient way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farmers is the direct dealing at the spot. Since the invigoration of rural tourism has led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the demand for direct dealing at the spot is quite much. This study, therefore, considered the usability of farmer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environment of direct dealing at the spots of farming area to develop a design for exhibition shops. With three times of expert conference, spot survey, brainstorming and check-list, drawings and 3D simulation were employed for developing it. For the concepts of its development, mobility, spatiality, selling space, exhibition space, layout of the cashier’s counter and sales volume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wall-surfaces and unit structures. Also the weight of products and actual cost for designing were weighed for the design development. The design includes small, medium and large-sized structures for exhibition and sale depending on the sales volum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folding structure which will make it easy for farmers to move. This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alleviation of such difficulties as cost burden, space security and designing burden at Rural Exhibition Shops.

      • KCI등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지원 현황분석 및 지원사업 프로세스 개발 연구

        진혜련 ( Hyr Ryeon Jin ),조록환 ( Lok Hwan J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농촌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의해 과거 농업 중심에서 현재는 농산물 생산, 제조, 가공, 판매, 유통 등 6차산업화 환경에 속해 있다. 농촌의 6차산업화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기관에서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적극지원하고 있다. 각 지원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분야의 전문가, 담당자 등의 신중한 검토와 협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58개소의 농업기술원 및 기술센터의 포장디자인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애로사항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위원구성 및 농업인의 의식부족, 구체적 프로세스, 체크리스트 필요, 예산부족, 전문가 필요 등이 파악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업인, 디자인전문가 등 10인(농업인2, 기관 담당자3, 디자인컨설팅 2, 디자인전문가3)의 전문가를 구성하여 5차 심층 협의를 거쳐 개발하였다. 그 결과 수요조사-기획-계획안작성(지침마련)-대상선정(공모)-실행-중간관리-결과 및 평가-사후관리 총 8단계의 체계적인 지원사업 프로세스와 각 단계 별 세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각 세부 체크리스트는 포장디자인 요소추출 과정에 농업인과 디자인 업체가 공동 참여하여 워크샵을 통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인, 디자인전문가, 기관담당자가 3가지 관점에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지원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결과물은 그래픽 부분 뿐만 아니라 제품적합성(온도, 습도, 변형정도), 포장환경(포장재적재성), 유통방식(포장단위결정) 등을 점검하여 효율적으로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농촌현장에 실현하기 위해 정책협의를 거쳤으며 향 후 농촌기업 및 6차산업예비인증자 지원사업에 활용 할 계획이다. 개선된 지원사업 프로세스 활용을 통해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품질향상, 농업인 디자인 의식제고 등 농촌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경쟁력 향상에 적극 기여하고자 한다. With social and economic changes, rural communities have broken from the past agriculture-centered economy to belong to the environment of the sixth industry with production, manufacturing, processing, sales an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Each local government is aggressively offering various supporting policies so that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ay be achieved without problems. In order for each supporting project to be successful, the prudent reviews and conferences by experts in each field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project is indispensable. This study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by focusing the supporting projects of 15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s and technology centers nationwide to appreciat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oints.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by the analysis result: an expert committee should be organized, the farmers lack awareness, a concrete process and its checklist are necessary, the budget is not enough and some specialists are needed.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committee made up of 10 members - 2 farmers, 3 government officials, 2 design consultants, 3 designing specialists - has discussed in depth for developing the following solutions: a systematic support projects with 8 stages of demand survey, planning, filling-out of blueprint (setup of guidelines), object selection (public contest), execution, interim management, outcome and estimation, ex post facto management. And the detailed checklist by stage was developed, which enabled farmers, designing specialists and government officials to carry out a rational support project with the consideration ofthree viewpoints so that by those farmers and designing companies may jointly participate in workshops to extract packing design factors. Through this, not only the graphic issues but also the product conformance (temperature, moisture and degree of deformation), the packing environment (suitability of packing material) and distribution method (determination on packing unit) were to be checked so that any outcomes might be extracted efficiently. Several policy consultations were held for these study results to be materialized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furthermore those results is planned to be utilized for the project supporting rural businesses and preliminary authenticated in the field of the 6th industry. The utilization of the improved supporting project process is expected to bring out such synergies effect in rural communities as improvement of packing designs for agricultural specialties and raise of farmers` designing awareness and anticipated to aggressive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