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관련변인별 집단 비교

        진성미(Sung-Mi Ji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초등학생, 중학생, 일반계 고등학생,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라 하위 요인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자신의 선호에 대한 인지 이외의 문항들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성적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상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학력과 가계소득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부모의 학력집단별, 가계소득별로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이후 진로지도에 있어 학생들의 성별과 준비 정도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진로지도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감안하여 자녀진로지도를 위한 차별화된 부모진로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 활용을 통해 진로성숙과 관련된 학생개인, 가정배경 등을 포괄하여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Seoul city based on collected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Firstl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career maturity at every school level,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most items except ‘perception of one’s preference’. Secondl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are positively related, but with low correlation. Thirdly, students’ career matu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respectively. The results implied that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gender and maturity level. According to influence of parents’ variables, customized career guidance service for parents is required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Further studies using revised instruments that include mor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such as students, variables and parents’ variable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일터학습 연구의 평생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진성미(Jin Sung M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4

        일은 생존을 위한 학습의 장이며 일을 통해 개인의 학습은 사회적인 차원으로 확대되고 발전하기도 한다. 또한 일터는 학습자가 일 주체로서 성장하는 중요한 활동의 장이며, 개인들의 학습이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교류하는 장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과 학습에 대한 연구는 개인 생애의 학습과 사회적 삶으로서의 학습이 교차하는 지점에 대한 탐구이며, 평생학습의 중요한 탐구 주제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일터학습과 관련한 논의들의 흐름을 살피고 그 평생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일과 학습에 관련된 고민들이 어떻게 제기되는지를 일터학습 이론의 흐름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일터학습의 논의는 업무 수행을 위한 개인의 학습에 착목한 심리학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논의를 필두로 하여, 전문성의 개발 및 인지적 접근, 무형식학습 등개인 학습을 중심으로 한 논의와 상황학습이나 학습공동체, 활동이론과 같이 학습의 사회적 맥락과 개인과 일터의 학습 환경 및 사회문화적 조건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착목한 사회문화적 관심으로 구별되어왔다. 한편 이러한 학습에 대한 다른 관점들은 일과 학습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 또한 달리 하는데, 이 글은 일과 학습의 관계가 어떻게 다양하게 상정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점에서 어떠한 연구들이 유의미한 시사를 제공할 수 있는지 논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생학습 연구에서 향후 일과 학습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어떻게 확장되고 연구되어야 할지에 대한 제안점들로서, 첫째, ‘일터’의 사회적 의미와 학습공간으로서의 ‘일터’의 성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과 제안하고, 둘째, 일터학습 논의와 담론에서 포함/배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일과 개인 생애사의 연결에 있어 다양한 관계를 포착함으로써 일을 통한 개인과 집단의 학습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Work is an important activity for individual learning that expands toward social dimension, and workplace is a place of activity in which individual learner develop him/herself as a worker and individual learning consists and transcends socially. Thus the study of work and learning has significance as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 learning and social life, which deserves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ow workplace learning theories have developed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on workplace learning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ories of workplace learning were briefly reviewed. First of all, behavioral approaches to workplace learning emphasized individual learning to perform work, and the study of expertise and informal learning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learning. Also the theories based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such as situated learning, community of practice, and activity theory focused on social context of learning and workplace environment as socio-cultural condition and interactions of both. These perspectives suggest different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of work and learning. This work also discussed various implications supposed in the relationships of work and learning and research implic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es on; social meaning of workplace as a learning site, inclusion/exclusion in workplace learning discourses, and exploration of relationships of work and individual life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learning process of individual and group through work.

      • KCI등재

        팬덤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Eun Mi An),김소희(So Hee Kim),전선율(Sun Yul Jeun),진성미(Sung Mi Jin),정익중(Ick-Joong Ch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청소년의 팬덤문화는 오래전부터 학교생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팬덤활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팬덤활동을 오프라인 팬덤활동과 온라인 팬덤활동으로 구분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팬덤문화를 깊게 이해하며 학교적응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2,351명이었다. 연구결과, 팬덤활동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오프라인 팬덤활동은 학습활동에 부적(-)인 영향을, 온라인 팬덤활동은 학교규칙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등 팬덤활동의 유형에 따라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온라인 팬덤활동은 인터넷 사용유형 중 오락활동 유형과 유사하게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팬덤활동의 이해를 통해 학교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팬덤활동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andom culture is a phenomenon which has variously affected adolescent school life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paucity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Considering the prosperity of fandom culture and the lack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fandom activity and investigates an effect of fandom activity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by classifying fandom activity into two sub-categories: off-line fandom activity and on-line fandom activity. Data was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ubjects consist of 2,351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ndom activity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fandom activity. Off-line fandom act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adolescent academic activities, but on-line fandom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ompliance of school regulation. Third, on-line fandom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fun activity among Internet usage typ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in youth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to improve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fandom activity.

      • KCI등재

        성인문해교육 자원교사의 활동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지훈 ( Ji Hoon Seong ),진성미 ( Sung Mi J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1

        우리나라 문해교육은 비영리단체의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왔으며, 현재 성인문해교사의 상당수도 자원봉사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성인문해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지속성은 성인문해교육기관의 운영뿐 아니라 향후 성인문해교육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문해교육 자원교사의 활동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들의 활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문해교육 기관에서 자원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 참여동기, 가족지원, 이타적 가치관 순으로, 업무적 요인에서 업무의 적절성, 조직적 요인에서 문해학습자와의 관계, 인정보상, 동료 자원교사와의 관계, 기관의 관리체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As literacy education in Korea started by groups of volunteers of nonprofit institutions, most current literacy teachers are volunteers. In this resp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volunteers who serve as adult literacy teachers has great influence on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but also on the achievements of the adult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ies of voluntary teachers who serve as adult literacy teachers and suggest solutions to improve thei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from 371 voluntary adult literacy teacher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their activities. Result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family support, and altruistic values in the personal factors; work adequacy in the work factors; and relationships with literacy learners, recognition & reward, relationships with peer volunteers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organization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have influences on the sustainabilit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and literacy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시민교육의 확장을 위한 평생교육의 의의: 지역사회기반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이은미 ( Eun Mee Lee ),진성미 ( Sung Mi J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시민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화 및 지역화, 학습사회 도래와 같은 사회 변화는 시민교육의 경계를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시민과 시민성, 시민교육의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시민교육 경계 확장의 필요성과 그 역할을 평생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경계가 확장된 시민교육의 사례로 지역사회기반 시민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민과 시민성, 시민교육의 개념은 강조점에 따라 변화하는 맥락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단일 개념으로 정의내리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논의들을 종합해보면, 시민이란 ‘소속감을 지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법적·정치적·사회적 측면에서 권리와 의무를 가지며, 정체성·주체성·도덕성에 대한 의식과 자질을 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주체’를 의미한다. 이런 시민의 지위에 요구되는 의식 및 자질이 시민성이며,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이 바로 시민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시민교육은 그 대상이나 시민교육이 고려하는 공간적 개념의 측면,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시민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민교육의 대상을 학교 내 청소년에서 모든 시민으로, 공간적 개념을 국가사회 이외의 세계사회나 지역사회로, 내용을 정치적 영역뿐만 아니라 생활영역 전반으로, 방법을 강의를 통한 지식 주입식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한 문제 제기식으로 확장해야 한다. 이런 시민교육경계 확장에 평생교육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평생교육이 궁극적으로는 시민교육을 통해 민주주의를 토대로 하는 학습사회 건설을 추구하고, 추구하는 이념과 지향점, 전문성과 인프라가 기존 시민교육의 문제점 해결에 기여할 수 있으며, 평생교육 분야에서 시민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민교육 확장의 사례로서 지역사회기반 시민교육은 지역공동체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지역 시민성 함양을 위해 지역 특수성 및 일상생활 영역을 내용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확장된 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와 시민성과 시민교육을 학습의 차원에서 고찰하는 연구, 확장된 시민교육의 실천을 탐색하는 실증적 연구 등을필요로 한다. Citizenship Education is increasingly important as it offers educational solution against the individualizat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in the modern society. Social chang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raise the need of expa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itizen, citizenship, citizenship education respectively, described the necessity of expa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explored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community-based citizenship education as an example of expanded citizenship educations was examined. The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expand the learners into all citizens, the concept of space into post-national citizenship, the contents into something considered with daily life and the method of citizenship education into various ways. To expand the citizenship education, the lifelong learning has to play a key role as one of the goals of lifelong learning is to build learning society based on democracy thorough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philosophy of lifelong learning is aligned with the idea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community-based citizenship education as one of expanded citizenship educations involves all citizen-learner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and builds the local citizenship, with its contents related to local life and method of citizenship education using local resources.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for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citizenship learning and citizenship education, and practice of expanded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후보

        경력중기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의 경력개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전찬호 ( Chan Ho Jeon ),진성미 ( Sung Mi J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2

        최근 급격한 고령화와 사회변화는 수년 내로 이루어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조망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학습과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경력개발에 대한 학습 동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 8명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남성 사무직 베이비붐 세대들의 경력개발을 위한 학습 동기는 크게 ``현재 경력 역량의 향상을 위한 학습``과 ``은퇴 후의 경력을 준비하기 위한 학습``으로 구분되었다. 현재 경력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역량의 개발, 지위 향상, 지속적 관심과 흥미, 사회적 자본의 획득, 직무 전환 등의 동기가 포함되었고, 은퇴 후 경력 준비 관련해서는 현재의 경력경험을 활용하기 위한 것과 새로운 경력을 준비하기 위한 것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들이 현재의 경력을 위한 학습 뿐 아니라 미래의 경력을 준비하기 위한 학습도 병행하고 있음을 말 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베이비붐 세대의 경력개발과 관련하여 이론적·정책적 측면에서 평생학습의 관점으로 이들의 은퇴를 바라보고 재조명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다양한 경력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Recent changes in demographics and career environments require special attention to baby-boomers` retirement which will happen during the next decad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motivations in learning of male baby-boomers who are in their mid-career in their quest of care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were conducted and transcripts were analyzed with three-step coding procedur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possess two different categories in learning motivation, one is for their current career competencies, and the other is preparation for their future after retirement. The former includes job competencies enhancement, job position achievement, continuous interest, social capital acquisition, and transition to another related work. The latter is specified into use of current career experiences in their future career and preparation for new career. In short, participants have two-fold motivation in their learning: for current career and future career. This implies that baby-boomers` retirement needs to be viewed in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and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baby-boomers should be provided for their after-retirement life.

      • KCI등재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정연순 ( Yeon Soon Jung ),유병민 ( Byeong Min Yu ),진성미 ( Sung Mi Jin ),남영옥 ( Yeong Ok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2

        Agricultural high schools has been changing themselves toward more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surviv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Changes occur in new students, in objects of school, and i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Questionnaires were use to collect data from 894 agricultural high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has many problems in its curriculum, its contents, and the public rel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materials and manual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