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환경ㆍ생태 지식베이스의 국제적 조화를 위한 한국형 표준 식물 온톨로지 개발

        주은정(Eunjeong Ju),이헌주(Hunjoo Lee) 한국환경보건학회 202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9 No.4

        Background: To describe domain knowledge consistently and precisely, the establishment of a controlled vocabulary, a so-called ontology, is essential. Internationally, the plant ontology (PO) in the ecology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the anatomy and developmental stages of plants in English, Spanish, and Japanese, but there is no Korean version of the PO due to a lack of knowledge on standardization for Korean plants. Objectives: We aimed to establish a Korean plant ontology with core PO architectures. Methods: The latest ontology web language (OWL)-formatted raw version of the PO was collected from the PO consortium site. A formal workflow process and OWL file-handing tools for efficient Korean content development were conducted and executed. Results: The macro- and micro-perspective frameworks of the PO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upper model and the internal OWL-leveled physical structure, respectively. We developed and validated Korean knowledge content for a total of 1,957 classes included in the PO and transplanted them into an ontology modeling system. Conclusions: A Korean plant ontology was established for international harmonization through improved compatibility and data exchangeability with multilingu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knowledge bases.

      • KCI등재

        야외학습의 융합 문제해결과정에서 불확실 상황 변수로 인한 전략 수정 사례연구

        주은정(Ju,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야외학습의 불확실한 상황 변수가 변화되었을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수정 과정과 협력 방식,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기반 혼합연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했던 학급의 학생들은 문제해결과정은 야외학습을 가기 전 교실에서 문제 확인, 문제 표현, 전략 선택의 단계를 거친 후, 야외학습 기간 중에 달라진 상황 변수를 이해하고 계획 전략을 유지 할지 수정할지에 대한 판단을 한 후 전략을 수정하거나 유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야외 학습 후에는 결과를 평가하고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를 거쳤다. 세 팀이 야외 학습을 가기 전에 세웠던 문제해결전략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야외학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상황 변수가 달라졌던 두 팀은 공통적으로 달라진 변수를 인식한 후,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실에서와는 달리 차분히 전략을 논의하기 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팀이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두 팀에서는 팀원들은 논의에 기반하기보다는 팀원 중 한 명 또는 소수가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독자적으로 검증한 후 실행 전략을 내놓는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된 실행 전략은 계획 전략에 비해 비구조적이었으며 팀원들은 태양의 고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암묵적 미션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문제해결전략이 수정된 과정에 대해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0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ixed method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amine the modification of problem solving strategy, cooperation proc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when uncertain situation variables were change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expression, and strategy selection in the classroom, They understood the situation variables that changed during the field trip,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or modify the strategy and then the problem-solving strategy was modified or maintained. After the outdoor learning,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All of the three teams participating in the study had similar problem-solving strategies before going trip. However, the two teams who met the changed situation variables embarrassed at first. The team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immature communication rather than discussing strategies carefully in the classroom. In the two teams, the team members were not based on the discussion, but rather by one or a few of the team members who gave their ideas and verified them independently and then implemented a strategy. The two team members’ satisfaction of learning was significantly low because the modified execution strategy in both teams was unstructured and the team members tended to accept the sun altitude as a tacit mission to solve the problem(p = 0.003).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환경 분야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해관계

        주은정(Ju, Eunjeong),이윤정(Lee, Yoonjeong),장신호(Jang, Shi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 분야의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생태계 간의 이해관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환경 분야 SSI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은 갈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도시 2개 학교와 중소도시 2개 학교 초등학생 489명을 대상으로 SSI 발생 상황과 SSI 해결 상황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환경 문제가 발생한 상황 및 해결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생태계간의 이해관계에 대해 가해자는 인간, 피해자는 생태계로 생각하는 등 다소 편향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로 인한 피해 또는 문제 해결로 인한 혜택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돌아온다는 것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동식물 또는 생태계만이 피해자 또는 수혜자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초등학생들(95.64%)은 실제 개인 혹은 집단 간 이익 추구를 위해 환경문제에 대한 갈등이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음 인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4.36%의 학생들만이 기업과 환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 및 사회 간의 갈등 상황을 표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percept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stakeholder in environmental socio-scientific issue. Thus, we aimed to inquire their perspectives on th conflict in environmental SSI. For this study, we collected the drawings from 489 children in 4 cities and analyzed them. The results are these. First, the students perceived the relationships of humans and nature from a biased point of view. They tended to think that human is destroyer and the nature is victim. That means most student’s didn t perceive humans can be victims of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most children(95.64%) could not recognize the conflict in environmental SSI. Only 4.36% could perceive the strife in environmental problems though that is more complicated and complex in society.

      • KCI등재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기후변화 캠프 사례에서의 학습 성공 요인

        주은정(Eunjeong Ju),장신호(Shinho J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기후변화 캠프 사례에서 학습자들을 학습 성공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기후변화 캠프에 참여한 초등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참가자들의 생활과 학습을 가까이에서 관찰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기후변화 캠프에서의 학습성공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전 과제수행력, 팀 구성원과의 교우 관계, 사전 기후변화지식은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기후변화 캠프에서의 환경소양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SUP>2</SUP>=.534). 몇몇 팀의 세부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환경소양 증가가 뚜렷했던 팀들에서는 낯선 팀 구성원 간에 관계를 유연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각자가 가지고 있는 기후 변화지식 끌어내어 효과적이고 협력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과제수행력 증가에 유효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팀 내 협력과 사전기후변화 지식을 들 수 있다(R<SUP>2</SUP>=.508). 팀별 사례 분석에서 과제수행력이 거의 증가되지 않은 팀의 경우, 팀 내 협력 및 새로운 교우 관계 형성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이 캠프 활동을 통해 겪은 교우간 갈등은 환경 캠프의 학습성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lead learners to learning success in the case of elementary environment educational camps based on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We conducted pre and post tests on environmental literacy, team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with 78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mps. We also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teamwork, environmental learning, and mentoring from student-teachers after camp. Additionally, we interviewed student-teachers who closely observed the lives and learning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pre-team task performance, friendship with team members, and prior knowledge of climate change positively affected environmental literacy (R<SUP>2</SUP>=.534). In the case of the detailed examples of some teams, several efforts made to make the relationship flexible among unfamiliar team members with whom the increase in environmental literacy is evident. They also tried to carry out tasks effectively and cooperatively by extracting knowledge on climate change through various ideas,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in team task performance were team collaboration and pre-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R<SUP>2</SUP>=.508). In the case analysis of each team, the team with little improvement in team task performance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team collaboration and friendship.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in camp activities had a negative impact on learning success.

      • KCI등재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지리 스케일에 따른 환경문제 및 미래환경에 대한 인식 비교

        주은정(Eunjeong Ju)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지역 스케일에 따른 환경문제와 미래환경 전망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도시와 중소도시 학생과 학부모 총 835명에 대해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는 환경 문제와 미래환경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우리 지역의 환경 문제와 미래에 대해 학생들보다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매칭 데이터를 활용해 학생과 학부모 간의 환경 문제와 미래환경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학생과 학부모는 지역 스케일에 따라 인식하는 환경 문제의 심각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학생들은 쓰레기 문제를 우리 지역과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구 스케일에서는 숲의 파괴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는 지구온난화를 우리 지역과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구스케일에서는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숲의 파괴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ildrens and par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prospects in each geographical scale. For this analysis, a survey of 835 elementary students and parents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parents generally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In particular, parents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than students on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 future in the local scale (p<.05). The result of analysis with matching data show that environmental perception of parents and students have weak positive correlation (p<.05). Parents and students have different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scales (p<.01). They tend to perceive environmental issues more seriously in the global scale than the local and national scales. The issues that students recognized most seriously are the trash problem in local and county scales and destruction of forests in the global scale. Parents are aware of global warming as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local and national scales. Both the parents and the students perceive the destruction of forests as the most serious in the global scale.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의도한 융합요소와 학습자가 인지한 융합요소 간의 일치도 및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주은정(Ju eunjeong),홍준의(Hong juneuy)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STEAM 융합요소들을 반영하여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개발자가 의도한 융합요소가 실제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와 같은 융합요소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개발자들이 의도한 융합요소를 조사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가 인식한 융합요소와 참여한 활동에 대한 흥미도, 효용도, 곤란도 등의 만족도를 조사 ·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포함시킨 융합요소는 과학(S)이었으며 프로그램 개발자들과 학습자 간의 융합요소일치도는 0.61/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별 융합요소의 포함개수는 학생들이 인 식하는 활동에 대한 흥미도 및 효용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별 융합요소 포함개수가 2개 이하인 활동들은 참여 학생들의 흥미도 분석에서 평균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동일한 부집단을 형성하고 있었으 며 효용도의 경우, 3개 이하인 활동들 간에 평균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각 융합요소의 포함여부에 따른 학생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공학(E)요소와 예술(A)요소가 포함된 활동이 포함되지 않은 활동에 비하여 흥미도 및 효용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이후 개발되는 STEAM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서 활동별로 포함되는 융합요소의 개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활동에 공학 및 예술 요소를 포함시키는 데 있어 분야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접근이 있어야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agreement between STEAM factors that developers intended and students recognized. Besides we tried to explore how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factors effect to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TEAM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tudy, we surveyed STEAM factors that program developers intended and students recognized. After Students participated the STEAM educational program, checked their satisfactions in each STEAM activities about interest, usefulness, and difficulty. In the result, the most STEAM factor that educational program developers intended was S(science). T(technology) and A(arts) were next. The number of STEAM factor in each activ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terest and usefulness of the activity(p<.05). The activities that contained 1 factor and 2 factors were the same group that students’ interest was the highest. In case of usefulness, the activities that contained under 3 STEAM factors were the highest group. Students recognized the non-E(engineering) and non-A(arts) activities were more interest and useful.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se results showed that STEAM program developers have to consider the number of STEAM factors included in STEAM activities and need to try for effective infusion of E and A facto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친환경 특성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연구

        김흥태(Heung-Tae Kim),주은정(Eunjeong Ju)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4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성장에 따라 친환경 태도, 환경 감수성, 환경 친화적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며, 성별에 따른 변화 차이는 어떠한지 종단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6학년까지 매년 친환경 태도, 환경 감수성, 환경 친화적 행동을 추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4학년∼6학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학생들의 친환경 태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환경 친화적 행동은 4학년∼6학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환경 감수성도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6학년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결과, 환경 감수성은 4학년 때 측정된 초기값에 있어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감소되는 정도는 성별 간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친환경 태도의 경우, 초기값과 변화 정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 how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sensitiviti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change. We also inquir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pro-environmental trait by gender. For the study, we had investigated 136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sensitiviti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every year through the 6th grade. As a result,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continuously increased for 3 years, but pro-environmental behavior continued to decrease. Environmental sensitivity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and rapidly decreased in 6th gra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in the initial value measured in the fourth grade, but the degree of decreas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sexes.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attitude,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initial value and degree of change.

      • KCI등재

        ‘수직농장 설계하기’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창의적 아이디어 분석

        박선우 ( Seonwoo Park ),주은정 ( Eunjeong Ju ),장신호 ( Shinho Jang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e ideas gener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design-based learning. For the study, two group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D were selected. They conducted 'Designing a Vertical Farm' program, a design-based learning program which was restructured the 'Life and Environment' unit.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generating creative idea. As a result, the teacher's creative idea generation process has emerged at all stages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finding, researching, designing, building, and evaluating problems).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at each stage is non-linear, which was returning to the previous stage or two or more processes were compounded. The design- centered idea generation group (A) and the build-centered idea generation group (B) showed differences in the idea generation process. Group A had enough time to design through designing with feedback and sufficient consensus to elaborate the idea appeared. However, group B had more enough time to build for making, testing, and revising. Since the group A had a long time to elaborate and the idea consensus, the production time was insufficient, the group B had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correction processes in the production stage because design ideas were not completely agreed and confirmed. The teachers’ conversations design-based learning were meaningful, which showed active feedback to elaborate ideas.

      • KCI등재

        공공기관 비형식 생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윤지현(Jihyun Yoon),강성룡(Sung-Ryong Kang),주은정(Eunjeong Ju),김재근(Jae Geun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공공기관의 경영 특성을 반영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운영 특성을 반영한 절차를 기반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비형식 교육기관으로 갖추어야 할 교육적 절차 요소를 반영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쟁점사항을 점검하여 수정된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국립생태원 ‘2018 글로벌 생태협력 아카데미’ 적용하여 절차 단계별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고 반영하여 최종 절차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P-D-C-A를 기반으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시범운영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등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that consider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institute (i.e.,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The first procedure was the selection of the foundation model that reflect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institute. Secondly, the educational procedure elements that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have selected through a prior study review. Later, the revised procedural model was developed by examining the issues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public institute. As a case study (fourth procedure), the model applied to the ‘2018 Global Ecology Cooperation Academ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he final procedure was presented by checking and modifying the complements of the procedures. Based on the P-D-C-A model (i.e., foundation model), the case study could supplement the model’s availability and develop the procedure model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se analyse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pplying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e.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과 관련 변인의 인과적 관계

        백성희(Seongheui Baek),김찬종(Chan-Jong Kim),주은정(Eunjeong Ju)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행동을 가치, 신념, 개인규범과 관련하여 설명한 VBN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재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에서 직접적 영향력의 관계는 초기 VBN 모형을 따른다. 즉, 가치와 신념, 개인규범 및 기후변화 대응행동 간에는 선형적 관계가 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개인규범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belief, personal norm, and climate change behavior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of 3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he structural analysis i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assess the model’s suit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belief, personal norm, and climate change behavior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upport the original VBN (value-belief-norm) theory.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beliefs, personal norms, and climate change behavior. Personal norm has a direct effect on climate change behavior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