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나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비료 3요소의 시비반응(施肥反應)

        주문갑,유인수,최근법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5 No.1

        施設栽培 바나나의 窒素, 燐酸 및 칼리의 適正施肥量을 究明하기 위하여 1990年 6月부터 1992年 5月까지 檀國大學校 農科大學 FRP溫室에서 遂行된 試驗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假莖長과 假莖直徑이 가장 컸으나 그 이상에서는 減少 하였으며 葉長과 葉幅도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현저히 增加되었다. 또한 果房重, 果掌重 및 果指重도 역시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가장높았으며 그 이상의 水準에서는 減少하는 경향이었다. 2. 窒素施用量 水準과 葉長 및 葉幅간에는 正의 相關이 있었고 果房當 果掌數 및 果指數와는 負의 相關이 있었다. 3. 燐酸의 施用量 水準間에는 假莖長, 假莖直徑, 葉數, 葉長 및 葉幅에서 유의한 增減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燐酸 20㎏/10a 施用區에서 果房重, 果房當 果指數, 平均果掌重, 平均 果指重이 가장 높았다. 4. 칼리의 80㎏/10a 施用까지는 平均果掌重, 平均果指重, 果房當 果指數가 增加하였으나 120㎏/10a 施用區에게는 유의적인 減少 경향이었다. 5. 칼리의 施用水準과 각 形質間의 相關에서 葉數, 果指長, 果指直徑 및 果指重과는 유익적인 正의 相關이 있었고 葉數와 收量간에도 유의한 正의 相關이 있었다. 6. 3要素 肥料의 收量에 대한 反應曲線式에서 10a當 窒素 56.4㎏, 燐酸 11.3㎏, 칼리 62.2㎏에서 最大收量을 나타냈으며, 肥料價와 果實價格을 適用했을때 適正施用量은 10a當 窒素 34.7㎏, 燐酸 1.5㎏, 칼리 12.7㎏ 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the optimum levels of application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h to banana at the conditions of greenhouse at agricultural research farm,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from Jun 1990 to May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application of 40Kg nitrogen per 10a, pseudostem length, pseudostem diamet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increased more than other treatments, also increased more in bunch weight, band weight and finger weigh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and leaf length and width,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itrogen applications and number of hand and finger per bunch. There was no singnificant differences at different levels of phosphate applications to pseudostem length pseudostem diameter, leaf numbers, leaf length and leaf width. However, bunch weight, fingers per hunch, hand weight, and finger we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pplication of 20Kg phosphate per 10a. As the application of potash increased up to the level of 80Kg per 10a, hand weight, finger weight and fingers per bunch were increase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application of 120Kg potash per 10a.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of potash application and leaf number, finger length, finger width and finger weight, and also sin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number and fruit yield. Maximum fruit yield was showed at the level of 56.4Kg nitrogen, 11.3Kg phosphate, and 62.2Kg potash per 10a from the formula of response curve. In the consideration of the price of fertilizer and fruit, the optimum level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h application were 34.7Kg, 1.5Kg, and 12Kg per l0a respectively.

      • KCI등재

        화란산 절화백합의 수확시기 , 전 후처리 , 및 저온저장이 수명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서정근,이애경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9 No.3

        Lilium Mid-Century hybrid 'Enchantment'의 경우 개화 4일전의 수확시기, STS(4mM)의 수확후 전처리, 0.2mM AgNO₃+3% sucrose의 보존용액 처리, 그리고 24시간 저장시 1, 2번화의 수명이 증가하였다. 무처리와 5일간의 장기 저장시는 꽃잎이 완전히 열개되지 않거나 꽃잎이 말리는 등의 비정상적인 현상이 많이 나타났다. Lilium oriental hybrid 'Stargazer'의 경우 절화수명에 있어 STS의 전처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TS 전처리와 0.2mM AgNO₃+3% sucrose의 보존용액 처리를 하였을 때 전처리에 비해 어느 정도 꽃잎의 화색이 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0.2mM AgNO₃+3%, sucrose의 절화 보존용액 처리후 화경조직내 박테리아수는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수확후 백합의 품질향상과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종류별로 적정단계의 수확을 하여 전처리 유무를 결정하고 저장이나 수송시는 가능한 저온(3℃)상태로 유지하는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For Lilium Mid-Century hybrid 'Enchantment', the longevity of 1st and 2nd flower were increased when stems were harvested 4 days before anthers were pretreated with STS and holding solution (0.2mM AgNO₃+3% sucrose) treatment and storage for 24 hours. Flowers that failed to open or rolling in an edge of petals and sepals were observed in control and stored for 5 days. For Lilium oriental hybrid 'Stargazer', STS pretreatment was not effective on the longevity of cut flower, but flower color became deep-red by STS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treatment. Number of bacteria in stem tissue after holding solution treatment were markedly reduced than that of control. Therefore, systematic and general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harvest stage, pretreatment, holding solution and storage conditions in Lilium species to extend vase lif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t flower.

      • KCI등재

        Winged bean(Psophocarpus tetragonolobus(L .)DC)의 생육에 따른 식물체 , 녹래(綠萊)및 종실(種實)의 성분변화

        주문갑,윤성탁,손석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6 No.1

        우리나라 氣候條件下에서의 Winged bean의 영양적 가치를 檢討코자 일련의 試驗을 實施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Winged bean 植物體의 蛋白質함량은 定植後 5週 平均 29.32%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0.44%로 가장 많았다. 脂肪含量은 定植後 3週에 3品種 平均 3.75%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時期 平均 3.57%로서 가장 많았다. 2. 緣莢의 蛋白質, 脂肪의 含量 變化는 生長함에 따라 減少되는 傾向을 보였으며 蛋白質含量은 TPT-8이 가장 많았다. 3. 種實의 蛋白質 含量은 Winged bean이 32.33%, 大豆가 40.24%로 大豆가 많았으며 아미노산 組成比率은 大豆와 거의 有意하였으나 염기성 아미노산의 含量은 Winged bean이 높은 편이었다. To evaluate the change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ant, green pod and grain of winged bean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under the climate of Korea. The average protein content of 3 varieties was 23.92% at 5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content among 3 varieties by 30.44%. The average fat content of 3 varieties was 3.35% at 3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The content of protein and fat of green pod decreased as ripening advanced and TPT-8 showed the hightest protein of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In the seed protein content of winged bean and soybean, winged hean seed showed less content of 32.33% than that of soybean of 40.24%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nged bean was similar to those of soybean, but dibasic amino acid was tended to be higher in winged bean.

      • KCI등재후보

        비료 3요소와 유기질비료 연용이 년차별 배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임지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1

        배 과원의 유기질 비료와 3요소의 적절한 시용방법 규명하기 위하여 4년차에 걸쳐 수황, 신고, 감천배를 공시품종으로 한 배 과원에서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체 생장에 있어서 수황과 감천의 지제부직경은 3요소 +유기질 비료를 혼합한 시용구에서 신고는 유기질 비료 단용구와 3요소 +유기질 비료를 혼합한 시용구에서 생장량이 많았다. 2. 수황과 감천의 과장과 과폭은 3요소 + 유기질 비료를 혼합한 시용구에서 가장 컷고, 신고는 유기질 비료 단용구와 3요소 + 유기질 비료를 혼합한 시용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구별 유의성은 없었다. 3. 당도를 보면 수황은 3요소만 처리한 시용구에서, 신고는 유기질 비료 단용구에서, 감천은 3요소 + 유기질 비료를 혼합한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큰 차이는 없었고, 경도는 품종별, 처리구별 유의성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application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s for cultivating soowhangbae, niitaka and gamcheonbae of pear tree orchard for 4ye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difference of main-branch diameter of soowhangbae and gamcheonbae were the highest at mixed fertilizer application chemical and organic and those of niitaka was the highest at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application of mixed fertilizer application chemical and organic. Length and width of fruit of soowhangbae and gamcheonbae were the highest at mixed fertilizer application chemical and organic and those of niitaka was the highest at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application of mixed fertilinzer application chemical and organic,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ase of sugar content, soowhangbare was the highest at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niitaka was the highest at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gamcheon was the highest at applincation of mixed fertilizer application chemical and organic. There was no significance of hardness by cultivars and treatments.

      • KCI등재후보

        동계 토마토 재배에 있어서 키토산처리가 냉해 경감에 미치는 효과

        주문갑,임지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1

        키토산의 처리가 동계 토마토 시설재배에 있어서 냉해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방울토마토는 꼬꼬(일본산), 일반토마토는 래전드썸머(흥농종묘)를 공시품종으로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울토마토의 엽장, 엽폭, 화방당 개화수, 화방당 착과수는 키토산의 처리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2. 방울토마토의 과장, 과경 및 과중은 키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고 과실수는 100㎎/l에서 가장 높았다. 3. 일반토마토의 엽장, 엽폭 및 화방당 개화수는 100㎎/l와 200㎎/l처리구에서 약간 높았고, 착과수는 100㎎/l에서 7.2개로 가장 많았다. 4. 일반토마토의 과장, 과경, 과중 및 과실수는 키토산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월등이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effect of chitosan on reduction of cold weather damage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using mini-tomato and tomato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concentration of chitosan was higher, leaf length, leaf width, flowering number and fruit setting number of mini tomato were increased. As concentration of chitosan was higher, fruit length, fruit diameter and fruit weight of mini-tomato were increased, number of fruit was the most at 100 ppm concentration of chitosan. Leaf length, leaf width and flowering number of tomato were little bit higher at 100ppm and 200ppm of chitosan concentration, was the most by 7.2 at 100ppm concentration of chitosan. Fruit length, fruit diameter, fruit weight and fruit number of tomato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chitosan treatments compared to non-treatment.

      • KCI등재

        저장기간별 배추의 종자활력과 발아 중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

        주문갑,주용하,윤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2 No.3

        배추종자의 자연노화시 종자활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4개월, 3년 및 6년간 보관된 배추품종 '맛나배추(서울종묘)'를 공시하여 저장기간별 발아특성과 발아과정 중에 변화하는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차이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이된 종자의 발아율은 각각 95%와 92%이었으며, 평균발아일수는 각각 1.4일과 2.9일이었고, 6년간 저장된 종자는 발아되지 않았다. 2. TTC 검정 결과에서 발아가능 종자의 비율은 4개월 저장종자가 90%이었으며, 3년 저장 종자는 77%이었고, 6년 저장종자는 전혀 염색되지 않아 종자활력이 없었다. 3. 발아과정 중 배추종자내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발아 후 6 시간까지 증가후 급격히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3년 저장종자는 발아 후 6시간까지 약간 감소한 후 다시 24시간까지 증가하다가 48시간째에 매우 감소하였고, 6년 저장종자는 발아후 24시간까지 약간씩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조금 증가하였다. 4. 발아과정 중 전기영동 밴드에서 저장 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는 각각 45 KDa와 63 KDa의 분자량을 가진 가용성 단백질이 발견되었으나 6년 저장된 종자에서는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분자량 45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에서 모두 침윤 초기에 존재하다가 각각 6시간 및 12시간 전후에 밴드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침윤후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6시간 전후에 사라졌고, 3년 저장종자는 침윤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12시간 전후에 사라졌다. 6. 저장기간이 4개월, 3년 및 6년간된 종자를 침윤후 6시간만에 종피, 자엽 및 배를 분리하여 단백질 존재여부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이 4개월 및 3년간 저장된 종자의 자엽에서만 관찰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ed viability, amounts of water-soluble protein(WSP) and eletrophoretic band patterns during germination of Chinese cabbage seeds were stored for 4 months, 3 years, and 6 years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of seed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were respectively 95% and 92%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whereas the seeds stored for 6 years did not germinate. The average days to germination was 1.4 days in 4 months storage and 2.9 days in 3 years storage. In the seeds stored for 4 months, the amounts of WSP increased until 6 hours after germination and decreased greatly after 6 hours, and then increased again at 48 hours in high. The seeds stored for 3 years increased until 24 hours and decreased greatly at 48 hours. In case of seeds stored for 6 years, the amounts of WSP decreased gradually until 24 and increased a little at 48 hours. In the change of WSP patterns, the WSP of 45 KDa and 63 KDa appeared in germinating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But the both of WSP did not appeared in 6-year-stored seeds. The WSP of 45 KDa was presented in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at early stage of imbibition and then disappeared at 6 and 12 hours after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4-month-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and disappeared at 6 hours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3-year-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2-hour-imbibition and disappeared at 12 hours. The 63 KDa of WSP was found at the cotyledons of seed imbibed for 6 hours in both 4-month and 3-year-stored seeds.

      • KCI등재

        커피나무의 관상식물화를 위한 수형 형성에 관한 연구

        주문갑,이애경,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2

        본 실험은 coffee나무의 정지·전정에 의한 수형조절법을 개발하며, 생장조절제(Growth retardants)를 이용한 왜성화와 물리적인 shaking stress에 의한 생육 억제에 대한 연구로서 커피나무의 분화에 적합한 수형개발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심에 의한 촛대형 수형조절에서 적심회수가 많아질수록 자연형에 비하여 신초발생이 많아졌으며 신초장이 짧아지고 잎의 크기도 작아졌다. 2. 우산형 수형조절이 자연형에 비하여 신초발생수는 적었지만 측지길이가 길어졌고 신초두께 역시 두터웠다. 3. 주당 착과수는 적심에 의한 우산형이 자연형보다는 신초발생수에 비례하여 적었음을 볼 수 있었다. 4. 생장조절제 PP333의 왜성화는 자연형에 있어서 5.00 ㎎ a.i/pot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초장, 신초, 신초장 및 엽의 생장이 다소 억제되었으며, 촛대형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5. Uniconazole의 효과는 자연형에서 1.25 ㎎ a.i/pot 처리가 왜성화 경향이였고 촛대형에서는 1.25 ㎎ a.i/pot 처리가 효과적으로 신장이 억제되었다. 6. Uniconazole 2∼5 ㎎ a.i/pot는 어린묘(1년생)의 경우 고농도의 해를 받아 극도의 왜성화로 고사되었다. 7. 물리적인 shaking stress에 의한 왜성화는 200rpm처리구에서 초장이 19.1㎝로 대조구인 22.5㎝에 비해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evelopment of beautiful canopy of coffee as a new indoor ornamental pot plant. The methods of plant form controlling by training, pruning, plant growth retardant and shaking stress were investigated. New shoots of the candelabra form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natural form when the number of pinching time was increased, and leaf size was smaller than natural form. New shoot number of the parasol form was decreased than that of natural form. Lateral branch length was longer and new shoot thickness was thicker than natural form. Fruiting number per plant of the parasol form was decreased than natural form. Plant height, new shoot, shoot length and leaf growth were somewhat retarded by PP333 soil drench with 5.00 ㎎ a.i/pot in natural and candelabra form. Dwarfing effect was slightly showed by uniconazole treatment at 1.25 ㎎ a.i/pot in natural form. Dwarfing was more effective by 1.25 ㎎ a.i/pot soil drench of uniconazole. It was shown that one year old coffee tree was withered up by dwarfing at 2∼5 ㎎ a.i/pot of uniconazole soil drench treatment. Plant height(19.1 ㎝) was retarded by shaking stress(200 rpm/2times/day) as compared with control(22.5 ㎝).

      • 광 및 온도 처리가 상추의 수량과 엽록소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임지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2

        본 실험은 고품질 잎상추의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뚝섬적축면상추를 공시 재료로 하여 2000년 8월부터 2001년 7월에 걸쳐 단국대학교 실습농장과 열대원예학 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광(차광, 광질, 일장)과 온도 조건이 생육 및 수량 그리고 안토시아닌, chlorophyll, 비타민 C 및 NO_3^-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75% 차광 처리에서 엽장과 엽폭은 가장 컸으며, 엽수와 생체중은 자 (무차광처리)에서 증가하였다. 차광 수준이 높을수록 안토시아닌, NO_3^- 및 chlorophyll 함량은 적었으며, 비타민 C 함량은 25% 차광 수준에서 가장 많았다. 2. 오렌지색필름 처리가 적색이나 청색필름 처리보다 안토시아닌, chlorophyll 및 비타민 C 함량이 많았으나 자연광(무처리)보다는 적었다. 3. 장일인 16시간 일장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고, 안토시아닌, chlorophyll 및 비타민 C함량도 많았으나 NO_3^-는 12시간 일장에서 가장 많았다. 4. 생육온도 20℃보다 25℃처리에서 생육과 수량은 가장 좋았으며 많았다. 안토시아닌, chlorophll 및 NO_3^-함량은 20℃에서 가장 높았고, 비타민 C 함량은 25℃에서 높았다.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get the basic informations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in leaf lettuce. The shading, light qualities, daylength and temperature were treated in order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thocyanin, chlorophyll, ascorbic acid and nitrate contents. Leaf length and width were highest with 75% shading treatment, and number of leaves and leaf fresh weight increased in natural light(non-treatment) than that of shading tretment. Contents of anthocyanin, chlorophyll, and nitrate were decreased in higher degree of shading, and ascorbic acid was highest at 25% shading treatment. Contents of anthocyanin, chlorophyll and ascorbic acid were higher in orange than red and blue colored film treatment, but lower than natural light(non-treatment).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were highest in 16 hrs daylength treatment. Contents of anthocyanin, chlorophyll, and ascorbic acid were were highest in 16 hrs daylength treatment, whereas nitrate was highest in 12 hrs daylength treatment.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were highest in 25℃ than 20℃ treatment. Contents of anthocyanin, chlorophyll and Nitrate were highest in 20℃ treatment, but ascorbic acid was higher value in 25℃ treatment.

      • KCI등재

        구근 전처리 , 배양토 , 온도 , 광 및 생장조절제가 옥살리스(Oxalis braziliensis)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이애경,강소영,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4

        1. 옥살리스 구근의 전처리 실험에서 Promalin 침지처리는 초장과 꽃수를 증가시켰으며 Super-bio 침지처리에서는 엽수가 증가되었다. 2. 배양토 조성별 실험에서 초장은 vermiculite : perlite : peatmoss (1:1:1, v/v) 혼용처리와 vermiculite 단용처리에서 타처리구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꽃수는 perlite 단용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자구수와 자구중은 혼용처리에서 증가되었다. 3. 초장과 화경은 대조구에 비해 20℃에서 증가되었으며 자구수는 대조구나 25℃ 처리구에 비해 18℃에서 가장 많았다. 4. 초장은 35%에서 가장 증가되었으며, 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전 차광처리시 증가하였고, 개화는 55% 처리시 촉진되었다. 꽃수는 35% 처리시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55%, 75% 처리시 증가 하였고 엽록소 b보다 a의 함량이 더 높았다. 5. GA₃와 Promalin처리시 대조구와 타처리구에 비해 꽃수와 자구중량이 증가되었다. Plant height and flower number were increased with Promalin treatment and leaf number was also increased by super-bio. Plant height was increased with vermiculite : perlite : peatmoss(1:1:1, v/v) and vermiculite treatment. Flower number was decreased by perlite treatment. Daughter bulb diameter and weight were increased by vermiculite : perlite : peatmoss(1:1:1, v/v). Plant height and flower stalk length were considerably promoted by 20℃ treatment. The number of daughter bulbs was increased at 18℃ than at 25℃ and control. Under 35% shading level, plant height was extremely elongated, and leaf number was increased in shade condition. Flowering was accelerated with 55% shading level and flower number was also increased with 35% shading level. Chlorophyll content highly increased under 55% and 75% shading levels. Chlorophyll a content was the higher than chlorophyll b content. Flower number and daughter bulb weight were increased by GA₃ and Promalin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