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자(Citrus junos)씨와 유자씨 유지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T-29 대장암 세포 생장 억제 효과 및 유효 성분 분석

        김경은(Kyungeun Kim),조현노(Hyunnho Cho),정하나(Hana Jung),이희재(Hee Jae Lee),황금택(Keum Taek Hwang)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씨와 유자씨 유지로부터 HT-29 암세포생장 억제효과를 확인하고 주요 원인 물질을 확인하는 것이다. 유자씨, 헥산 추출 유자씨 유지, 냉압착 유자씨 유지로부터 60%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각각 ES, EHO, ECO)을 얻었다. 추출물의 성분은 HPLC-M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ES, EHO, ECO를 HT-29 세포에 처리하여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EHO와 ECO가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p<0.05). 반면, ES와 리모닌, 노밀린은 24시간과 48시간 처리 후에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없었다(p>0.05). 유자씨 유지 추출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효과에 주요 역할을 하는 성분을 탐색하기 위해 제조용 LC로 EHO와 ECO를 분획하여 이 분획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와 조성을 확인하였다. 분획물 중에서 EHO의 3개 분획물과 ECO의 2개 분획물이 유의적인 HT-29 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다(p<0.05). 이 5개 분획물의 HPLC-MS 분석 결과,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주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을 HT-29 세포에 처리한 결과, 이찬젠신이 유의적인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고(p<0.05), 아이소핌피넬린과 버갑텐은 약간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p>0.05). 따라서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유자씨 유지 내의 주요 암세포 생장 억제 물질이며, 이 중에서 이찬젠신이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물질인 것으로 추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Citrus junos (yuja) seeds and yuja seed oils against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to identify the key compounds responsible for this effect. Extracts from yuja seeds, yuja seed oil prepared using hexane, and cold-pressed yuja seed oil were prepared using 60% methanol (ES, EHO, and ECO, respectively). The key compounds in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using HPLC-MS. Among the extracts, EHO and ECO inhibited proliferation of HT-29 cells. EHO and ECO were fractionated using preparative LC and the bioactive compounds were determined. Five of the fractions showed a significant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the main compounds in the fractions were isopimpinellin, bergapten, and ichangensin. These compounds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HT-29 cells when treated individually, and ichangensin show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compound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cancer effect of EHO and ECO.

      • SCOPUSKCI등재

        가열 처리한 더덕 열수추출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

        안수지(Susie Ahn),김재철(Jaecheol Kim),조현노(Hyunnho Cho),박선영(Sun Young Park),황금택(Keum Taek Hwang)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2

        본 연구에서는 더덕 껍질의 활용도를 높이고 식품소재, 특히 차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더덕을 껍질과 육질로 나누어 가열 처리한 더덕으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여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였다. 더덕 열수추출물의 pH는 껍질이 육질보다 낮았고(p<0.05), 색도는 볶은 껍질과 육질의 L값이 낮고 b값이 높았다(p<0.05). 총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증건군이 볶음군보다 많았으나(p<0.05), 환원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열풍건조군이, 육질의 경우에 대조군이 많았다. 조 사포닌 함량은 대조군 육질, 볶은 육질, 열풍건조한 육질에 많았다(p>0.05). 껍질의 열수추출물이 육질의 열수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높았다(p<0.05). 더덕 분말을 차로 만들어 관능검사한 결과, 더덕 껍질로 만든 차는 향과 전반적 기호도에서 더덕 육질로 만든 차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대부분 폐기물 처리되는 더덕 껍질은 육질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산화방지 활성이 뛰어났으며, 더덕 껍질 차의 향과 전반적 기호도가 더덕 육질로 만든 차와 유사한 관능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root skin (RS) and root flesh (RF) subjected to different heat treatm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C. lanceolata RS can be used as a tea material. C. lanceolata RS and RF were roasted, hot-air dried (HDS and HDF, respectively), or steamed and hot-air dried (SHDS and SHDF, respectively). The heat-treated sampl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90℃) for 90 min. The hot water extracts of RS and RF had lower L-values and higher b-values than the other samples. The RS extracts had significantly higher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RF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acceptability of the teas made from CS, HDS, and SHD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eas made from their respective flesh sampl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C. lanceolata RS can be utilized as a tea material.

      • KCI등재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항산화 및 암세포 항증식 활성

        정하나(Hana Jung),이희재(Hee Jae Lee),조현노(Hyunnho Cho),황금택(Keum Tae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한 나무딸기류 과일(blackberry, Korean raspberry, black raspberry, boysenberry, golden raspberry)을 손으로 으깨거나 녹즙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이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고, in-vitro 모델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NO 소거능과 암세포 항증식 활성을 분석하였다. 과일추출물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각각 0.6~8.9 mg/g과 0.1~7.9 mg/g으로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다. Black raspberry 추출물은 갈지 않고 추출하여도 다른 나무딸기류 과일에 비하여 polyphenol과 flavonoid를 매우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blackberry, Korean raspberry, golden raspberry를 갈아서 추출한 것이 으깨어서 추출한 것보다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 polyphenol(R=0.995) 및 flavonoid(R=0.967)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 모두 0.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NO 소거능을 보였으며,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는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을 0.1, 0.25, 0.5 mg/mL의 농도로 HT-29와 KATO-3 암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이들 세포의 증식을 각각 3~32%와 0~57%씩 억제시켰다. Blackberry와 Korean raspberry는 0.5 mg/mL 농도에서 갈아서 추출한 추출물이 으깬 것보다 유의적으로 HT-29 암세포 증식을 억제했으며, KATO-3 암세포에서는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NO 소거능이 증가할수록 HT-29(R=0.602)와 KATO-3(R=0.498)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FRAP) of the extracts (crushed by hand or a homogenizer) of Rubus fruits (blackberry, Korean raspberry, black raspberry, boysenberry and golden raspberry) produced in Korea. In addition, their nitric oxide (NO) scavenging activity in RAW 264.7 cell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in HT-29 and KATO-3 cells were investigated.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Rubus fruits ranged from 0.6 to 8.9 and from 0.1 to 7.9 mg/g fresh fruit, respectively. Black raspberry had the highest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mong the Rubus fruits. The homogenized extracts of blackberry, Korean raspberry and golden raspberry frui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lyphenol and FRAP values than the hand-crushed extracts. FRAP values of the Rubus fruit extra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polyphenol (R=0.995) and flavonoid (R=0.967) contents. The Rubus fruit extracts suppressed the NO secretions in LPS-treated RAW264.7 cel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tracts obtained by crushing by hand and those obtained using a homogenizer. Proliferation rates of HT-29 and KATO-3 cancer cells treated with the Rubus fruit extracts at 0.1, 0.25 and 0.5 mg/mL were reduced by 3~32% and 0~57%, respectively. The homogenized extracts of blackberry and Korean raspberry fruits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proliferation activity against HT-29 cancer cells than the hand-crushed extracts. However, extraction metho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proliferation of KATO-3 cancer cells. The NO scavenging activity of the Rubus fruit extra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nti-proliferation activities of the HT-29 (R=0.602) and KATO-3 cells (R=0.49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