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생 다화성 절화용 프리지아 신품종 ‘그레이스걸’ 육성

        조해룡,김미선,박상근,신학기,최윤정,정향영,이주희,임진희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4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1997년부터 백색의 내병성 프리지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초세는 약하나 조생종인 백색 홑꽃 품종 ‘Athene’의 자가교배 실생을 모본으로 하고 내병성이 약한 백색 겹꽃 품종인 ‘Vienna’를 부본으로 하여 2001년 3월 교배를 실시하여 ‘Grace Girl’을 육성하였다. 종자를 파종하여 얻은 실생으로부터 2003년 백색의 조생 겹꽃인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생육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 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초세,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Grace Girl’ 이라 명명하였다. ‘Grace Girl’은 백색(RHS, W155D) 다화성 겹꽃 품종으로 잎과 화경의 직립성이 강하고 고성종이며 초세가 강하다. 절화 수확량은 주당 8.3개로 매우 많고 구근증식률도 우수하다. 개화소요일수는 약 135일로 대비품종에 비해 11일 정도 빠르며 포장 내 바이러스의 자연발생이 적어 국내 시설재배 환경에 적합한 품종이다. A new freesia (Freesia hybrida Hort.) ‘Grace Girl’ was developed from selfing lines between ‘Athene’ and ‘Vienna’, followed by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7. Characteristic tes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from 2005 to 2007. ‘Grace Girl’ has double flowering florets with bright white color (RHS 155D). It has good production of cormlets, vigorous growth and low virus infection. It took approximately 135 days after planting for flowering of ‘Grace Girl’, and its vase life was 7.0 days. Based on greenhouse yield trials carried out from 2005 to 2007, the average yield of ‘Grace Girl’ was 8.3 flower stems per plant. ‘Grace Girl’ could be cultivated under greenhouse condition in Korea.

      • KCI등재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프리지아 신품종 "해피버스데이" 육성

        조해룡,이혜경,김미선,박상근,신학기,정향영,임진희 한국육종학회 2011 한국육종학회지 Vol.43 No.3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 진분홍색 반겹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2000년에 'Michelle'과 'Rossini' 조합의 실생계통인 'Pink Jewel'과 'White Lace' 품종을 교배하여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품종 'Happy Birthday'를 개발하였다. 2000년 2월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 A dark pink semi-double freesia (Freesia hybrida Hort.) 'Happy Birthday' was bred from a cross between 'Pink Jewel', F1 progeny of 'Michelle' and 'Rossini' as a female and 'White Lace' as a male parent. Test for the growth vigor and flowering characteristic were conducted from 2002 to 2007. A new variety 'Happy Birthday' has semi-double flower type with dark pink color (RHS color chart #RP66C). It has multiple flowers, distinctive flower shape, upright leaves and also stalks. The average yield of this variety 'Happy Birthday' counted over 6.7 stems per plant per season in the standard greenhouse cultivation method. It has also good production of cormlets, vigorous growth. A new variety 'Happy Birthday' is suitable for the greenhouse conditions during winter season in Korea.

      • KCI등재

        백색의 분홍 화심 글라디올러스 ‘듀오’ 육성

        조해룡,구대회,이혜경,임진희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1 화훼연구 Vol.19 No.4

        순백색 바탕에 연자색 화심이 있는 만생종 글라디 올러스 '듀오'가 2000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구 원예연 구소)에 의해 개발되었다. '듀오'는 어두운 핑크색 조생 종 '트루러브'에 밝은 핑크색 중형종 '마담발딕'을 교배 한 조합에서 선발되었다. 1996년에 교배하여 얻은 실 생 종자를 파종, 1997년에 처음 선발하였으며 2000년 까지 4년에 걸쳐 생육특성검정을 하였다. 鍍扇잇는 백 색 바탕에 연자색 화심이 있는 절화용 품종으로 만생종이면서 꽃대가 휘지 않는 강한 초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여름철 노지 재배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장마철 습해에도 강하고 구근부패병에 강해 장마철 절 화가 가능한 품종이다. 생육속도는 매우 빠르며 구근 번식력도 좋다. 듀오의 여름철 개화소요일수는 97일 정도이며 구근생산재배 시 품질 좋은 구근생산을 위해 생육 기간 중 추비를 1-2회 뿌려 주는 것이 좋다. ‘Duo’, a late-flowering white gladiolus with pink core,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in 2000. The selection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progenies of the early flowering dark pink ‘True Love’ and bright pink domestic cultivars ‘Madame Valdiek’. The breeding was conducted in 1996 and selected finally in 2000 after four years (1997 to 2000) of experimentation. ‘Duo’ is a cut flower with bright white color petals and Pink core which exhibited late flowering and vigor without stem bending. It can be cultivated in areas or regions with strong winds during summer. ‘Duo’ has a very firm growth form and sturdy branches which do not bend when planted in the open fields. Likewise, the plant showed high tolerance to flooding and resistance, hence, could grow vigorously in open areas. It is a fast- growing plant which exhibits high corm production rate. ‘Duo’ had a 12.2 cm wide flower and 150 cm plant height. During summer, the average number of days to flowering was recorded at 75 days of ‘Duo’. Top dressing must be conducted once or twice during corm production to enhance corm quality and quantity.

      • KCI등재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과 선교적 공동체 연구

        조해룡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is study is about the Trinity God and the missional community in the mission thought of the Apostle Paul, who discusses the ecclesiastical theory with the Trinity God at the center of his mission thought. For Paul, the core of mission of the Trinity God is to transform people into Christ. It presents the idea of the Trinity God as an essential subject to change people into the shape of Christ. In other words, as the subject of mission, the Father God, the core of the Gospel, Jesus, and the driver who leads mission in the world, holy Spirit. This is the position and life of the church on the missional direction of the Trinity God. Paul understands the church as a new human being changed in Christ, and argues that it is the missional duty of the church to invite people to the community The church is also regarded as a group of believers who are regularly gathered for worship, fellowship and service as the people of God who have been changed and chosen.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e people who have been called to make Christ the king as the body of Jesus Christ, obey under his kingship, and live an ideal community through worship and fellowship. Furthermore, to Paul, the church was a holy community that kept the secret of God's redemption as a missional community toward the end. Then, Apostle Paul emphasizes that the true essential goal of life in the missional church is love and ethics. When the church is immersed in missional roles without true love, it understands that the church loses its purpose and direction of existence and drifts. It is not just virtue or words but the right life of the gospel to reveal the true value of Christian life to the world, and to say that the right life, morality, attitude and attitude are different from others so that sinners can be saved and society can be reform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ife and purpose of the church called as a mission community will be redefined and the missionary responsibilities appropriate for the call of the Trinity God will be renewed 본 연구는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과 선교적 공동체에 관한 연구이다. 사도바울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그의 선교사상의 중심에 놓고 교회론을 논한다. 그에게 있어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핵심은 사람들을 그리스도 형상으로 변화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바울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본질적 주체로서 삼위일체 하나님을 제시한다. 즉 선교의 주체로서 성부 하나님, 복음의 핵심이신 성자 예수, 그리고 세상에서 선교를 이끌어 가는 동인으로서 성령이다. 이러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사상 위에서 교회의 위치와 삶을 논한다.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된 새로운 인류로 이해하면서 하나님 나라를 증거하기 위해 사람들을 공동체로 초청하는 것이 교회의 선교적 책무임을 주장한다. 또한 변화되고 선택받은 하나님의 사람들로 예배, 교제, 봉사를 위해 정규적으로 모이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간주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 그리스도를 왕으로 삼고 그분의 왕권 아래 순종하며, 예배와 교제를 통해 이상적인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부름 받은 선교적 백성으로 명명한다. 나아가 교회를 종말을 향해 가는 선교적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구속의 비밀을 간직한 거룩한 공동체로 이해한다. 이러한 교회론적 이해로부터 사도바울은 선교적 교회의 진정한 본질과 삶의 목표는 사랑과 윤리임을 강조한다. 교회가 진정한 사랑이 결핍된 채 선교 사역에만 몰두하게 될 때 교회는 교회의 존재 목적과 방향을 잃고 표류하게 된다고 강조한다. 단순한 미덕이나 말이 아니라 복음의 합당한 삶을 통해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삶의 가치를 세상에 드러내고, 바른 삶의 윤리와 사랑을 통해 죄인을 구원할 수 있고 사회 개혁을 이끌 수 있다고 단언한다. 따라서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을 통해 선교 공동체로 부름 받은 교회의 삶과 목적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 세상에서 교회의 진정한 삶의 본질과 목적은 하나님의 선교에 있음을 새롭게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 선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미래 선교의 전략과 방향 모색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1 No.-

        4차 산업혁명의 지능화된 기술들은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왔던 삶의 패턴을 바꾸고 새로운 신기술을 통해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스마트한 세상, 경제성장, 그리고 노동의 질을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다. 반면,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은 심각한 불평등, 부의 편중화, 빈익빈 부익부, 인간소외, 인간 노동력의 상실, 직업의 종말 등과 같은 심각한 갈등 요소들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며 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 선교의 미래 전략과 방향을 몇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는 현장에 맞는 선교신학을 견고하게 세우는 것이며, 둘째는 선교 플랫폼을 만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공유하고, 셋째는 유비쿼터스 선교 시스템을 구축해 전 세계를 하나의 선교지로 연결하는 것이며, 넷째는 소통과 책임 리더십 강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선교 전략과 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일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 선교는 과거 선교 방식을 탈피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기술들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선교가 이루어지도록 소통과 공유, 협업과 에큐메니칼적 연대를 통해 선교 생태계를 회복해 가야 할 것이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hange the pattern of life we ​​have lived and create a new society and economy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But we expect to confront a series of conflicts such as extreme inequality between wealthy and poor, social alienation, loss of human labor and eventual unemployment. Taking this into account, I have researched possible strategies for Korean missions during this change. First, we have to establish mission theology that is appropriate to the mission field. Second, we have to create a mission platform and develop the network. Third, we have to establish a ubiquitous mission system as one mission field. Next, we constantly have to seek for effective strategies through good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 KCI등재

        Development of Two New Zantedeschia Cultivars Resistant to Bacterial Soft Rot

        조해룡,김기선,정향영,임기병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2

        Calla lily is a mainstream floricultural crop but itscommercial success is limited by severe susceptibility to softrot. This disease can be controlled to some extent by implementingappropriate cultural practices but developing resistantcultivars against this pathogen is the most promisinglong-term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developnew cultivars resistant to this bacterial disease by initiatingan appropriate breeding programme. Field observations of120 resistant lines selected by a leaf-disk susceptibility testwere carried out and survival rates were measured. Twolines were selected after further evaluation of resistancelevel,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following guidelines forconduct of tests for distinctness, homogeneity, and stability. Further preference testing of the selected lines by growers,consumers, researchers and agricultural advisors was carriedout with excellent results. The selected new lines are‘Silky White’ and ‘Mont Blanc’ which emerge as the first,soft-rot resistant calla lily cultivars from our breeding program.

      • KCI등재

        황색 겹꽃 대형화 절화용 프리지아 신품종 "Golden Amor" 육성

        조해룡,임진희,이혜경,김미선,최성렬,신학기 한국육종학회 2009 한국육종학회지 Vol.41 No.3

        1997년부터 황색 겹꽃 프리지아 품종 육성을 위한 품종을 수집하여, '98년 2월에 'Golden Crown'을 모본으로 하고 'White Wing'을 부본으로 한 교배조합으로부터 240개의 종자를 획득하였다.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황색겹꽃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생육 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병 저항성,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 A golden double freesia (Freesia hybrida Hort.) "Golden Amor" was developed from a cross 'Golden Crown' and 'White Wing' followed by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5.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 tests were conducted from 2000 to 2005. "Golden Amor" has large double type flower with bright golden color (RHS 12B). It have multiple florets, good flower shape, upright leaves and stalks. The average yield of "Golden Amor" was 6.0 cuttings per plant in greenhouse carried out from 2003 to 2005. It has good production of cormlets, vigorous growth and resistance to Fusarium and virus. "Golden Amor" would be cultured under greenhouse conditio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 출현에 있어서 ‘교회와 선교’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신학 논쟁: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의 선교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9 No.-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 태동에 있어서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 선교신학 안에 나타난 교회와 선교에 대한 선교신학 논쟁에 관한 연구이다. 두 진영이 갖고 있는 신학적인 입장과 차이들은 교회와 선교에 대한 서로 다른 진술들을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선교에서의 교회 위치와 삶의 자리를 각각 달리 해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선교에 대한 교회 역할에 있어 에큐메니칼 입장은 사회 참여와 변혁적 삶에 보다 치중하는 신학을 강조했다면, 복음주의 입장은 복음 전도와 영혼구원, 교회 개척에 보다 치중하는 신학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진영의 인식론적 변화들은 화해를 모색하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선교에 있어서 교회의 삶의 자리는 복음 전도와 사회 참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임을 새롭게 인식했다. 무엇보다 두 진영의 지속적인 협력 모색은 통전적 선교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또한 상호간의 선교신학 보완을 위해 화해를 모색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historical debate about church and mission in ecumenical and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n the beginning of missional ecclesiology. The theological positions and differences of the two camps not only produced different statements about the church and mission, but also resulted i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church's position and place of life in mission. While, the ecumenical focused on social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al life, the evangelical emphasized on evangelism, salvation of human being, and church planting. Nevertheless, the epistemological changes finalized to seek reconciliation. In mission, the church's place of life has been newly recognized that evangelism and social participation occur simultaneously. Above all, the two camps sought to pursue reconciliation to complement their mutual theological 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