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 하우스 토양에서 녹비작물 재배가 Biomass-C와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병진,윤태현,조우태,전현식,조영손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시설재배지 토양에 녹비작물의 재배가 Biomass-C와 토양 양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pot(Ø10-cm)에 헤어리벳치, 호밀, 발랭이를 70일간 재배 후 식물체와 토양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생육량은 호밀이 가장 많았으며, 질수흡수량은 헤어리벳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밀 재배구가 토양의 인산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biomass C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후 토양의 질소함량과 식물체 질소 흡수량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T-N 함량은 헤어리벳치 시험구에서는 증가하였지만, 호밀과 바랭이 재배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볼 때 시설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토양의 염류집적(EC) 인데 시험 후 토양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콩과인 헤어리벳치는 EC가 약간 증가했고 다른 무기성분은 큰 변화가 없으며, 화본과인 호밀은 EC와 다른 무기성분도 약간 감소하는 경향으로 시설연작재배지에서는 화본과 작물이 염류집적 경감을 위해서 유리하다 This experiment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ping in green house soil on the changes of soil nutrients and soil microorganisms. The biomass of green manure crop was the highest in ryegrass and nitrogen absorption was the highest in hairy vetch. After cropping, soil phosphate content was the lowest in ryegrass, however, biomass C was the highest of all the green manures. Nitrogen uptake of plant and nitrogen content of the soil after the experi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tal N content of soil was increased in hairy vetch plot, but decreasing tendency showed in the ryegrass and common crabgrass plots. In this results are summarized that green manure cropping greatly reduced salt accumulation in green house.

      • KCI등재

        시설 하우스 토양에서 녹비작물 재배가 Biomass-C와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병진,윤태현,조우태,전현식,조영손,Lee, Byung-Jin,Yoon, Tae-Hyun,Cho, Woo-Tae,Jun, Hyun Sik,Cho, Young-S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시설재배지 토양에 녹비작물의 재배가 Biomass-C와 토양 양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pot(${\phi}$10-cm)에 헤어리벳치, 호밀, 발랭이를 70일간 재배 후 식물체와 토양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생육량은 호밀이 가장 많았으며, 질수흡수량은 헤어리벳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밀 재배구가 토양의 인산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biomass C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후 토양의 질소함량과 식물체 질소 흡수량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T-N 함량은 헤어리벳치 시험구에서는 증가하였지만, 호밀과 바랭이 재배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볼 때 시설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토양의 염류집적(EC) 인데 시험 후 토양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콩과인 헤어리벳치는 EC가 약간 증가했고 다른 무기성분은 큰 변화가 없으며, 화본과인 호밀은 EC와 다른 무기성분도 약간 감소하는 경향으로 시설연작재배지에서는 화본과 작물이 염류집적 경감을 위해서 유리하다. This experiment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ping in green house soil on the changes of soil nutrients and soil microorganisms. The biomass of green manure crop was the highest in ryegrass and nitrogen absorption was the highest in hairy vetch. After cropping, soil phosphate content was the lowest in ryegrass, however, biomass C was the highest of all the green manures. Nitrogen uptake of plant and nitrogen content of the soil after the experi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tal N content of soil was increased in hairy vetch plot, but decreasing tendency showed in the ryegrass and common crabgrass plots. In this results are summarized that green manure cropping greatly reduced salt accumulation in green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