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와 대퇴골에서 골다공증 진단 불일치와 관련된 신체계측 요인

        조민소,최희정,이미영,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2

        연구배경: 뼈의 건강 상태는 척추와 대퇴골에서 측정한 골밀도 T-값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한다. 한 부위에서만골밀도를 측정하는 경우 척추와 대퇴골에서의 진단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재가 필요한 환자를 누락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척추와 대퇴골에서 각각 골밀도를 측정하였을 때 T-값을 기준으로 진단 불일치정도를 알아보고, 진단 불일치와 관련된 신체계측 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남녀 성인 3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계측과 DXA로 측정된 변수를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각각의 골밀도와 상관관계를 가진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를보정하고 편상관분석을 하였고, 진단 불일치와 관련된 신체계측 변수를 찾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6.8±10.7세였고, 진단 일치는 56.9%,소 불일치는 39.5%, 대 불일치는 3.6%에서 나타났다. 나이, 성별을보정하였을 때, 허리-엉덩이둘레비 3군과 4군에서 척추, 대퇴골 골다공증 진단 불일치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 2.05,95% CI 1.07–3.95; OR 2.13, 95% CI 1.09–4.14). 결론: 골다공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적 중재를 위한 진단이나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척추 골밀도의 T-값이 정상 또는 골감소증 범위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허리-엉덩이둘레비가 증가된 경우 대퇴골 골밀도까지 측정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Osteoporosis is diagnosed based on the lowest T-score at the L1–L4 lumbar spine and total hip bone mineral density (BMD). Occasionally,there is discordance in diagnosis of osteoporosis which is the presence of different categories of T-scores in two skeletal sites of an individual. Weaimed to find the body measur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discordance in diagnosing osteoporosis using spinal and total hip bone densitometry.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362 participants who had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Variables were measured via body metering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performed on L1–L4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variables related to spinal and hip BM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body measurement factors associated withdiscordance in diagnosing osteoporosis. Results: The participants’ mean age was 56.8±10.7 years. Concordance of T-scores, minor discordance, and major discordance were present in 56.9%,39.5%, and 3.6% of participants,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the odds ratio for the discordance in diagnosing osteoporosis wassignificantly higher in the 3rd and 4th quartiles of the waist-hip ratio (odds ratio [OR] 2.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7–3.95; OR 2.13, 95% CI1.09–4.14). Conclusion: Even if the T-score of spinal BMD is within the normal or osteopenic rang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confirm hip BMD when the waisthipratio is high.

      • KCI등재후보

        폐경 여성에서 혈청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의 예측 인자

        정동,최희정,심예나,조민소,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5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여성은 폐경 후 혈청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폐경 여성에서 생활습관 중재 방법을 시도하여도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감소 폭은 적다. 이에 폐경 여성에서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연관성이 있는 위험인자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폐경 후 성인 여성 4,9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과 혈액검사에서 측정된 변수를 이용하여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상관성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분석을 하였고,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예측할수 있는 변수를 찾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7.3±6.6세, 평균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124.6±33.3 mg/dL, 평균 체질량지수는 23.6±3.2 kg/m2,평균 허리둘레는 78.4±8.3 cm로 21.5%가 복부비만이었다. 나이를보정한 후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체질량지수, 체지방량,허리둘레 등의 비만관련 신체계측 치와 염증 표지자, 요산, 총 빌리루빈 등의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적혈구침강속도, 체지방량, 총 빌리루빈, 요산, 공복혈당, 백혈구 수가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나이가 음의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염증 표지자, 비만,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와 같은 요인이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n general, women tend to increase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fter menopause. Hypercholesterolemia is a riskfactor that causes atherosclerosis and increas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dditionally,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creases evenwhen attempting to modify lifestyles in menopausal women. Therefore, we wanted to find out what risk factors are associated with low-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 in menopausal women.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4,943 subjects who had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Variables are measured in body metering and bloodtest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variables that can predict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7.3±6.6 years old, the averag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124.6±33.3 mg/dL,the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3.6±3.2 kg/m2, and the average waist circumference was 78.4±8.3 cm, and 21.5 percent of subjects wasabdominal obesity.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oxidative stress-related indices, andinflammatory markers such as ESR, CRP. ESR, body fat mass, total bilirubin, uric acid, fasting plasma glucose, and WBC count showed positivecorrelation with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ag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factors, such as inflammatory markers, obesity and oxidative stress related indices were associated withelevated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에서 근육부족량과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섬유화 점수와의 연관성

        심예나,최희정,정 동,조민소,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5

        Background: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NFS) i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eatment by predicting the degree of liverfibr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Muscles are the main target organs for insulin, and sarcopenia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of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uscle mass deficits (MMDs), estimated by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nd the NFS in adults without central obes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704 adults who had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NF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NFS. Logistic regressionanalyses were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for intermediate to high NFS (≥-1.5), according to the MMD groups.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was used to estimate the corrected means of MMD, according to the NFS groups. Results: NF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MD after adjusting for sex and waist circumference (r=0.033, P<0.05). MM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NFS after adjusting for sex, waist circumference, MMD and other variables in the regression model (R2=0.111). The odds ratios for intermediate tohigh NFS (≥-1.5)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MMD grade after adjusting for age, sex, waist circumference, lifestyle factors, and other variables. Conclusion: BIA estimates of MMDs in adults without central obe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FS. Hence, MMD was identified as a factordetermining the NFS. This suggests that MMD is a predictor of the progression of fibrosis in patients with NAFLD but without central obesity. 연구배경: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NAFLD fibrosisscore, NFS)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간 섬유화의정도를 예측하여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근육은 인슐린이 작용하는 주요 표적기관 중 하나이며 근육량 부족은 대사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 이 연구는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생체전기저항분석시 측정되는 근육량을 이용하여 계산한 근육부족량(muscle mass deficit, MMD)과 NFS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하여 체성분분석과 복부초음파를 시행하였고 허리둘레 측정 상 복부비만이 없었던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3,7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FS와 상관성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분석을 하였고, NFS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찾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근육부족량에 따른 중등도 이상의NFS (≥-1.5)에 대한 교차비는 근육부족량을 사분위수로 나눈 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하였다. 근육부족량의 교정평균치를비교 분석하기 위해 일변량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성별과 허리둘레를 보정한 후 NFS는 MMD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33, P<0.05). 성별, 허리둘레, MMD 등을 비롯한 기타 변수들을 보정하고 MMD는 NFS의 결정인자로 나타났으며,이들 변수가 NFS를 11.1% 설명할 수 있었다(R2=0.111). 나이와 성별,생활습관 관련 변수와 기타 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보정하였을 때에도 근육부족량이 가장 큰 군이 중등도 이상의 NFS 군에 속할 교차비가 1.96 (95% CI, 1.29–2.99)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에서 생체전기저항분석으로 측정한 근육부족량이 많을수록 NFS가 높았으며, 근육부족량이 NFS를 결정짓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부비만이 없는NAFLD 환자에서 근육량 부족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섬유화 진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