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L `움직임을 통한 경청과 소통실습`을 중심으로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7 무용역사기록학 Vol.44 No.-

        본 연구는 소마춤에서 몸에 대한 인식과 소마춤에서 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SCL(서울크리에이티브렙)에서 진행한 제7기 `움직이는 창의성` <움직임을 통한 경 청과 소통실습> 수업의 참여자들을 관찰하고 인터뷰하였다. SCL 수업은 무용전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을 위한 춤교육 프로그램으로 매주 1회 3시간씩 4회 총 12시간 소마춤 수업과 워크숍 공연을 하였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 문헌연구를 통해서 몸학(Somatics)의 논의들을 정리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연구에 들어가 소마춤에서 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서 수업하는 장면과 워크숍 공연하는 것을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춤 수업 참여자들이 수업에 참여하며 체험한 내용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을 촬영한 동영상을 여러 번 보면서 관찰한 내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SCL 참여자들은 자신의 몸이 춤의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즐겁게 참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이 춤추는 동료들과의 소통은 다양한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소통을 뛰어 넘어 자연과의 합일과 소통을 지향하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SCL에서 진행한 소마춤이라는 사례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을 연구한 것이다. 비록 본 연구가 하나의 사례에서 소통의 문제를 연구한 것에 불과하지만 춤에서 소통의 지평을 넓히는데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s soma in dance, how danc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hat is communication in dance.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exploring “Somatics” in culture and dance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y doing so, I would like to study what is soma and how to communicate specifically in dance.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irect soma of the researcher, which is a method of `Somatics`, was also used as an auxiliary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only one study exploring the way communication is done in soma dance. This study can be a small reference in terms of widening the horizon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defining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n all dance performances as one standard.

      • KCI등재

        무용기록학의 새로운 인식: 무용 에크프라시스의 개념 및 방식에 대한 시론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8 무용역사기록학 Vol.49 No.-

        본 연구는 무용기록학의 발전을 위해서 무용 에크프라시스의 개념을 규명하고 그 특징과 방식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에크프라시스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무용에크프라시스의 개념과 방식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무용 에크프라시스는 역사. 정치, 이데올로기 문화 등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작품 내부의 다양한 텍스트까지 읽어내야 한다. 무용 작품에 대한 연구는 에크프라시스를 동반함으로 상호매체성을 내재하고 있다. 무용작품을 문자텍스트로 변한 시키는 무용 에크프라시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활성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론은 문헌연구법을 채택하였다. 에크프라시스에 대한 서적과 음악. 디지털 에크프라시스에 대한 문헌을 읽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순간적으로 끝나 버리는 무용 행위를 이론적이고 역사적 차원으로 끌어 올리게 한다. 또한 본 연구가 무용작품을 보다 풍부한 문자로 전환해서 심도 깊게 작품을 연구하는데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dance ekphrastic. We take a look at the concept of ekphrasis and then looked into the notion of ekphrasis in dance. Ekphrastic dance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iece whilst interpreting its content. Ekphrasis accompanies dance studies, making intermediality an inherent part of the discipli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kphrastic dance, or the art of transforming dance works into text. This study uses methodology from literature studies by exploring books, music, digital ekphrasis. Such a study can give something as fleeting as a dance movement theoretical and historical weight. By transforming dance into words, we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extend the concept of dance research.

      • KCI등재

        아이돌 춤에 관한 연구 : 소녀시대 춤 < Gee >를 중심으로

        정겨울 ( Jeong Kyeoul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6 No.-

        우리가 살고 있는 포스트모던 시대는 분명했던 예술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순수예술과 대중예술 영역은 함께 어우러지며 각 장르의 장점은 받아들이고 약점은 보완하여 통합하는 현상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 통합되고 대중무용에 대한 중요도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무용의 대표적인 한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아이돌 걸그룹 소녀시대의 노래 중 < Gee >의 춤을 분석하고 해석과 평가를 통해 그 춤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법과 무용분석법을 통합하여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법으로는 아이돌 관련서적과 논문 등을 참고하여 대중예술과 아이돌의 개념을 추출하고 그 특징을 정리했다. 무용분석법은 자넷 에드쉐드 란스데일(Janet Adshead-Lansdale)의 무용분석법을 기반으로 소녀시대의 < Gee >의 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기사와 사진 그리고 뮤직비디오와 무대 영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무용분석의 네 단계인 구성요소, 형식, 해석, 평가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춤에 귀여움과 섹시미를 강조하여 남성 팬층을 이끌어낸다. 둘째, 포인트 안무를 통해 특정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서 대중이 흥겹게 즐길수 있는 대중성을 형성한다. 셋째, 단순하고 따라 하기 쉬운 동작은 관객에게 친숙함을 주는 동시에 그들로 하여금 적극 동참하여 응집하게 한다. 대중예술이 대중들의 실생활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시대에 본 논문을 통해 춤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여 대중무용이 대중에게 보다 감동을 주는 춤으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 This postmodern era that we live in has its characteristics of eradicating the boundaries between forms of art. In this movement, where pure art and popular art are actively fusing and the importance of popular dance is becoming apparent, this paper has been developed to study a representative case on popular dance. For research methods, case studies and Dance Analysis has been combined. Case studies on idol related publications and thesis papers were used to demonstrat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r art and idols. With Dance Analysis, details of < Gee > has been examined. To accomplish this task, details from news articles, pictures, music videos, and stage clips has been reviewed and the four stages of Dance Analysis,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Dance, Discerning the Form of the Dance, Interpreting the Dance, and Evaluating the Dance has been applied. The thre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dance emphasizes cuteness and sexiness to attract male fans. Second, the dance moves are highly repetitive, which makes it easy to pick up, appealing to the mass, exciting and enjoyable with popularity. Third, the easy-to-follow moves are friendly and makes the spectators join to develop an extraordinary feeling of group cohesiveness. In this culture, popular ar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 I earnestly hope that this work could offer a complimentary vision for popular dance to rediscover its true meaning and value and elevate its status to a inspiring dance.

      • KCI등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기반한 안무자의 작품분석: 무용작품 < Walk >를 중심으로<sup>+</sup>

        조정희 ( Jo Junghee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5 No.-

        이 논문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에 의거하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자의 박사학위 졸업 작품인 < Walk >를 분석한 것이다. 춤을 추는 무용수들이 자신의 춤추는 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무용수들이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동작을 할 경우에 몸의 주체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본 논문의 연구법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과 `무용분석법`을 통합해서 사용하였다. `실기기반연구법`을 기반으로 무용작품 < Walk >를 구상부터 연습과정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축한 연습노트와 몸의 체험 자료(Somatic data)를 기반으로 작품에 참여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작품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애드쉐드(Janet Adshead-Lansdale)의 무용분석법을 토대로 작품의 여러 가지 요인들의 연결과 맥락 속에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추출 해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수가 안무자가 제시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할 때와 무용수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움직일 때 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현격하게 드러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무용수가 주체적으로 동작을 실행했을 때 몸에 대한 감각이 풍부해지고 무용에 대한 자신감도 생겼다. < Walk >의 무용수들은 `몸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몸을 느끼는 속도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6명의 무용수 모두 그 작품에 참여하며 몸 주체성을 체험하였다. `몸 주체성` 이라는 새로운 인식과 감각의 체험은 무용수들에게 무용예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였고 보다 창조적인 동작을 구사하게 하는 성장도 이루게 했다. 본 연구가 구체적인 무용창작 현장에 적용되어 무용수들이 안무자가 가르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차원에서 머무르지 말고 그들 스스로 행하는 춤의 주인이 되게 하는데 유용한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analyzes my dance work, Walk. It is crucial that dancers, as the main agent of dance art, embody their dancing as real experience and recognize their dancing bodies. This research questions if dancers, when becoming the principal agents of their bodies, experience bodily subjectivity differently from what they feel when they passively dance. The methodology used for this study includes practice based research and dance analysis.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discourse of body in order to understand dancers` bodily subjectivity. Practice based research refers to a particular type of inquiry that interrogates the whol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performance. For this, we analyzed somatic data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my dance work Walk in order to illuminate the changing recognition of bodily subjectivity. When it comes to dance analysis methodology, we adopted Janet Adshead-Lansdale`s dance analysis model. The research`s findings are as follows. dance works Walk adopted bodily exploration early in the stage of practice, dancers could move their bodies with more integrity. Dancers in Walk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depth of recognizing bodily subjectivity as well as of the speed of experiencing their bodies. However, as they gradually experienced their own bodie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nd showed progress in performing creative movements. These analyses indicate that dancers as well as artists can recognize their bodies as active and subjective when an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builds on. The dance field in Korea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bodily subjectivity. we hope this research would stimulate further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 KCI등재

        소매틱(Somatics) 기반 움직임 교육원리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박혜연 ( Park Hyeyoun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2 No.-

        인간은 몸(soma)으로 세상에 왔고, 몸을 통해 감각하고 사고하며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몸의 감각을 잃고 몸의 지성을 상실하며 병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몸의 생명력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 방안으로, 소매틱스(Somatics)에 관한 이론적 업적 분석을 통해 움직임 교육원리를 탐색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의 실행과 평가는 후속연구로 남긴다. 첫째, 소매틱 기반 움직임 교육원리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교육목표는 `이완, 각성, 깨어있음, 풍성한 삶`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교육내용은 `몸` 그 자체와 몸이 시간, 공간, 관계의 요소로 어우러져 나타나는 `움직임`이 될 수 있다. 교육방법은 학습자의 직접체험에 근거한 일자 체험을 유도하기 위해 묘사, 비유, 설명, 질문 등의 `언어적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체험할 수 없는 부분을 타인을 통해 경험하는 이자 체험을 인도하기 위해 접촉 등의 `비언어적 방법`이 동반될 수 있다. 둘째, 소매틱 기반 움직임 교육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우선 위에서 도출된 움직임 교육 원리를 반영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인 `Soma 4A Program`을 개발하였다. 특히 몸의 총체성, 수직성과 전면성, 균형성과 수평성의 특성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3가지 세부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로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다양한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실천을 위해 사회적 인식의 확산 및 다양한 기관의 공조, 무용교육과의 연계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소매틱 기반 움직임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 되고, 무용인과 일반인들이 자신의 몸을 알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 Human beings think, study, and develop creativity and character somatically. However, at present, many people are pressured and stressed; as a result, they have lost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develop a program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somatics as a practice plan for the recovery of the vitality of soma. First, the principles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are as follows: The goals of education are atony, awareness, awakeness, and abundance.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soma and movement responding to temporal, spatial, and relational factors. The methods of education are composed of verbal methods leading to first-person experience, including description, comparison, explanation, and questions, and non-verbal methods leading to second-person experience, including touch. Second, the program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was as follows: The “Soma 4A program”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principles described above. Specially, three programs were actualized with a focus on characteristics like totality, verticality and confrontation, balance and horizontality, and movement. Finally, we recommend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is program, developing various programs, expanding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and connecting this to dance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represent a small steppingstone in movement research-based somatics, and that it will help dancers and ordinary person to understand the soma through the provision of valuabl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