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일본의 개항장 나가사키에서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 문제 -아시아간 개항 실태에 대한 사례 연구-

        조국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3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hinese Consular courts in Nagasaki, the treaty port of Japan, to provide a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to modern Korea-Japan relations. The study of consular jurisdiction was mainly based on Western cases. However, the Qing Dynasty exercised consular jurisdiction in Japan, as well. This article focuses on civil cases in Nagasaki during the 1880s and the 1890s. The civil cases show not only the relationship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in Nagasaki, but also impass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facing different situations in the modern law system. The Civil law and the Civil procedure code were not established in the Qing Dynasty at that time, whereas Japan was on the way to enacting those laws. For Japan, those modern laws are necessary for the revision of the “unequal” treaties with the West. At the same time, under the Sino-Japanese Treaty of 1871, which claimed the equality of the two countries, Japan encountered another problem of consular jurisdiction. The exercise of legal rights by Chinese in Japan prevented the Meiji government from applying modern civil laws to Japanese plaintiffs against those Chinese. In other words, the Sino-Japanese Treaty of 1871 was an unequal treaty for Japan, and should be denied by the “theory of civilization” or by “modernization.” 일본이 어떠한 경위를 거쳐 개항을 했고 그 실태는 어떠하였는지를 밝히는 작업은 근대 한일관계를 검토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의 개항 실태에 대한 그동안의 이해는 추상적인 수준에 그쳐왔다. 본고는 이같은 문제의식 하에, 일본의 개항장에서 이뤄진 영사재판권을 검토하여 그 실태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기존의 영사재판 연구가 주로 서양이 행사한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본고는 일본 재류 외국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청국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영사재판에 주목하였다. 잔존 사료의 제약으로 분석 시기와 대상 지역은 1880년대~90년대 나가사키(長崎)에서의 민사사건에 한정하였으나 이를 사건의 성격, 재판 형식에 따라 분류, 검토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민사사건 검토의 의미는 첫째, 개항장에서 일본인과 청국인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전 거래를 둘러싼 소송에서는 일본인에게 물건을 구입하여 수출하는 청국인 무역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 일본인 도매상을 통해 개항장에서 소매업을 꾸려나간 청국인의 사례도 확인된다. 이는 대중국 수출입을 담당한 무역상인, 혹은 그 대척점에 존재하는 하급 노동자(쿨리)로서 단순히 분류되는 재류 청국인의 생활상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인사사건에서는 청국인과 일본인 첩, 일본인 유모, 청국인과 일본인의 혼인 문제 등, 상업 거래를 통해서는 보이지 않는 양국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근대적인 민사재판제도가 갖추어지지 않았던 청국과, 민법 및 민사소송법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던 일본이 교착하는 양상이 드러난다는 점에 있다. 영사재판의 개별 사안에서 영사의 재량에 따른 유연성이 발휘될 여지는 남아 있었지만, 항소나 형사 부대 소송사건을 인정하지 않는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는 일본인 원고에 대한 근대적 사법제도의 운용을 제약하는 결과를 낳았다. 물론 법권회복의 측면에서 영사재판권의 철폐는 서양, 청국 어느 쪽을 향해서도 통하는 논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법 제도의 근대화가 서양과의 조약개정을 위한 전제가 된 반면, 청국과의 조약개정은 영사재판의 ‘전근대성’을 타파하는 길이기도 했다. 상호 대등성을 바탕으로 성립한 청일수호조규는 문명의 우열 논리 속에서 부정되어야 하는 불평등한 조약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The Exclusion of Illegally Obtained Confessions,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Physical Evidences in Korea

        조국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Law Vol.13 No.2

        The 1987 Constitution of Korea explicitly stipulates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in criminal procedures and provides very detailed Bill of Rights provisions regarding criminal procedural rights. This “constitutionalization of criminal procedure”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Exclusionary rules are in the middle of this “revolution”. The Korean judiciary and legislature that experienced the dark age of procedural rights under the long authoritarian rule chose to adopt the exclusionary rules as a useful tool to deter police misconduct. Firstly, this paper starts by reviewing the terrible situation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of Korea and the legal change after democratization. Secondly, focusing on the landmark judicial decisions and legislations including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nd the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Act, it examines three categories of exclusions: the exclusion of incriminating statements obtained in the process of illegal arrest or interrogation, communications by illegal wiretapping and physical evidences obtained by illegal search-and-seizure. Finally, it analyzes the remaining issues regarding the aforementioned exclusionary rules.

      • KCI등재후보

        독수과실의 원리

        조국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09 刑事判例硏究 Vol.17 No.-

        On November 15, 2008 the Korean Supreme Court made a landmark decision to exclude illegally obtained physical evidence. It also adopted the “fruit of poisonous tree" doctrine, which excludes the derivative evidence obtained through the first tainted evidence. This Article reviews the Supreme Court's two decisions that applied the “fruit of poisonous tree" doctrine. First, the Decision of March 12, 2009 provides more specific standards to decide whether to exclude “tainted fruits." It requests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ll the circumstances regarding the collection of the first tainted evidence: the reasons and degree of process violation, the possibility of avoiding the violation, the causation between process violation and evidence collection, and the willfulness or negligence of law enforcement officers. Then, it does not exclude the physical evidence obtained without warning the suspect of the right to silenc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ight to silence is the most crucial legal instrument to protect a suspect, particularly when the suspect is under interrogation without his/her counsel; it is a grave violation for a police officer not to warn a suspect of the right; in this case, exceptions of the “fruit of poisonous tree" doctrine are not applicable; so the physical evidence obtained without warning a suspect of the right to silence should be excluded. In the Decision of October 23, 2008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fingerprints on the illegally seized bottles and cups are admissible even if the seizure of the bottles and cups is illegal. This Article argues that such a view may weaken the constitutional request for warrant for search-and-seizure; the illegal seizure of the bottles and cups contaminates the evidentiary power of the fingerprints. In this case, however, the consent of the victim who is the owner of the bottles and cups is reasonably inferred, so the seized bottles and cups are admissible and the fingerprints on them are also admissible.

      • KCI등재
      • KCI등재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의 국가 인식

        조국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60 No.-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the career of Okuma Shigenobu, a politician who was active throughout modern Japanese history from the end of the shogunate to the Taisho period, and to identify the type of modern state and the role of politics he sought.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abolition of the feudal prefectures, Okuma, who sought a unified Japanese state, recognised that politics reflecting public opinion, specifically the governance of the country through a Parliamentary system, was the trend of the times. He worked to realise it both in and out of government. For Okuma, public opinion(民意) did not necessarily mean the majority opinion of the people. He recognized that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by politically mature people and the acquisition of power based on that opinion were the true implementation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In this respect, Okuma can be evaluated as having consistent perceptions and political activities, rather than pandering to public opinion. However, as a politician who was sensitive to the spirit of the times, he also implemented a foreign policy that reflected the situation of Japan at the time, which was “inward constitutionalism, and outward imperialism”. This shows the virtues and limitations of Okuma as a realistic politician. 이 논문은 막부(幕府) 말기부터 다이쇼(大正) 시기에 이르기까지 일본 근대사를 관통하며 활동한 정치가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의 이력을 재조명하며 그가 추구한 근대 국가의 모습과 정치의 역할을 규명했다. 메이지유신(明治維新)과 폐번치현(廢藩置縣)의 과정에서 번을 벗어나 통일된 일본 국가를 추구한 오쿠마는 국민의 여론을 반영한 정치, 구체적으로는 의원내각제를 통한 국가 통치가 시대적 흐름이라 자각하고 그 실현을 위해 조야(朝野)를 넘나들며 진력했다. 오쿠마에게 민의란 반드시 국민 다수의 의견을 의미하지 않았다. 정치적으로 성숙한 국민들에 의한 여론 형성과 이에 기반한 정권 획득, 국정 운영이 이뤄질 때야말로 진정한 헌정의 실시라고 오쿠마는 인식했다. 이러한 점에서 오쿠마는 단순히 여론에 영합한 임기응변식 정치가 아닌, 일관된 인식 속에서 정치활동을 벌인 정치가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여론을 반영한 정치, 시대 정신에 민감히 반응한 오쿠마였기에 ‘안으로는 입헌주의, 밖으로는 제국주의’라는 당시 일본의 상황을 충실히 반영한 대외정책을 추진하기도 했다. 이는 현실 정치가로서의 오쿠마의 미덕과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