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허청구범위의 ‘실질적 변경’ 관련 해석론 및 입법론

        정차호(Jung Cha Ho),윤기승(Yoon Gi Seung) 한국정보법학회 2009 정보법학 Vol.13 No.2

        특허청구범위의 실질적 변경과 관련된 해석론으로, 본 고는 (1) 실질적 변경 대비의 대상은 특허청구범위만이며, 명세서 등은 참고될 뿐이고, (2) 같은 번호를 가진 청구항만을 대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번호를 가진 청구항도 대비되어야 하고, (3) 실질 적 변경과는 별도로 신규사항추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하며, (4) 내적 한정의 범위 감축 중 선택발명의 경우 실질적 변경이 있을 수 있고, (5) 내적 한정과 외적 부가는 달리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목적 또는 효과라는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되어야 하며, (6) 실질적 변경 판단의 방법과 진보성 판단의 방법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특허청구범위의 실질적 변경과 관련된 입법론으로, 본 고는 ① 실질적 변경 여부의 판단이 너무 어려워서 소모적인 논쟁 및 심결에의 불신 및 불복을 유도한다는 점, ②실질적 변경 요건이 제3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허구이며, 실질적 변경요건을 삭제하여도 제3자가 피해를 보는 일은 없다는 점, ③ 실질적 변경 요건을 일본 외 다른 국가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국제적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는 점에근거하여 정정에서도 실질적 변경 요건을 삭제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그러한 기회에 정정제도를 총체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정정심판과 무효심판의 관계 재정립 등 정정제도 전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As analytic theories regarding substantive change of a patent claim, this paper explains: (1) an object of comparison whether there is substantive change is only claims and other parts of specification is only referred, (2) not only the claim with the same number but also other claims shall be compared, (3) the issue whether new matter has been added shall be separately decided from the substantive change issue, (4) a selection invention which is a type of inward limitations may cause substantive change, (5) an inward limitation and an outward addition shall not be differently treated but be decided under the same criteria, which is new objective and effect, and (6) the methodology for substantive change decision and that for inventive step decision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As legislative proposals regarding substantive change of a patent claim, this paper proclaims the substantive change requirement had better be deleted during a correction procedure under following reasons: (1) a decision on substantive change is such difficult to induce continuous debates and disbelief and appeals against a trial decision, (2) the argument that the substantive change requiremen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third party is baseless and deletion of the requirement does not cause any harm to the third party, and (3) the substantive change requirement is not applied by other countries except only Japan and the requirement had better be deleted for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patent system.

      • KCI등재

        특허권의 소멸과 실시료 지불의무와의 관계

        정차호(Jung Cha H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성균관법학 Vol.19 No.2

          Patent license agreement is a very difficult task which requires thorough understanding of relevant technology, patent law and contract law. An agreement drafter must try to minimize possibility of future disputes by prescribing all possible issues. Especially. when two parties agree to pay royalty over than the patent term, they must clarify underlying issues to prevent future disputes.<BR>  With regard to the issue whether licensee must pay royalty after expiration of relevant patent term, before 1960, many U.S. cases held that such provision is enforceabl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ract freedom. However, after 1960. those provisions are considered to be unenforceable. In this case, licensee is still required to pay the royalty corresponding to the term before the patent term expiration.<BR>  Based on said understanding, licensee may demand a provision which deducts royalty rate if a patent among several patents is being held invalid or being expired. Making a package license agreement based on several patents. licensor must not force such agreement and also give licensee an option not to include one or more patents. Licensee may further demand that, if some claims of a patent are being held invalid but the others are being valid, royalty rate should be deducted as well.

      • KCI등재

        제법한정물건(PbP) 청구항의 해석

        정차호(Chaho J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1

        제법한정물건(product-by-process) 청구항(PbP 청구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다. 그러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대법원이 2011후927 편광필름 전원합의체 판결을 선고하였으나, 그 판결이 사용한 표현의 모호함으로 인해 다양한 의견이 여전히 남게 되었다. 그 2011후927 판결 후 대법원은 2013후1726 쑥추출물 판결, 2013후631 갭 서포터 판결을 선고하였고, 최근에는 2020후11059 직타법 정제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 글은 그 4개 판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분석의 결과로 그 4개 판결의 총합이 말하는 법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어떤 청구항이 PbP 청구항이라는 이유만으로 바로 특허법 제42조 제4항 제2호가 규정하는 명확성 요건 위배로 처리되지는 않는다. 그러한 해석이 특허법 제42조 제6항의 입법취지와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대법원은 진정 PbP 청구항과 부진정 PbP 청구항을 구별하는 법리를 운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발명의 실체를 파악한 후, 그 실체에 따라 물건자체설 또는 제법한정설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PbP 청구항의 ‘특허성’ 판단에서도 제조방법의 물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다. 기존의 이해는 특허성 판단에서는 발명의 실체와 무관하게 물건자체설을 적용한다는 것이었으나, (2013후631 갭 서포터 판결 및) 대상 2020후11059 직타법 정제 판결로 인하여 제조방법(대상 사건에서는 직타법)이 특허성 판단에 영향을 끼침을 알게 되었다. 즉, 해당 발명의 실체가 제조방법인 경우 제법한정설이 적용되어야 하고, 해당 발명의 실체가 물건인 경우 물건자체설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권리범위’ 판단에서도 제조방법의 물건에 대한 영향에 따라 PbP 청구항이 해석되어야 한다. 즉, 해당 발명의 실체가 제조방법인 경우 제법한정설이 적용되어야 하고, 해당 발명의 실체가 물건인 경우 물건자체설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on interpretation of a product-by-process claim (hereinafter “PbP claim”). To resolve such conflicting opinions, the Korea Supreme Court (hereinafter “KSC”) handed down the 2011 Hu 927 en banc decision. However due to ambiguity of the expressions taken by the decision, there still remain various opinions. After the 2011 Hu 927 decision, KSC made 2013 Hu 1726 mugwort extract decision, 2013 Hu 631 gap supporter decision, and recently 2020 Hu 11059 hitting-method tablet decision. This paper h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four decisions, and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summarizes overall jurisprudence of the four decisions as the followings. Firstly, a claim is not rejected under section 42(4)(2) clarity requirement only because it is a PbP claim. Such an analysis is corresponding with legislative intent of section 42(6) of the Patent Act. Secondly, KSC does not distinguish a pure PbP claim from a non-pure PbP claim. After understanding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based on the true nature, product-itself theory or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would be applied. Thirdly, it is KSC’s position to consider manufacturing process’s effect on the product in determining patentability. Old majority understanding was to apply product-itself theory in determining patentability, regardless of invention’s true nature. However thanks to 2013 Hu 631 gap supporter decision and 2020 Hu 11059 hitting-method tablet decision, we have recognized that manufacturing process (hitting method in the case at issue) affects patentability determination. In other words,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shall be applied and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the product, product-itself theory shall be applied. Fourthly, in determining right scope, effect of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product shall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shall be applied and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the product, product-itself theory shall be applied.

      • KCI등재

        특허청의 착오로 잘못 등록된 PCT 자기지정 특허의 유효 여부

        정차호(Jung, Cha Ho),강현호(Kang, Hyun H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성균관법학 Vol.20 No.3S

        The holding of the Supreme Court case in question clarifies that an earlier application under PCT self-designation is considered to be withdrawn 15 months after its filing date. According to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re were 177 cases, mistakenly registered, notwithstanding the withdrawal consideration, by examiners who overlooked such withdrawals. This article tries to find a ground to invalidate or revoke such an illegal registration under either patent law or administrative law. A patent act provision presents an exclusive list of reasons under which an illegally-registered patent can be invalidated, and the list does not have any ground to invalidate a PCT self-designation patent.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theory, illegal administrative activity can be nullified ex officio or by a litigation raised by the third party. However, such nullification could be limited by the purpose to protect interest of the relevant person who trusted the administrative activity. Under the trust protection principle, which was consistently applied by the Supreme Court, in the case of PCT self-designation patent, two relevant interests (harms) will be compared: one to the patentee caused by invalidation of the patent and the other to the third party caused by existence of the patent. Even though such comparison may be case-by-case decided, in many cases, PCT self-designation patent could be validly maintained under the trust protection principle, notwithstanding the ground of revocation.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에서의 대상 직무발명의 ‘기여도’ 산정법리

        정차호(Chaho JUNG),문려화(WEN L IHUA)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2

        이 글은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에서 기여도를 적용하는 법리를 탐구하였다. 그 탐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및 일본의 실무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기여도를 실시료율 및/또는 독점권기여율(초과매출율)에서 다른 요소와 섞어서 산정하는 소위 ‘잡탕식’ 산정방식이 자주 적용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섞어서 적당히 산정됨에 따라 기여도가 적절히 반영되지도 못하고 기여도 법리가 발전하지도 못한다. 이 글은 기여도의 별도 산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대상 제품이 복잡제품인 경우 기여도는 반드시 별도로 산정되어야 한다. 둘째,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에서의 합리적인 기여도 산정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에서의 기여도 법리 및 표준필수특허의 기여도 산정을 위 한 하향식(top-down) 산정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표준필수특허에서 실시료과적(royalty over-stacking)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향식(top-down) 산정방법이 적절하듯이, 직무발명에서도 보상금과적(remuneration over-stacking)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향식 산정방법이 적절하다. 그래서, 대상 제품에 적용된 다른 유효한 기술의 수와 대상 직무발명의 수를 비교하고, 대상 직무발명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감안하는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하향식 산정방식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제품을 기준으로 하여 그것에 기여도를 곱하는 방식과 해당 부품을 기준으로 하여 그것에 기여도를 곱하는 방식을 법원이 주어진 사안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복잡제품에서는 부품의 가격을 기준으로 하되 그것에 기여도를 추가로 곱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기여도를 산정함에 있어서 기여도와 무관한 요소가 같이 고려되는 사례가 많은데, 그러한 오류는 되풀이 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기여도는 기술에 관한 사항이므로, 기술과 무관한 사항을 기여도 산정에서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This Article has studied the jurisprudence to apply apportionment ratio in calculating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 biggest problem in Korean and Japanese practices is that a so called “mixed” calculation method is often applied, under which an apportionment ratio is mixed and calculated with other factors in calculating royalty rate and/or excessive sales rate. Because of such mixed and inadequate calculation, an apportionment ratio is not properly reflected and apportionment ratio jurisprudence has not developed. This Article emphasizes importance of a separate calculation of an apportionment ratio. Especially, if the product at issue is a complex product, an apportionment ratio should be calculated separately. Secondly, this Article, to seek a reasonable apportionment ratio calculation method in calculating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has analyzed the apportionment ratio jurisprudence in damages calculation in a patent infringement suit and the top-down calculation method used for calculating apportionment ratio of a standard essential patent. In addition, a few more methods introduced in Japanese precedent studies have been scrutinized. I have concluded that such Japanese methods do not have such a possibility to be applied in practice, and that the former two methods could be exploited. Thirdly, as a top-down calculation method is appropriate to solve the problem of royalty over-stacking in a standard essential patent, in an employee invention as well top-down calculation method is appropriate to solve the problem of remuneration over-stacking. Therefore, such a method shall be applied, under which number of other effecive techonologies applied in the product at issue is being compared with number of employee inventions of the plaintiff, and comparative importance of the employee inventions would be considered. Fourthly, in a situation where a top-down calculation method is not appropriate, the court may, under given fact pattern, choose either (1) a total product is being a starting point and an apportionment ratio is applied to it or (2) a component to which the employee invention was applied is being a starting point and an apportionment ratio is applied to it. Naturally, for a complex product, a component shall be a starting point and an apportionment ratio would be multiplied thereof. Fifth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irrelevant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in calculation an apportionment ratio. Such errors should not be repeated. Especially, an apportionment ratio is a matter regarding technology, such non-technological matters should not be considered in apportionment ratio calculation.

      • KCI등재

        한미조세협약에 따라 국내원천소득이 되는 특허사용료(royalty)의 산정에서의 실질과세원칙의 구현 : Microsoft-삼성 사건을 중심으로

        정차호(Chaho JUNG),최승재(Sung Jai CHOI)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4

        우리 기업이 미국 기업의 특허발명을 사용하며, 그 사용에 대해 사용료(royalty)를 지급하는 경우, 그 사용료가 국내원천소득인지 여부가 문제 된다. 그 쟁점에 대해 한미조세협약 제6조는 우리나라 내의 특허의 사용에 대한 사용료만 국내원천소득인 것으로 규정한다. 그 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 대법원은 여러 사건에서 우리나라에 등록되지 않은 특허의 사용에 대한 사용료는 국내원천소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왔다. 대상 Microsoft-삼성 사건에서도 하급심 법원이 같은 법리를 적용하여 Microsoft가 보유하는 전체특허 중 우리나라에 등록된 특허의 비율이 약 3%이므로 전체 사용료 중 약 3%만이 국내원천소득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글은 대상 사안에서 실질과세원칙을 구현하기 위해서 삼성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특허, 소위 ‘무관특허’를 산정에서 제외해야 하는 점 및 한국특허와 동일한 발명을 가진 ‘중복특허’도 제외해야 하는 점을 주장한다. 그리고, 삼성이 Microsoft가 보유하는 한국특허만을 사용하여도 대상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고 Microsoft는 한국특허 외에 추가로 필요한 특허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법리를 적용하게 하기 위해 대법원은 대상 사건을 파기, 환송하여 하급심 법원에서 한국특허 외에 추가로 필요한 특허의 수를 심리하게 하여야 한다. In a case where a Korean company pays royalty to an American company for use of a patented invention, an issue could be raised whether the royalty is domestic source income or not. On the issue, Article 6 of the Korea-U.S. Tax Treaty prescribes that only the royalty for use of Korean patents is domestic source income. Regarding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the Korean Supreme Court, in many cases, has consistently decided that the royalty for use of non-Korean patents is not domestic source income. In the Microsoft-Samsung case at issue, lower courts applied the same jurisprudence and found that rate of Korean patents among all Microsoft patents is about 3%, therefore about 3% of all royalty is domestic source income. This paper, to apply the substance-over-form taxation principle, argues that (1) “unrelated patents” (not actually used by Samsung) shall be excluded in such calculation and (2) “redundant patents” (non-Korean patents having the same invention as to Korean patents) shall also be excluded in such calculation. In addition, it could be presumed that Samsung can manufacture the products at issue by using only Microsoft’s Korean patents and Microsoft can prove that Microsoft’s non-Korean patents are also necessary for the manufacture. To make a lower court apply this jurisprudence, the Supreme Court should reverse the lower court judgment and remit the case to the lower court, which may examine number of additionally necessary non-Korean patents.

      • KCI등재

        특허권 침해 손해배상액의 선택산정 및 혼합산정 법리

        정차호(Jung, Cha Ho),장태미(Jang, Tae Mi)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연구 Vol.55 No.2

        이 글은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에 있어서, 특허권자 실제 손해에 상응하는 침해품에 대하여는 일실이익 또는 침해자 이익에 의하여 산정을 하고 나머지 침해품에 대하여는 실시료 상당액에 의하여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 글은 그렇게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방식을 혼합산정(mixed calculation)이라 칭한다. 대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글은 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의 관련 법리를 비교법적으로 분석하였고, 그에 따라 미국 및 일본에서는 혼합산정을 인정하나, 유럽에서는 선택산정만을, 중국에서는 실시료의 증액제도와 함께 선택산정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이 글은 첫째, 침해자에게 이익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특허권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하여 혼합산정 법리를 정식으로 인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둘째, 특허권자의 실시능력과 그 외 판매할 수 없는 사정을 구분하지 않고 혼합산정을 인정하여야 함을 주장하며, 셋째, 특허법 제128조 제1항의 문구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수정하며, 위의 두 사항을 조문에 반영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This paper, in the case of patent damages calculation, examines whether the infringing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patentee’s real loss may be calculated under lost profit theory or infringer’s profit theory and then the remaining infringing products may be calculated under reasonable royalty theory. This paper coins as “mixed calculation” for the calculation method which utilizes two theories (lost profit plus reasonable royalty or infringer’s profit plus reasonable royalty). In order to solve the given issu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relevant jurisprudence of the U.S.A., Japan, China and Europe, and under such analysis, finds that the U.S.A. and Japan permit mixed calculations, Europe allows only selective calculation, China, allowing only selective calculation, permits enhancement of calculated reasonable royalty.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is paper proposes that: (1) to prevent excessive profit to the infringer and to fairly protect the patent right, mixed calculation must be allowed, (2) mixed calculation must be allowed without differentiating the patentee’s capacity from other reasons from which the patentee could not sell patented products, and (3) to specify said two points and to make Article 128(1) of the Korea Patent Act clearer and more concise, the provision must be amended.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을 위한 회사 이익액의 산정에 있어서 실시료율(royalty rate) 적용방법: 그 개념 및 장점의 설명

        정차호 ( Jung Chaho ),문려화 ( Wen Lihua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9 과학기술법연구 Vol.25 No.2

        2019년 현재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을 위해 회사의 이익액을 구하는 장면에서 우리나라의 법원은 물론이고 독일, 일본의 법원도 매출액에 실시료율을 곱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액에 (이익율이 아닌) 실시료율을 곱하는 이유, 논리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적용하는 요소에 대한 이해부족은 불필요한 분쟁의 발생, 당사자의 판결에 대한 순응도 저하, 법리의 발전 저해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이 글은 그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독일, 일본 및 우리나라의 실시료율 적용 법리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러한 고찰의 결과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첫째, 실시료율은 이익율에 기술기여계수(1-비기술기여계수)를 곱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실시허락계약에서 실시허락자와 실시권자가 합의하여 결정하는 실시료율은 그 두 값을 반영한 결과인 것이다. 둘째, 독일에서 시작되어,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도 애용되고 있는 실시료율 적용방법은 여러 장점을 가진다: 이익율 산출의 어려움 우회, 기술기여계수에 대한 논쟁의 우회, 영업비밀의 문제 극복 등. 실시료율 하나를 구하여 이익율 및 기술기여계수를 구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방법을 일석이조의 산정방법이라고 칭할 수 있다. 특히, 비교될 수 있는 기존의 실시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실시료율 유추법을 통하여 실시료율을 매우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일소석이대조(一小石二大鳥)’의 산정방법이라고 칭할 수 있다. 다만, 실시료율을 산정하면서 해당 직무발명의 (전체 기술 중) 기여도를 같이 고려하는 사례가 존재하는데, 그러한 동시 산정은 가급적 지양하여야 한다. 특히, 대상 제품이 복잡제품인 경우 그러한 동시 산정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Currently in 2019, in a situation of calculating the company (the defendant)’s profit to calculat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German and Japanese courts as well as Korean courts multiply a royalty rate to a sales revenue. However, relevant logic of multiplying (not a profit rate) a royalty rate to a sales revenue has not been sufficiently understood. Lack of understanding on an applied factor may result in outbreaks of unnecessary disputes, a low compliance rate of the parties against a court judgment, impediment to jurisprudence development, etc. This paper, in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comparatively analyzed relevant jurisprudence of royalty rates in Germany, Japan and Korea.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this paper found the followings. Firstly, a royalty rat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a technology contribution rate (1 minus non-technology contribution rate) to a profit rate. A royalty rate agreed and decided by both a licensor and a licensee is a result which reflected the two numbers. Secondly, the royalty rate jurisprudence, which started from Germany and frequently used in Japan and Korea, has several merits: detour of difficulty of profit rate calculation; detour of controversy on a technology contribution rate; overcoming of trade secret problem, etc. By calculating one royalty rate, it is not necessary to calculate a profit rate and a technology contribution rate. Therefore such a method could be called as a one-stone-two-birds method. Especially, if there is a comparable existing license agreement, a royalty rate would be very easily calculated through the license analogy method. In such a situation, such a method could be called as a one-small-stone-two-big-birds method. To be noticed is that there are some cases where contribution rate of the employee invention at issue i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royalty rate calculation. Such simultaneous calculation should not be preferred. Especially, if the product at issue is a complex product, such simultaneous calculation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 : 미국의 기여도(apportionment ratio) 법리

        정차호(Jung, Cha Ho),황성필(Hwang, Sung Pill)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과학기술과 법 Vol.10 No.2

        The apportionment principle has evolved when calculating damages for patent infringement. In other words, the apportionment ratio has been considered as being more and more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multi-component product. The proper measure of damages for patent infringement has been in controversy and continues to be a contentious legal issue in the U.S. under the recognition over high damages awards for patent infringement. In response to that concern,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 (CAFC) has repeatedly turned its attention to the apportionment principle when calculating damages and has issued decisions to give some guidelines regarding the challenging issue of how one should estimate the value of the asserted patented inven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the apportionment jurisprudence of the U.S. in detail. This article first attempts to describe in detail the two most important apportionment principles in the U.S., which are the Entire Market Value Rule (EMVR) and the Smallest Salable Patent-Practicing Unit (SSPPU) approach. Then, it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VR 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ortionment ratio when calculating damages based on the value of the entire infringing product. Additionally,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SPPU approach 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ortionment ratio, and will suggest that the value of the patented invention may be theoretically higher than the entire value of the identified SSPPU,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ase. This article coins such rule as “SSPPU expansion rule”. Importantly, this suggestion may be for the first time. Lastly, this article addresses some cases, which are dealing with the challenging issue of how to apply the apportionment ratio when calculating damages in the context of lost profits damages, infringer’s profits and reasonable royalty damages.

      • KCI등재

        우리민법상 전자파일(electronic file)의 물건성 인정 여부에 관한 연구

        정차호(Jung, Cha Ho),이승현(Lee, Seung Hy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성균관법학 Vol.30 No.1

        현대사회는 전자파일(electronic file)로 유지된다. 즉 현대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대부분의 정보(information)가 전자파일의 형태로 저장, 전송되는 것이다. 그런 견지에서 민법상 전자파일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은 전자파일을 현행 민법상 ‘물건(product)’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논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만약 전자파일을 물건으로 볼 수 있다면 정보통신망을 통한 전자파일의 거래를 물건의 거래로 포섭할 수 있으므로 법적 해석이 간명해질 것이다. 그러한 논증에 앞서 이 글은 전자파일이 내장하고 있는 정보 그 자체를 물건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먼저 검토하였다. 그 검토의 결과 이 글은 현행 민법의 해석으로는 정보 그 자체를 물건으로 볼 수 없다고 보았다. 즉 정보가 비록 경제적 가치를 가지더라도 정보 그 자체를 유체물로 볼 수는 없으며 자연력으로는 더더욱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필자들은 입법론으로도 정보 그 자체를 물건으로 포섭하는 법 개정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여러 상황을 염려하여야 하는 그래서 보수적인 민법학계에서 정보 그 자체를 물건으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현행 민법 제98조는 물건을 ‘유체물’ 및 ‘관리 가능한 자연력’으로 규정한다. 전자파일은 어떤 정보를 하나의 묶음(unit)으로 (통상은 반도체의) 기록매체에 보관하는 도구이므로, 요리방법을 종이에 기록한 종이책과 요리방법을 반도체에 기록한 전자책을 달리 볼 필요가 없다. 즉 정보의 묶음인 전자파일이 유체물인 기록 매체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전자파일을 유체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정적인 상태의 전자파일은 기록매체에 부착되어 존재하므로 기록매체와 더불어 유체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이 종이에 그려진 경우 그 그림을 그 종이와 더불 어 물건인 미술품으로 보는 바와 다르지 않다. 적어도 유체물인 기록매체에 기록 된 전자파일을 유체물로 ‘의제’할 수는 있을 것이다. 다만 그림과 종이(기록매체)는 일체의 미술품으로 판매되는데 반해, 전자파일이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판매되는 경우에는 전자파일은 그 기록매체를 벗어나서 독자적으로 판매된다. 전자파일을 정보통신망에서 주고받는 과정에서는 전자파일이 운반파(carrier wave)에 실려서 구매자에게 순간적으로 전달된 후 다시 구매자가 보유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데, 그 전달 순간의 동적인 상태에서의 전자파일은 (운반파와 더불어) 관리 가능한 자연력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전파는 자연력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런 견지 에서 정적인 상태에 있든 동적인 상태에 있든 전자파일이 물건인 점은 변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 민법 제98조가 전자파일의 출현을 예상하기라도 한 듯이 (1960년 제정되던 때부터) 절묘하게도 정적인 상태의 전자파일은 물론 동적인 상태의 전자파일까지도 이미 물건으로 포섭하여 왔던 것이다. 전자파일을 물건으로 해석하게 되면 많은 상황에서의 법적 어려움이 해소된다. 필자들은 그러한 해소의 사례를 후속 연구를 통하여 특허법 및 저작권법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authors, firstly examine whether information can be considered as product under Korean Civil Act. If so, an electronic file which contains information also may be considered as product. This paper finds that under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Civil Act, information cannot be interpretated as product. Even though information has some economic value, it cannot be a tangible matter nor maintainable natural power. These authors believe that it would not be easy to amend Article 98 of the Korean Civil Act. This paper suggests that an electronic file could be defined as a unit of information which can be maintained and saved in a recording medium. A paper book which contains a cooking method is not different from an electronic book which contains the same. In an electronic book, a cooking method can be saved as an electronic file which is fixed onto a recording medium. The electronic file which is fixed onto a recording medium (product) can be considered as product. In the meantime, an electronic file is transmitted, over a carrier wave, to a receiver. In the very time when an electronic file is suddenly transmitted to a receiver, the file can be considered as maintainable natural power. In that sense, an electronic file, regardless of whether fixed to a recording medium or transmitted over a carrying wave, could be considered as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