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소음, 무발열 키인터록 시스템 개발

        정진상(Jin sang Chung),권상훈(Sang Hoon Gw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The “Key Interlock System” is applied as a regulation of North America (F/CMVSS 114) which has caused troubles, big operation noise, excessive heating of solenoid The TRIZ is a romanized acronym for Russian: (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tch) meaning “The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It is innovative and logical problem solving methodology. This paper will introduce analysis of the problem, solving the problem using TRIZ method and the test results

      • KCI등재

        승용차용 터보과급기의 저속 영역 마찰 손실 측정 장치 개발

        정진은(Jin Eun Chung),이상운(Sang Woon Lee),전세훈(Se Hun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터보과급기의 성능을 저해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인 마찰손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제 엔진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저속 구간에서의 승용차용 터보과급기의 마찰손실 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30,000~ 90,000rpm의 저속영역에서 작동하는 터보과급기의 마찰손실을 측정하였다. 플로팅 베어링 타입의 승용차용 터보과급기를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마찰손실 측정 장치는 구동 모터, 오일 공급 시스템, 커플링으로 구성되었다. 실제 차량의 저속 운전 상황을 모사할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고, 회전속도, 오일 온도 및 압력을 실험 변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마찰손실 측정 장치는 로드셀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마찰 토크를 직접 측정하여 마찰손실을 산출하였으며,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구동 모터의 동력을 터보과급기 축에 전달하고, 오일 공급 시스템을 오일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였다. 온도 60℃와 90℃, 압력 4bar의 오일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터보과급기가 회전수 30,000~90,000rpm으로 작동할 때 터보과급기 회전속도 증가할 때 마찰손실은 증가하며, 대략적으로 과급기 회전속도의 1.4∼1.8 지수승에 비례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오일온도가 60℃에서 90℃로 증가할 때 마찰손실은 최소 41%, 최대 63% 감소하였다. Turbocharging is widely used in diesel and gasoline engines as an effective way to reduce fuel consumption. But turbochargers have turbo-lag due to mechanical friction losses. Bearing friction losses are a major cause of mechanical friction losses and are particularly intensified in the lower speed range of the engine. Current turbochargers mostly use oil bearings (two journal bearings and one thrust bearing).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bearing friction in the lower speed range. Experimental equipment was made using a drive motor, load cell, magnetic coupling, and oil control system. We measured the friction losses of the turbocharger whil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rotation speed, oil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friction power losses increased exponentially when the turbocharger speed increased.

      • KCI등재

        Effects of artificial water treatment on the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mandshurica

        Jin Chul Chung(정진철),Jeong Ho Choi(최정호),Kyong Woo Park(박경우),Se Kuel Yoo(유세걸),Soo Won Lee(이수원),Jong Hyang Bae(배종향)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6 No.2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큰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30%(D)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lthough the result of the tree height growth after water treatment, Fraxinus rhynchophylla has little affection by the artificial water treatment, the growth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the soil moisture decreased, and F. mandshurica showed high growth in relatively high soil moist 78~90% treated area, The growth of root collar diameter of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also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soil moisture decreased. The changes of biomass according to dry weight of root, stem, leaves of F. rhynchophylla demonstr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s moisture contents of soil is lower showing decreased biomass tendency and in the treatment of 78%~90%(A) moisture content showed more than double the higher biomass compare to the treated area of 18~30%(D) moisture contents. Also F. mandshurica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 and D treatment demonstrating differences among each treatment. This can be purported to have physiological effects like weakening of seedling and softening of tissues including leaves as soil moisture decreased. Ultimately it is regarded to the main reason of unsatisfactory growth for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that are weak to drought resistance. SLA, which is one of the special traits of leaf area of F. rhynchophylla,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isture process, it demonstrated decreased tendency as the moisture content interval is minimal. LAR and LWR showed increased tendency while moisture content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reatments as they are minim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음악영재성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모형연구

        정진원 ( Jin Won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영재성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에서도 다르지 않아 최근 음악을 포함한 예술영역의 영재교육을 위해서도 다양한 교육적 시도들이 진행 되고 있다. 음악영재성의 발현은 음악적 영역 특화성을 전제로 하는 단계적이며 위계적인 발달 양상을 띰과 동시에 모든 영재성에서 발견되는 도약적 발전과 창의적 독창성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음악재능 및 그 발달 과정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교육적이며 경험적인 요인들을 반영하여 음악영재성의 체계적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통합적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시된 모형은 영재성의 발달적 완성과 그에 따른 교수- 학습 활동 구성의 문제를 조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단계 모형과 차별화 교육과정 구성 모형을 제시 하였다. 제시된 교육과정모형은 교육적 목적과 조건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음악영재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개념적 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Educational interest on giftedness has continuously expanding. This trend is not an exception in Korea; recently, a variety of new educational approaches have been tested in arts education, including the music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curriculum system for enhancing musical giftedness. To propose a curriculum model,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case analysis on musical giftedness and its development process were conducted. To emphasize curriculum relevanc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usical talent, this study suggests two types of models for curriculum formation, which are ``Hierarchical System Model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Constructing Model. which are ``the hierarchical stage mode`` and ``the model for differentia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Suggested models can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 to develope different kinds of educational system which will be driven from diverse education purposes and context.

      • KCI등재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4)

        鄭鎭元(Chung Jin-won)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6 No.-

        이 글은 『瑜伽師地論』(Yogac?rab?mmi) 권8 『유가사지론』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고, 권8의 19장 23행부터 21장 끝까지의 점토석독구결의 잠정적인 해독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This paper surveys the brief textual structure of Yogac?rab?mmi(瑜伽師地論) vol. 8, and presents a tentative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of cipher kugyols inscribed in a part of that volum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음악학습에 있어서의 동기의 중요성과 관련요소에 대한 이해

        정진원 ( Jin Won Ch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음악학습, 특히 연주기량을 연마하기 위한 학습은 상당 기간의 교육과 연습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음악학습을 지속하여 목적한바 연주기량을 얻기 까지는 학습동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의 발견들을 중심으로 음악학습의 지속과 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그 유형과 성격에 따라서 분석 하였다. 음악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들은 음악과 음악 경험에 대한 내재적 동기뿐 아니라. 부모, 교사, 동료와 같은 외재적 동기들 그리고 음악과 음악활동에 부여하는 학습자의 가치평가 및 학습자로서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학습과정에서의 목적 지향적 태도 등 다양한 동기들이 관여한다. 학습의 발전단계와 연령에 따른 동기 요소 및 그 특성의 이해는 의미 있는 음악교육에서 필수적인 요인이다. Identifying oneself as a musician requires a commitment to music which in turn demands that engagement with music is enjoyable and active. Family, in the first instance, and later teachers, are key in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musical activities are enjoyable and set at the appropriate level to be both challenging and successful. Positive feedback i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particularly early one`s failure occurs it should be attributed to specific circumstances rather than to lack of ability. As students progress, their intrinsic motivation will be enhanced if they have control over the repertoire that they learn and the musical group. Where activities have social dimension motivation is likely to be further enhanced. While it might be tempting to offer external rewards for practicing or other musical activities, in the long therm if motivation is not generated from within the individual, the activities are unlikely to be sustained.

      • 헝가리 한국학자 OSVÁTH Gábor의 생애와 저술

        정진원(Chung Jin won)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OSVÁTH Gábor는 헝가리 한국학을 대표하는 1세대 학자이다. 그는 1970년부터 1972년까지 2년동안 북한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어학연수과정을 이수하였다. 귀국 후 헝가리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기 시작하여 부다페스트 경제대학의 극동언어학과 전임교수, 부다페스트 ELTE 대학교 시간 강사를 역임하였다. 한국어, 한국 문학사, 한국학 입문 강의 등을 하거나 한국문학 번역, 교재 저술 등 지금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후진 양성을 통한 한국학 전문가들이 현재 2세대 한국학교수로 활동하거나 한국 관련 외교활동이나 기업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헝가리 1세대 한국학자들이 북한을 통해 한국을 배웠다면 현재 2세대 한국학자들은 1989년 이후 대한민국과 수교하여 남한의 언어와 문화를 수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 가교 역할을 한 것이 OSVÁTH Gábor교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OSVÁTH Gábor는 북한과 남한을 함께 경험하고 양쪽 분단 상태의 국가 체재에서 활동한 명실상부한 헝가리인 한국학자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이제 양쪽을 경험한 이러한 한국학 연구자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없었던 19070년대 전후의 북한 사회의 공백을 메우는 데도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의 한국관련 교육과 저술, 당시 사진자료 등을 통해 분단으로 단절된 남북한의 missing chain을 찾는 데도 의미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econd study of Chung, Jinwon( 2013) that inculdes an introduction about Nagy Ildikó (1938~), a Hungarian scholar and curator of Korean Studies, Osváth Gábor is a scholar who represent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He studied Korean for two years, from 1970 to 1972 at Kim Il 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He stopped his studies because he couldn't endure Kim Il Sung's dictatorship any longer. It was only a two year study program, nevertheless the Hungarian Embassy offered him to stay longer but he rejected the proposal because of the monotony of life there. Later he confessed it was a bad decision. He returned to Budapest, and continued to study, achieving a perfect score o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He started to teach Hungarian to foreign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Prepararatory Institute. North Korean Students appeared there only around 1975 because after the 1956 Hungarian Revolution the North Korean leaders considered the Hungarian form of socialism different from their way and labeled it revisionism. In 1989 he became a professor of the Far East Linguistics Department at Budapest Business School in Budapest, while also lecturing part time from 1997at ELTE University in Budapest. He taught Korean languag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Korean studies introduction and other related courses. He also wrote many books on Korean studies. He translated several Korean short stories and poems. At present his students have become active diplomats, professors in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ELTE, and employees of many Korean companies. Osváth Gábor received South Korean education in style, for 6 months, along with learning Sout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refore he is a unique Hungarian scholar 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He has become a bri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he has experienced both, through living, studying and interacting in both societies. Osváth Gábor is the best Korean Studies scholar in Hungary. He knew 1970's to 1980's North Korea, a time that even we did not know their actual situation. We now have found a treasure of Korean studies and must re-evaluate him and his achievements. Through his experience and studies, we are able to link the broken chain that was once disconnected. His teaching, writing and many photographic materials will be in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our sincere hope that he will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