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두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가 설사개선에 미치는 영향

        임지혁(Ji-Hyuck Yim),정일환(Il-Hwan Cheong),박태화(Tae-Hwa Park),이윤복(Yoon-Bok Lee),한재흠(Jae-Heum Han),박점선(Jeom-Seon Park),이균희(Kyun-Hee Lee),이상화(Sang-Hwa Lee),안준배(Jun-Bae Ahn),김광엽(Kwang-Yup Kim),이근하(Keun-Ha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5

        대두 가공 부산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대두피에서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대두 자엽 및 타 식물 유래 식이섬유와 설사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설사를 유발시킨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CON), 불용성과 수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S-COTL), 불용성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S-HULL) 및 수용성인 치커리 식이섬유(CHI)가 각각 동량 함유된 식이의 네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동안 실험 식이를 공급한 결과 CON과 S-HULL에서 S-COTL과 CHI보다 약 10-20% 가량 높은 변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탈수 증상의 척도인 혈청 삼투압 변화 측정 결과 역시 네군 중 CON과 S-HULL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대두피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의 설사 개선 효과가 기존의 타 식이섬유에 비해 우월하다는 사실을 생화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재 경관급식 환자식에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 및 기타 수용성 식이섬유 등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자주 발생하는 잠재적이고도 심각한 위협이 되는 설사증상을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원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covery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soybean hulls on diarrhea in rats. Diarrhea-induce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4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24 hours. The diets, based on the AIN93G diet, were as follows: CON (control diet), S-COTL (67.2 g/kg soybean cotyledon fiber diet), S-HULL (59.6 g/kg soybean hull fiber diet), CHI (55.6 g/kg chicory fiber die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10-20%) reductions of fecal water content in the CON and S-HULL groups, as compared to the S-COTL and CHI groups. The change in serum osmolality, a measure of dehydration symptom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ON and S-HULL as compared to the S-COTL and CHI group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oybean hull fiber functions well for diarrhea recovery in rats. Consequently, soybean hull fiber is an important food source that could be used as a medical food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arrh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