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 회피 및 DSM-Ⅳ 진단분류에 따른 인격특성과의 연관성

        순민(Sun Min Jung),정일근(Il Geun Jung),조진석(Jin Seok Cho),조현기(Hyun-Kee Cho),이덕기(Duk-Ki Lee),변원탄(Won-Tan Byu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5 사회정신의학 Vol.10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현황에 대한 조사와 아울러 인터넷 중독증과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정도, DSM-Ⅳ의 진단분류에 따른 인격특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인구 약 20만 명 정도의 중규모 도시지역(경남 양산)의 2개 고등학교(혼성, 인문고 1개, 종합고 1개)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805 명(남/여:439/366)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기본설문을 실시하였다. 인터넷 중독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Young의 인터넷 중독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정도는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을, DSM-Ⅳ 진단분류에 따른 인격특성은 MCMI-III(Mill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III)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총 805명의 대상자 중 3.6%(29명)이 인터넷 중독 상태였으며, 51.9%가 인터넷 과다사용을 보였다. 2) 인터넷 중독군, 과다사용군과 비중독군 사이에 사회적 회피 및 불안의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중독 정도가 심할 수록 사회적 회피 및 불안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3) MCMI-III를 이용하여 측정된 인격특성에서는 인터넷 중독군, 과다사용군과 비중독군 세 그룹 간을 비교했을 때, 남학생에 서는 반사회성, 강박성, 자기애성 인격척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에서는 반사회성, 강박성, 회피성 인격척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인터넷 중독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개인의 사회적 회피정도와 인격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s of adolescents’ internet us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internet addiction to social avoidance and personality pattern in DSM-IV. Methods:Eight hundred and five high-school students(male/female=439/366) completed a standard questionnaire related to internet using. We assessed internet addiction, social avoidance and personality pattern in DSM-IV of adolescent using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 and Milli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III(MCMI-III), respectively. Results:1) Of these 805 subjects, 29 subjects(3.6%) were classified into addicted group and 418 subjects(51.9%) were classified into over-use group. 2) Comparison among addicted, over-use, non-addict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 in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p<0.01). 3) In personality patterns using MCMI questionnaire, result of comparison among addicted, over-use, non-addicted group were that antisocial, compulsive, narcissistic, scales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male students, and antisocial, compulsive, avoidant scales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female students(p<.05).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et addic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ocial avoidance and personality patterns in adolescents.

      •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과 대처방안

        김은도(Eun Do Kim),변원탄(Won Tan Byun),박영민(Young Min Park),김세훈(Se Hoon Kim),재웅(Jae Woong Jeong),주새한(Sae Han Joo),정일근(Il Geun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3 사회정신의학 Vol.28 No.1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서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 법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에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입원하였던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지속시간에 관련이 있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과거력이 있는 경우(p=0.012), 내과질환이 있는 경우(p=0.008), 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AST) 수치가 높은 경우(p=0.032)가 해당하였다. 알코올 진전섬망 지속시간에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시간당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투여량이 적은 경우(p<0.001) 진전섬망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 입원시 시행 가능한 간단한 문진(알코올 진전섬망 과거력 유무, 내과질환 유무)으로 어떤 환자에서 진전섬망의 발생을 특별히 더 주의해야 하는 지 알 수 있다.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적극적인 투여로 진전섬망의 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develop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and to find a solution.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alcohol use disorder inpatients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between January 2019 and December 2022. Results : Th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included an alcohol withdrawal delirium history (p=0.012), medical illness (p=0.008), and higher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s (AST) (p=0.032). In the variable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the longer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the less use of a benzodiazepine dur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p<0.001). Conclusion : The simple history-taking (previous alcohol withdrawal delirium history and medical illnesses) that can be performed when a patient with alcohol use disorder is hospitalized can reveal which patients need special attention for the occurrence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Careful observation by medical staff and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a benzodiazepine drug are necessary to reduce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