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프리카 수경재배 시 배액 재사용과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및 배액 내 이온 농도 변화

        임미영(Mi Young Lim),정은설(Eun Seol Jeong),노미영(Mi Young Roh),최경이(Gyeong Lee Choi),김소희(So Hui Kim),이충근(Choung Ke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Scirocco’ 품종 수경재배 시 배액 재사용 여부에 따른 순환식 재배와 비순환식 재배 및 배지 종류가 배액의 양분 이온 변화 양상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의 파종은 2021년 8월 19일에, 정식은 2021년 9월 16일, 순환식 및 비순환식의 재배 방식 적용은 2021년 10월 21일에 시행하였다. 배액 내 양분 분석 결과, Na+와 Cl-은 작물이 제대로 흡수하지 않는 대표적은 이온으로써 생육이 진전될수록 순환식 재배방식에서 집적되었다. 또한 배액 내 NH4-N의 함량이 NO₃-N의 함량에 비해 현저히 낮으므로 파프리카의 이온 선택성으로 인해 NO₃-N 보다 NH₄-N이 우선 흡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프리카의 생육 및 과실 특성은 배액 재사용 여부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순환식과 비순환식의 수경재배 방식, 코이어와 암면의 배지 종류에 따른 파프리카 수경 재배 시 중기 이후의 세력 약화로 인한 착과 불량을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농가의 실정에 맞는 재배 방식과 배지를 선택하여 파프리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배액 재사용에 따른 병원균 감염 등을 잘 관리한다는 가정 하에서 순환식 재배 방식을 채택해도 수량 감소나 품질 저하 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 판단되며, 폐기 문제가 발생하는 암면 대신 코이어 배지를 선택한다면 더욱 환경오염 감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osed cultivation and open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 on the nutrient ion change pattern and growth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Scirocco’ according to the reuse of drainage in hydroponics. The sowing, transplanting, and application of the closed and open cultivation method were carried out on August 19 and September 16, and October 21, 2021,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the drainage, Na+ and Cl- are representative ions that crops do not absorb properly, and as the growth progresses, they are accumulated in the closed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NH₄-N in the drainag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₃-N, it is thought that NH₄-N is preferentially absorbed rather than NO₃-N due to the ion selectivity of sweet pepper. Th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sweet pepp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according to the drainage reuse and the type of substrate. In conclusion, if you take care of poor fruiting due to the weakening of power after the middle period in hydroponic cultivation of sweet pepper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 of closed and open, and the substrate type of coir and rock wool, th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s not large, so the sweet pepper can be produced by selecting the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grower. However,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recently increas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a decrease in quantity or quality, even if a closed cultivation method is adop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pathogen infection due to drainage reuse is well managed. It is expected that if coir is applied instead of rock wool, which causes a problem of disposal, it will further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 KCI등재

        보건학과와 비보건학과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구강보건 교육 후 치과공포 인식변화

        남설희(Seoul-Hee Nam),김민진(Min-Jin Kim),김서희(Seo-Hui Kim),변효은(Hyo-Eun Byun),백승훈(Seung-Hun Baek),이해림(Hae-Rim Lee),정은설(Eun-Seol Jeong),홍소연(So-Yeon Hong),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구강보건교육이 치과공포도와 구강보건교육 후 치과공포에 대한 인식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A지역에 위치한 B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건관련 재학생과 비보건관련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5일부터 4월 12일까지 대상자들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교육 전 설문조사, 교육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자료를 T-test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결과로는 교육 후 치과진료에 대한 두려움은 보건학과 학생이 비보건학과 학생보다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보건학과 학생들이 보건학과 학생들에 비해 강의 후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치과진료에 대한 교육 후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변화는 비보건학과 학생들에 비해 보건학과 학생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추후에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치과위생사를 배출하여야 하고, 이를 통해 교육자로서의 치위생사 배출이 국민의 치과진료에 대한 공포도를 줄이고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그들이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구강병 예방과 초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치과 내원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공포도 및 인식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This study is to seek a method to alleviate fear of dental treatment among college students. Research objects are students in public health department and those in other departments on. B University located in area A from April 5, 2017 to April 12, 2017. They were provided with education, and given two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9.0 program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the education, fear of dental treatment was reduced more among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an among those in other departments. Afte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there were greater changes in oral health among students in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than those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ere were grater changes in oral health among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an those in other department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dental technicians through efficient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ose dental technicians should serve to reduce fear of dental care among the people, and change consciousness on such treatm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fear and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dental health among people, and make people not afraid of coming to dental clin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