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복사인격자에서 동시에 생기는 두 가지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회전변위의 가시적 측정

        정연홍,오정효,조재흥,Jeong, Youn-Hong,Oh, Jeong-Hyo,Jo, Jae-Heung 한국광학회 2008 한국광학회지 Vol.19 No.4

        We present the precise visual measurement method of rotational displacements using two different moire fringes simultaneously generated by repeated sinusoidal gratings. We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oire fringes depending on rotational displacements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using a rotator in detail. The moire fringes are composed of the wide linear fringe part with a long period and the narrow linear fringe part with a short period. These parts are superior to the angle detection of more than 12 degrees and less than 12 degree,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method can be visually us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by observing the moire fringe's direction. 컴퓨터 전산모의와 회전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회전변위에 따른 반복사인격자 한 쌍이 만드는 무아레 무늬의 변화를 세밀하게 조사하여 반복사인격자가 겹쳐서 동시에 생기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무아레 무늬를 사용하는 작은 회전변위를 측정하는 가시적 방법을 보여준다. 이 무아레 무늬는12도 이상의 큰 각도 측정에 유용한 장주기의 넓고 긴 직선무늬와 12도 이하의 작은 각도 측정에 유리한 좁고 짧은 복잡한 직선무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무아레 무늬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변위의 회전방향도 동시에 가시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 KCI등재

        측정방식에 따른 자동굴절검사의 정확도 비교

        정연홍(Youn Hong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본 연구는 타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굴절이상도를 분석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방형 자동굴절력계와 내부형 자동굴절력계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력교정 및 안질환이 없는 만 18세 이상~20세 이하(평균 19.84±0.54세) 초기성인을 대상으로 포롭터를 활용한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자동굴절력계 그리고 내부형 자동굴절력계의 순서로 굴절이상을 검사하였다.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자동굴절검사의 Power vector 성분 SE, J0, J45의 상관관계는 r=0.92(p=0.00), r=0.14(p=0.43), r=0.12(p=0.47)이고 내부형 자동굴절검사는 r=0.98(p=0.00), r=0.21(p=0.22), r=0.08(p=0.65)으로 SE 성분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양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SE, J0, J45 성분에 대한 차이의 평균은 –0.13±0.53D(p=0.17), +0.33±0.68D(p=0.01), +0.13±0.68D(p=0.26)로 J0 성분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내부형 자동굴절검사와의 SE, J0, J45 차이값은 –0.30±0.42D(p=0.00), +0.30±0.71D(p=0.02), -0.02±0.63D(p=0.88)로 SE, J0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확도계수와 신뢰구간은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자동굴절검사에서 SE, J0, J45 성분이 1.04(+0.91~-1.17D), 1.33(+1.66~-1.00D), 1.34(+1.46~-1.20D)이고 내부형 자동굴절검사와는 0.83(+0.52~-1.12D), 1.40(+1.69~-1.09D), 1.24(+1.21~-1.25D)로 분석되었다. 시력검사에 활용되는 개방형 · 내부형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측정결과는 자각적 굴절검사의 굴절이상도를 처방하는데 예비시력 검사기기로 가능하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open-field/closed view autorefraction was estimated. We measured the refractive error of early adults aged 18 to 20 years who did not have eye disease.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s obtained by subjective refraction and open-field autorefraction for SE, J0, and J45 were -0.13±0.53D (p=0.17), +0.33±0.68D (p=0.01), and +0.13±0.68D (p=0.26), respectively, with only J0 differing significant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s of subjective refraction and closed-view autorefraction for SE, J0, and J45 were -0.30±0.42D (p=0.00), +0.30±0.71D (p=0.02), and -0.02±0.63D (p=0.88), respectively, with only SE and J0 differing significantly. The coefficient of accuracy for SE, J0, and J45 components of open-field and closed-view autorefraction were 1.04, 1.33, and 1.34 and 0.83, 1.40, and 1.24,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fractive error, which is necessary when deciding on subjective refraction, by measuring the objective refraction of open-field/closed view autorefractors.

      • KCI등재
      • KCI등재

        고분자 박막인 PI - SOT의 전기광학계수 γ₃₃의 열적ㆍ시간적 안정성

        정연홍(Youn Hong Jeong),조재흥(Jae Heung Jo),장수(Soo Chang),김태동(Tae Dong Kim),이광섭(Kwang-Sup Lee) 한국광학회 1999 한국광학회지 Vol.10 No.3

        Mitsunobu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광학계수 γ₃₃가 크고 열적ㆍ시간적으로 안정적인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용액인 PI-SOT(폴리이미드계 4-[N,N-bis(hydroxyethyl)amino-4´-(β-cyano-β-methylsulfonyl)vinyl]azobenzene)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C. C. Teng의 단순반사법을 이용하여 코로나 폴링으로 극성 배향시킨 PI-SOT 박막의 전기광학계수 γ₃₃의 열안정성 및 시간안정성을 파장 632.8 ㎚와 852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온에서 전기광학계수 γ₃₃은 파장 632.8 ㎚서 25.12 pm/V 이고, 852 ㎚는 5.40 pm/V였다. 이 값들은 상온에서 60일 이상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100℃의 고온에서도 10시간내에서 6% 이내로 안정된 값을 유지하였다. We synthesized the nonlinear optical (NLO) PI-SOT(polyimide system, 4-[N,N-bis(hydroxyethyl)amino-4,-(β-cyano-β-methylsulfonyl)vinyl]azobenzene) polymer with high electro-optic coefficients as well as good thermal and temporal stabilities of the elector-optic coefficient γ₃₃by the simple Mitsunobu reaction. By using the simple reflection method of C. C. Teng, we measured the thermal and temporal stabilities of the electro-optic coefficient γ₃₃of corona-poled PI-SOT polymer at the wavelength of 632.8 ㎚ and 852 ㎚, respectively. At the temperature of 20℃, the electro-optic coefficient γ₃₃of corona-poled PI-SOT polymer were 25.12 pm/V at the wavelength of 632.8 ㎚ and 5.40 pm/V at the wavelength of 852 ㎚. These values were highly stabilized for more than 60 days at 20℃ and stabilzed within 6% for more than 10 hours at 100℃.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 개발

        정연홍(Jeong, YeanHong),유형근(Yu, Hyung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자기보고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및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척도와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연구에서 드러난 아동의 게임중독 특성을 바탕으로 3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학생 97명 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몰입 5문항, 게임환경 2문항, 게임습관 2문항의 총 3요인 9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체 신뢰도, 하위 요인간 신뢰도, 각 문항 및 전체 문항 간 상관은 적절하였다. 또한 요인 분석을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게임몰입, 게임 환경, 게임습관에 대한 3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척도의 개발이라는 것과 인터넷 게임중독문제에 있어 중독의 뚜렷한 증상을 드러내지 않는 시기인 초등 저학년 아동의 특징을 반영한 문항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develop a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scale, the concept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was defined. This study selected key elements of the sub factors by drawing the implications from a previous study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factor of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which had been used previousl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by 7 professionals. Then, the survey of 97 2nd grade students was made.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 self-reporting Likert 5-point scaled questionnaire containing 35 questions after minutely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90 questions selected. The results of study are : First,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consists of 3 factors with 9 items : overindulgence in internet games (5 items), accessibility to internet games (2 items), and experience during the internet game (2 items). Second, a 3-factor structure confirmed through factorial analysis. Appropriateness of the scale confirm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nclusi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identify the childr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the scale is self-reported. Overall, this scale will be a great help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ternet game addiction for lower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치유를 위한 예방 및 개입 방향 탐색

        정연홍(Jeong Yean Hong),유형근(Yu Hyung 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이 연구는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 및 치유하고 재발을 방 지하기 위한 개입 방향을 탐색하여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권침해의 개념과 실태 및 그들이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 등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권침해의 발생 원인변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련변인들을 고찰하였다. 교권침해 사건의 발생을 예방하고 교권침해 사건이 발생 하였을 때 피해의 최소화와 심리적 소진의 치유 및 회복, 교권침해 사건의 재발방지 등을 위한 개입 방향에 대하여 개인적 변인, 환경적 변인, 정책적 변인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 중에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접 개입이 가능하고 비교적 단기적인 개입으로 변화가 가능한 교사의 개인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예방 및 개입 방향을 내 용적인 측면과 과정 및 방법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교권침 해와 그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유하며 재발을 방지하기 위 한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의 구안과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eacher burnout can occur when they experience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teachers experiencing this psychological burnout. We discussed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and reviewed teachers’ difficulties. Then, we discussed personal, environmental, and policy variable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To do so, we expec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when any infringement cases take place, to minimize, heal and recover the damag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infringement cases of teacher rights.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because they can be easily changed in a short time.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 which can prevent and heal the psychological burnout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 KCI등재

        리모델링한 아파트 단위주거의 빛환경 요소 실태와 조도평가

        정연홍(Jeong Youn-Hong),최윤정(Choi Yoon-Jung)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8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of the illumination and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lighting elements of each space in recently remodeled apartment units. Field survey consisted of interview, observation and measurement have been conducted for 20 occupied apartment units after remodeling. As results, the present ratio of the balcony integration into children room is 40.0%. The ratios of artificial lighting fixture replacement each space are 47.3~100.0%. Most type of replaced lightings are the same position and the more brighter than the one before remodeling. The down light or assistant ceiling light which were additionally installed were not usually used in most houses. To sum up the result of artificial illumination measurement, in all the space of most houses shows that the artificial lighting illumination exceeds the maximum level of the general illumination standard for relaxation. As a result of illumination measurement on working area, as for most of areas, the illumination does not meet the standard. As for the uniformity ratio of daylight illumination, it appears that 30.0% do not meet the standard only in the living room. As for the uniformity ratio of artificial illumination, it appears that 65.0% do not meet the standard in the living room; 20.0% in the corridor; 35.0% in the kitchen; 14.3% in the study room. The results of t-test on difference of illumination by balcony integration are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ylight illumination of the children rooms integrated with balcony.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uniformity ratio of living room's daylight illumination and that of living room's artificial illumination. The results of t-test difference on artificial illumination by lighting fixture replacement a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tificial illumination in the living room, the kitchen, the master room, the children room and the bathroom by lighting fixture replacement. Al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formity ratio of kitchen's artificial illumination installed by lighting fixture repla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