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페미니스트’와 ‘여성’의 재구성

        정연보(Yeonbo Jeong)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3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에 등장하여 2000년대까지 대학을 기반으로 활동한 소위 ‘영페미니스트’들이 어떻게 저항의 주체로서 ‘여성’을 구성하고 또는 그 범주 자체의 배타성과 재현의 정치에 관해 고민하였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영페미니스트들의 고민이 기존의 사회운동들과의 연관 속에 위치지어지기보다는, ‘문화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부문운동화 되어왔던 경향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문화’와 ‘정치’, ‘일상’과 ‘구조’를 분리된 것으로 인식하는 이분법 자체에 대한 비판이 이들의 중요한 문제의식임을 강조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영페미니스트를 단일한 범주로 바라보기보다는, 다면성과 이질성을 포착할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위해 웹진 〈달나라딸세포〉의 사례를 통해 한 그룹 안에서도 ‘소수자 여성’ 정체성뿐 아니라, ‘분열적이고 유동적인 여성’ 주체, 그리고 반대로 정체성의 정치학에 기반한 ‘본질주의적 여성’ 정체성들이 혼재하고 있었음을 살펴본다. 더불어 영페미니스트 흐름을 세대론의 문제로 보거나 여성운동 소재의 확장으로만 보는 틀을 넘어, 여성운동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야 할 여성 범주의 구성성과 재현의 정치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된 계기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영페미니스트들의 고민을 재검토함으로써, 보편적 범주로서 ‘여성’을 구성하는 총체화된 시각의 문제와 동시에 ‘차이’를 분리된 다수의 변수들을 첨가하는 문제로 보는 본질주의적, 다원주의적 시각의 문제에 대해 환기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campus-based ‘young feminists’ in mid-1990s and 2000s (re)constructed “woman” as a subject of resistance while tackling the problem of its exclusionary categorization in terms of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roblematizes how the young feminist movement at that time was often thought of as a “section movement” or “cultural movement” by portraying ways in which the young feminists challenge the attempts to separate “culture” from “politics,” and “everyday lives” from “structure.” Moreover, rather than seeing the young feminists as a homegeneous group, this paper shows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y within them through the case of a feminist webzine, called Dalara Dalsepo (Moon World Daughter Cell). Even within the group, there existed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under the rubric of women, such as women as minorities, flexible and hybrid subjects, and essentialist women identitie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ways in which the young feminists dealt with the questions of identity politics, including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oppressor and oppressed,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woman’ with regard to the issues of difference and representation. The young feminists’ reflections can help reconsider the indentitarian frame of woman as a universal category, thus engaging the essentialist and pluralist approaches to ‘difference’ in a rather critical way.

      • KCI등재

        생명경제와 재생산: 가족계획 사업의 실험적 성격과 연구자원으로서의 몸

        정연보(Yeonbo JE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가족계획사업을 재생산(reproduction)이 기술적, 사회적으로 실험의 대상이 되었던 장으로 바라보면서, 재생산적 신체가 기술발전을 위해 활용될 필요가 있는 가용한 자원으로 부각된 중요한 계기로 검토한다. 당시 좁은 의미의 임상시험 뿐 아니라 다양한 피임기술의 안전성 테스트나 발전 과정, 재생산, 생의료 관련 연구에서 재생산 신체가 이용되면서, 향후 신생식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자원으로서의 몸을 ʻ생명경제(bioeconomy)ʼ와 ʻ생명의 경제화(economization of life)ʼ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다. 생명경제 논의는 미시적 수준에서 생체조직들이 상품화되고 유통되는 경제뿐 아니라 개인이 약물 개발, 기술개발의 실험 대상이 되는 현상을 포함한다. 생명경제 분석은 분자화된 측면을 좀 더 강조해오면서, 거시적 차원의 인구중심 개입과 분리된 ʻ새로운ʼ 현상으로 강조되곤 했지만, 이 연구에서는 1960-70년대 가족계획사업 당시 재생산적 신체가 연구자원으로 떠오른 과정을 살펴보면서 인구에 대한 개입, 경제발전에 대한 전망 등 집합적 차원의 담론 및 실천과 생명경제의 부상이 연관되어있음을 보인다. 머피가 제기한 ʻ생명의 경제화ʼ는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생명의 능력에 따라 살 가치가 평가되는 가치화의 레짐(regime of valuation)에 주목한다. 생명이 경제의 언어로 계산되고 평가되면서 잉여적 생명으로 여겨지는 취약한 생명들은 더욱 심한 폭력에 노출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피임기술을 포함한 재생산기술의 개발과정에서 실패와 논쟁 등을 살피면서 임상시험대상 및 소비자로서 피임기술을 사용한 여성들도 기술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참여자들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트랜스내셔널 생명의료 연구와 기술발전주의 담론 속에서 이들의 인권이나 건강, 기여는 비가시화되었고 이는 황우석 사건, 임상시험의 산업화와 육성과 같은 비교적 최근의 생명경제 현상과 연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control project in 1960-70 as a site where reproductive bodies emerg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t that time, not only clinical trials, but also safety test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various contraceptive technologies, research related to reproductive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of reproductive body tissue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biotechnology later. Theories of bioeconomy has been emphasized as a "new" phenomenon separated from the population-centered intervention at the macro level, with more emphasis on the molecular aspect.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rise of bioeconomy is related to collective levels of intervention, such as population policy and expectations of na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how the reproductive tissues and bodies emerged as resources for research during the family planning project Beyond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process of single-line progression or as an achievement of elite scientists, this study examines failures and controversies in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technology. It highlights the invisible physical labor, embodied knowledge, failures, pain and violence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emphasizes that women who used contraceptive technology as subjects of clinical trials are also important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discour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alism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their human rights, health, and their contributions have become invisible. This is related to the relatively recent bioeconomic phenomena such as Woo-Seok Hwang scandal and the industrialization and promotion of clinical trial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젠더 분석

        정연보(Jeong, Yeonbo)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2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다는 전망이 열풍처럼 유행하고 있으며, 각종 정책기구들, 언론, 기업, 학계, 단체 등에서 이를 인용하고 새로운 전망을 모색하고 있다. 많은 논의에서 ‘4차 산업혁명’이 곧 올 것으로 예정되었거나 이미 도래한 기정사실로 보고,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성장 및 일자리 경쟁에서의 생존전략에 관한 관심이 주로 논의될 뿐, 여성 및 사회적 약자들의 관점에서 이러한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고정된 사실로 보기보다는, 하나의 구성 중인 담론으로 보고,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과학기술과 젠더를 둘러싸고 어떠한 의미와 이해관계가 강조, 변형되거나 비가시화되는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과 여성에 관련된 정부 정책 보고서, 관련 사업과 행사 자료집, 언론 기사와 광고 등 미디어, 관련 출판물 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하는 비판 지점은 기술결정론과 젠더본질론이다. 4차 산업혁명론은 기술변화를 확정된 미래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는 기술결정론에 기반하여 생존을 위해 대응해야한다는 일종의 공포정치와 성장주의적 관점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가운데 등장한 여성 위기론과 가능성론은 여성에 대한 도구적 시선과 본질주의적 젠더 관념의 재강화 위험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성노동의 재평가와 과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주변화 문제, 과학기술에 대한 젠더 분석 등을 위한 변화의 프레임으로 4차산업혁명을 활용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4차 산업혁명론이 엘리트 위주로 논의되기보다는 여성노동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가 더욱 중요하게 가시화되어야할 것이며, 본질론을 넘어서는 비판적 젠더 분석과 개입이 필요하다. The keywor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very popular in South Korea with the increasing media coverages and political intervention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Some critics argued that this discourse arou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lied on technological determinism, but there is little gender analysis of the discourse. This paper explores how it reinforces and challenges the previous notions of gender. Some argue that women will play more important role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soft power” and sensitivity will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Others argue that women will lose more jobs because the types of occupation that women are engaged in will disappear with automation. Both arguments heavily rely on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he essentialized notions of gender. Beyond these binary positions, mor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nd technoscience should be portrayed.

      • KCI등재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정연보(Jeong, Yeonbo)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최근 재생산과 관련된 여성의 몸인 난자, 배아, 제대혈 등이 줄기세포 연구 등 생명공학의 중요한 재료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둘러싼 몸에 대한 서로 다른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신체물질 공여자 여성들에 대한 재현을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연구에 사용되지 않으면 버려진다는 논리의 ‘폐기물로서의 몸’이라는 접근은 몸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공여자의 권리 및 기여도를 저평가한다. 반면 비판 담론들은 주류담론에서 간과되어왔던 여성의 몸과 건강이라는 맥락을 강조한 의미가 있으나, 그중 몸의 ‘소중함’을 기반으로 한 접근은 단수의 보편적, 생물학적 몸이라는 근대적 인식에 머물며, 수동적 ‘피해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만을 강조하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몸을 ‘폐기물’로 보는 관점과 ‘소중한 것’으로 보는 양극을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생 노동”(regenerative labor) 논의와 적극적 참여자로 ‘비전문가’들을 포착하는 논의를 검토하고, 신체물질공여자의 역할에 대한 인정과 몸의 ‘미결정성’ 개념에 주목할 필요성을 환기한다. 마지막으로 신체물질 공여자와의 인터뷰와 이들의 글들을 통해 수동적 피해자 재현을 넘는 다면적 행위성(agency)을 강조하면서, 기증 이후에도 계속 변화하는 몸의 활용방향과, 과학 연구방향에의 개입과 통제에 대한 이들의 관심에 관해 논의한다. Women’s reproductive tissues, such as eggs, embryos, and umbilical cord blood, have become important raw materials for biotechnological research, including stem cell research. As a result, this controversial issue has spawned two contested discourses: ‘body recycling’ versus ‘sacred body.’ In the discourse of ‘body recycling’, women’s reproductive tissues are figured as ‘waste’ that, instead of being discarded, are simply recycled. This stance legitimizes the use of reproductive tissues for research, while it undervalues donors’ contributions and rights. By contrast, critical approaches to biotechnology meaningfully portray such practices as violations of women’s body, and underscore the health risks to women which the ‘body recycling’ discourses have overlooked. However, in the discourse of ‘bodily integrity/sacredness,’ advocates rely on a modernist concept of ‘the body’ which is singular, essential, and universal, and often represent women as passive ‘victims’. Seeking to transcend these binaristic posi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regenerative labor” and the studies of ‘donors’ as active participants. These approaches focus on both the recognition of donors’ contributions, and the unfixed future of bodily materials.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discusses the multiple formations of donor agency, and agents’ various interests in intervening and thus controling, if only partially, scientific research.

      • KCI등재

        난자 냉동 기술의 생명정치 - 희망의 테크놀로지와 개인화된 책임

        정연보 ( Jeong¸ Yeonbo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1 여성학연구 Vol.31 No.2

        이 논문은 사회적 난자냉동기술에 대한 대중 담론을 분석하여, 희망의 정치경제학이라는 생명정치의 전환과 새로운 주체성의 등장을 살펴본다. 난자냉동기술은 희망의 테크놀로지로 부상하고 있는데, 새로운 생명공학기술과 함께 나타나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예측, 기대, 투자 중심의 주체성 형성에 따른 개인화된 위험관리와 책임성에 관한 논의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난자냉동보존은 자신의 생식력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강조하는 가운데, 생물학과 나이듦, 모성, 가족, 젠더 등에 관한 개념들이 경합하고 재구성되고 있는 현장이다. 난자냉동기술이 미래의 불확실성들에 대한 위험관리 전략으로 표상되면서 난자냉동을 하는 여성들은 미래를 준비하는 해방된 주체로 재현되기도 하지만, 이기적인 자기 필요를 더 중요한 것 앞에 두는 이들로 재현되기 한다. 또한 이 기술은 자연화된 출산, 가족, 혈연관계 등의 개념에 균열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다양한 입장보다는 특정한 이성애중심의 가족관계가 상상되고 건강한 유전적 자녀 등의 개념들이 강조되면서 기존의 모성과 가족 규범이 강화되는 측면이 있다. 기술의 위험과 한계, 미래의 불확실성들 속에서 미래의 재생산을 준비하는 주체라는 규범성은 개인화되고 젠더화된 책임성을 생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기술과 관련하여 일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아이를 키우기 어려운 현실에 대한 구조적 문제 제기나 기존의 가족 규범에 도전하는 실천들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opular biopolitical discourse on social egg freezing technology which operates in the political economy of hope. Egg freezing technology is emerging as a technology of hope that involves individualized risk 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and the formation of a subjectivity centered on hope, prediction, expectation, and investment for the future. Social egg freezing is a site where concepts such as biology, aging, motherhood, family, and gender are contested and reshaped, focusing on the subject that evaluates and manages one’s fertility. As egg freezing technology is perceived as a risk management strategy for uncertainties in the future, women who freeze eggs are sometimes represented as liberated subjects preparing for the future. Yet, they are also rendered selfish individuals who put their needs in front of more important things. The previous norms of motherhood and family are reinforced, emphasizing hopes for an ideal heterosexual family and healthy genetic children. The normativeness of being a subject preparing for future reproduction amidst the risks, limitations, and uncertainties of the future produces individualized and gendered responsibility. However, egg freezing technology potentially challenges the concepts of natural childbirth, family, and blood tie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ractices that question the existing family norms and the social problems that make it hard to raise children.

      • KCI등재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정연보(Jeong, Yeonbo)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1

        이 연구에서는 불임클리닉에서 생산되는 ‘잔여’ 배아와 난자를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폐기물’과 신체, 국가 발전 등의 개념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황우석 사건 이후 생명윤리법이 개정되고 배아 줄기세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지만, 황우석 사건에 연관된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고지된 동의’와 절차적 정의의 문제로 너무 쉽게 환원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아이를 위해 만들고 남은 것이라는 ‘잔여’라는 개념은 난자와 배아의 사용을 정당화해왔다. 그러나 ‘잔여’ 배아와 난자는 자명한 것이 아닌 논쟁적인 대상물로, ‘생명’과 ‘폐기물’의 의미, ‘경제적’, ‘윤리적’인 것의 의미, 국가발전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단지 과배란 호르몬의 도입이라는 기술적 요인 뿐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요인들이 많은 양의 난자와 배아를 보관하고 연구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맥락이다. 이 연구는 불임클리닉의 연구자 및 생명윤리학자, 배아 및 난자 기증 여성 등과의 면접 및 관련 문헌의 분석을 통해 ‘잔여’ 배아와 난자의 의미가 여러 이해관계 속에 위치하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들과 연동함을 보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 여전히 ‘국가 발전’을 위해 규제를 풀어야한다는 인식, 효율성과 빠른 연구결과 생산이 중요시되는 연구 환경, 환자-의사의 권력관계의 문제들이 남아 있었다. 지배적 관점의 변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제도적 규제를 넘어, 경제와 효율성의 언어로 과학기술과 신체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이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meanings of waste, body, and national development are (re)framed in ethicalizing the use of ‘leftover’ embryos and ova for biological research. Although bioethics laws have been reformed since the Hwang scandal, it was too easily reduced to the discourse of ‘informed consent,’ and the use of ‘leftover’ ova and embryos produced in fertility clinics as an alternative, while the current structures deeply related to the Hwang scandal still remain. The ‘leftover’ is not a simple and easy source for research, but is always contested, as it embodies the power politics of having stem cell research embedded in fertility clinics, and the many contested meanings of the human body, nationalism and reproduction. The meaning of ‘leftover’ often erases women’s risks and the labor involved in infertility treatment, as well as other costs, such as huge amounts of fund for stem cell research while the public health system is lacking in its budget. This study questions the dominant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he body in terms of economy and efficiency.

      • KCI등재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젠더

        정연보(Jeong Yeon-Bo)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이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건을 계기로 나타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서의 난자 채취를 둘러싼 담론을 분석한다. 새로운 기술과 연관된 난자와 몸에 관한 이질적인 의미들은 ‘여성’이라는 젠더와 장애, 가족, 국가, 과학 등의 개념들이 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낸다. 여성과 여성의 몸은 실험의 ‘재료’, 국가발전의 ‘자원’ 에서부터 ‘생명’ 혹은 보다 능동적인 의미의 ‘연구 참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된다. 이 글은 이러한 재현들을 살펴보면서 여성과 장애인, 환자들을 수동적인 피해자 혹은 동원 대상으로만 그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이들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고지된 동의’ 등 개인의 ‘자율성’에 대한 강조를 넘어 과학기술의 연구방향과 기획의 결정과정에 개입하는 집합적 방식에 대한 고민을 촉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scourse around the issue of egg extraction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By tracing the heterogeneous meanings attached to ova and bodies in the new biotechnology, this study reveals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s of woman, disability, nation, and science emerge and transform. Women and their bodies in stem cell research a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resources for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materials for scientific experiments, or icons of life. As egg donors, women are also named as research participants or human subjects. The public understandings of women’s bodies take on such multifaceted meanings in regard to gender and science. Rather than representing women, disabled people, and patients as passive victim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ir multiple voices should be hear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the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of scientific research beyond emphasizing individual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