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Tc-99m DTPA and Tc-99m DMSA Renal Scan finding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Megacalyces and Megaureter without Urinary Tract Obstruction

        Ahn, Byeong-Cheol,Bae, Jin Ho,Jeong, Sin Young,Lee, Jaetae,Lee, Kyu Bo 대한핵의학회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3

        A 10 days old male infant with congenital megacalyces and megaureter,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nographic screening, underwent Tc-99m DTPA renal scan for evaluation of urinary tract patency, Tc-99m DMSA scan for evaluation of renal cortical damage. He also underwent intravenous urography(IVU) and renal ultrasonography. Tc-99m DTPA renal scan demonstrates intense tracer accumulation in enlarged both renal pelvocalyses and ureters, which rapidly washout without diuretics administration. Tc-99m DMSA renal cortical scan shows no remarkable photon defect in both renal cortices and visible tracer uptake in both megaureter areas. Ultasonographic and IVU studies show enlarged both renal calyses and bullously dilated ureters, but no dilatation in renal pelvis. Follow up Tc-99m DTPA renal scan, performed at one year later, also reveals intense tracer accumulation in enlarged both urinary tracts which rapidly washout without diuretics, and shows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 to the previous Tc-99m DTPA renal scan. Urinary tract obstruction and renal cortical damage can be easily evaluated with Tc-99m DTPA and Tc-99m DMSA scan in patiens with megacalyces and megaureter.

      • KCI등재

        골수 이식을 받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Tc-99m MDP 골스캔에서 우연히 발견된 비장 Hemochromatosis

        안병철,서지형,배진호,정신영,이재태,이규보 대한핵의학회 2004 핵의학 분자영상 Vol.38 No.1

        Purpose: Tc-99m MDP bone scan was performed to evaluate a generalized bone pain in a 24-year-old mal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patient who receiv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t 7 months ago. The patient had received large amounts of blood transfusion for managing symptoms related to anemia. Bone scan revealed substantial splenic tracer uptake.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laboratory evidence of hemochromatosis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large quantities of iron in the spleen of this patient may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splenic uptake of the bone scanning agent.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plenic hemochromatosis incidentally found on Tc-99m MDP bone scan.

      • KCI등재

        정량적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 검사에서 관류결손이 좌심근질량 측정과 부하 후 좌심실 용적 및 구혈률에 미치는 영향

        안병철,배선근,이상우,정신영,이재태,이규보 대한핵의학회 2002 핵의학 분자영상 Vol.36 No.6

        목적: 심질환의 예후 인자로 알려진 좌심근 질량 및 좌심실 구혈률을 구할 수 있는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는 관류결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관류결손을 일으키는 심혈관질환은 안정시와 부하후 좌심실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심근관류 스펙트상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첫째 관류 결손의 크기와 가역성 여부에 따른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구한 좌심근 질량의 차이를 알아 보았으며, 둘째, 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에 따른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얻은 좌심실 용적과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성 및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심근관류 스펙트상 관류 결손이 있는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가운데 남자가 34명(73.9%)이었고 평균연령은 64±9세였으며, 40명(87.0%)은 가역성 관류결손이었다.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는 740MBq의 Tc-99m MIBI를 투여한 후 이중헤드 감마카메라(Vertex Plus, ADAC,USA)를 이용하여 영상자료를 얻었다. 좌심근 질량, 이완기말/수축기말 좌심실 용적 및 좌심실 구혈률은 AutoQUA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구한 좌심근 질량은 뛰어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가역적 관류결손 환자보다 고정 관류결손 환자가, 관류 결손의 크기가 20%미만인 환자가 관류 결손크기가 20% 이상은 환자보다 두 값 사이에 더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고정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는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얻은 좌심실 이완기말 용적, 좌심실 수축기말 용적, 좌심실 구혈률에 차이가 없었으나, 가영적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서는 안정시와 부하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얻은 좌심실 구혈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역적 관류결손 환자 40명 가운데 10명(25%)에서는 부하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구한 좌심실 구혈률이 안정시에 구한 좌심실 구혈률보다 5% 이상 낮았다. 고정관류 결손환자는 가역적 관류 결손환자에 비해 안정시와 부하 후 좌심실 용적과 구혈률에 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관류결손은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를 이용한 좌심근 질량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정 관류 결손을 가진 환자 보다 가역적 관류 결손을 가진 환자에서 심근부하 후 과심실 구혈률 감소가 더 빈번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resence of perfusion defect ma influence the left ventricular mass (LVM) measurement by quantitative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QGS), and ischemic myocardium, usually showing perfusion defect may produce post-stress LV dysfunction.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d the effects of extent and reversibility of perfusion defect on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LVM by QG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versibility of perfusion defect on post-stress LV dysfunction. Subjects and Methods: Forty-six patients (male/female=34:12, mean age=64years) with perfusion defect on myocardial perfusion SPECT underwent rest and post-stress QGS. Forty patients (87%) showed reversible defect. End-diastolic volume (EDV), end-systolic volume (ESV), LV ejection fraction (EF), and LV myocardial volume were obtained from QGS by AutoQUANT program, and LVM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LV myocardial volume by the specific gravity of myocardium. Results: LVMs measured at rest and post-stress QGS showed good correlation, and higher correlation was founded in the subjects with fixed perfusion defect and with small defect (smaller than 2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Vs, ESVs and EFs between obtained by rest and post-stress QGS in patients with fixed myocardial defect. Whereas, EF obtained post-stress QGS was lower than that by rest QGS in patients with reversible defect and 10 (25%) of them showed decreases in EF more than 5% in post-stress QGS, as compared to that of rest QGS. Excellent correlations of EDVs, ESVs, EFs between rest and post-stress QGS were noted. Patients with fixed defect had higher correlation between EDVs, ESVs, EFs than patients with reversible defec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usion defect can affect LVM measurement by QGS and patients with reversible defect shows post-stress LV dysfunction more frequently than patients with fixed perfusion defect. (Korean J Nucl Med 2002;36;381-9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