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랙티브 미디어스킨을 활용한 도시 환경의 소통 활성화를 위한 연구

        정승은(Seungeun Jung),변수연(Suyeon Byeon)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디지털미디어 환경이 점차 발달하면서 도시 공간의 개념도 확장되고 있다. 다양한 디지털매체를 통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점차 두 공간이 결합하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두 공간의 소통방식 또한 바뀌고 있다. 도시 환경적 관점에서 기존 개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특성을 가진 공간과 도시공간간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도시미관의 일환으로 미디어스킨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도시 건축 기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미디어스킨이 체험 확장 측면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 제안과 현재 도시 공공공간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는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구현될 새로운 기술과 소통방식을 통해 발생하는 영향과 디지털매체와 도시건축 융합의 한계와 부작용, 문제점의 해결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 기대되는 가능성 및 디지털매체에 기반한 도시 문화 환경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rapidly evolving, the spatial concept has been expanding ever since, boundaries between virtual reality and reality have become blurred and two spaces is gradually merging one. Point of view in city, new display technology develops and implements for new property, media skin is also used for urban aesthetics. In this paper, we experience expansion in terms of media skins, and a new urban construction technique is emerg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proposed to create new value in urban public space based on case study,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of new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urthermore, we present the effect that occurs through digital media, convergence of urban architecture, limitations, side effect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irection of future possibilities based on digital media and urban culture environment.

      • KCI등재

        Speech Outcomes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Following Primary Palatal Surgery: A Retrospective Study

        하승희(Seunghee Ha),정승은(Seungeun Jung),문희원(Heewon Moon),고경석(Kyungsuk K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차 구개성형술 이후 구개열 아동들의 말 산출 능력을 살펴보았고 구개열 유형과 말 산출 결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2007-2012년 사이에 1차 구개성형술을 받고 생후 36개월까지 정기적인 말-언어선별검사를 받은 302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36개월 선별검사결과와 외래진료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실시되었다. 구개열 유형, 수술 시기와 같은 기본 정보를 수집하였고 2차 구개성형술과 언어치료를 받은 아동의 비율, 경중도 이상의 과다비성과 조음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비율, 보상조음을 보이는 아동의 비율을 살펴보았다. 결과: 약 17%의 구개열 아동이 1차 구개성형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인두 형성부전을 보여 2차 구개성형술을 받았고 48% 정도의 아동들이 말 문제로 인해 언어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구개열 유형에 따라 말 산출능력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구순구개열 아동이 구개열 아동보다 경중도 이상의 과다비성과 조음 문제를 보이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많은 수의 구개열 아동이 1차 구개성형술 이후 부가적인 수술이나 언어치료가 필요한 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구개열 아동을 대상으로 1차 구개성형술 이후 정기적인 추적 말-언어평가를 실시하고 구개열 아동을 위한 전문적인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ech outcomes in a group of Korean childre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following primary palatal surger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left type and speech outcom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302 children with cleft palate who underwent primary palatal surgery between 2007 and 2012 and were seen for routine follow-up speech screening tests until 36 months of age.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linical records from the 36-month evaluation.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and data on cleft type, age of surgery, and other concomitant difficulties were obtained. Also, the following data were investigated: percent of children requiring secondary palatal surgery, percent who were enrolled in speech therapy, percent demonstrating significant hypernasality, percent indicating significant articulatory deficit, and percent demonstrating compensatory misarticulations. Results: Approximately 17% of the children had received secondary palatal surgery for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and 48% of the children were enrolled in speech therapy. Chi-square analyse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left type and variables on speech outcomes. Children with cleft lip and palate tended to show more significant hypernasality and articulatory deficits than children with cleft palate on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jority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demonstrated speech problems that require direct speech therapy.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llow-up speech tests and speech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 KCI등재

        구개성형술 이후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의 말 산출 능력

        하승희(Seunghee Ha),정승은(Seungeun Jung),고경석(Kyung S. Koh),오태석(Tae Suk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판 구개열 말 평가”를 이용해 1차 구개성형술을 받은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의 3-4세 시점의 말 산출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로 1차 구개성형술을 받은 58명의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이 최종적으로 채택되었으며, 구개열 클리닉에서 실시된 말선별검사에서 녹음된 오디오 말자료를 기반으로 구개열 전문 언어치료사 및 연구자 3인이 암맹 분석을 실시하 였다. “한국판 구개열 말 평가”의 하위 평가 영역별로 조음, 말명료도, 공명, 음성의 문제유무와 심각도를 판별하고, 2차수술 여부와 언어치료 필요성을 판단하였다. 결과: 3-4세 양측 구순구개열의 말 산출 능력을 분석한 결과, 조음 영역에서는 후비강마찰음화, 연구개음 화, 성문음과 인두음으로의 동시조음와, 파열음의 비음화가 58명의 대상아동 중 각각 24명 이상의 아동에게서 관찰되어 40% 이상의 출현율을 보였다. 또한 41.3%의 아동이 전체 발화 중 70% 이하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손상된 말명료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명 영역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과다비성을 보인 아동은 37.9%, 들리는 비누출을 보인 아동은 51.7%로 나타났다. 평가자들은 62.1%의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이 언어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2차 수술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아동은 36.2%로 평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구개열 유형과 수술 집도의 등 말 산출과 관련된 요소들을 통제하여 1차 구개성형술을 받은 아동의 말 산출 결과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의 말 산출 능력을 토대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임상적 중재의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언어평가 및 치료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peech outcomes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BCLP) at 3 or 4 years of age after primary palatal surgery using the Cleft Audit Protocol for Speech - Augmented - Korean modification. Methods: This study selected 58 children born with non-syndromic BCLP who received primary palatal surgery. Blind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hildren’s audio-recorded speech samples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resonance and articulation problems, and to rate whether there is a perceived need for secondary palatal repair or speech therapy. Results: Among the 58 children with BCLP, 40% showed significantly affected speech intelligibility, which indicated that less than 70% of their speech could be understood. Posterior nasal fricatives, back to velar, co-articulated glottal/pharyngeal errors, and nasal realization had more than 40% prevalen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37.9% of children with BCLP exhibited moderate or more severe hypernasality and 51.7% had audible nasal emission. The listeners also judged that 62.1% of children required speech therapy and 36.2% of children needed to receive secondary palatal surgery for their persistent speech problems.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speech outcomes of primary palatal surgery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BCLP while controlling the related factors to speech outcomes, such as cleft type and surgeon. This study ultimately contributes to improving our current clinical care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 해상교통관제서비스(VTS)의 추가 설치를 위한 연구

        한준수(Junsoo Han),김현우(Hyunwoo Kim),정승은(Seungeun Jung),이진호(Jinho Lee) 대한산업공학회 2014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Vessel Traffic Service (VTS) is the service that provides ships navigating on a sea transportation route with guidance and advice about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other attentive information for their safety. In this study, we point out that currently construction of more VTSs is required to prevent ships from unexpected accident on their navigation. Then, we select several candidate locations for constructing an additional VTS, based on the amount of marine transportation and its potential development possibility. Finally, we present an optimization model in which the maximum area coverage is achieved by determining new locations of VTS subject to a budget limitation. The problem can be modeled as a binary integer program and we provide an optimal solution for new VTS locations to be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