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이미지에 기반한 내벽구조 검출 방법

        정도욱 ( Do-wook Jeong ),정성기 ( Sung-gi Jung ),최형일 ( Hyung-il Choi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한 장의 실내이미지에서 내벽구조 검출을 위한 개선된 소실점 검출방법과 세그먼트 레이블링 방법을 제안한다. AR 기술 수요의 증가로 이미지로부터 건축물의 구조를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폐색을 발생시키는 객체들이 많은 실내 이미지에서 실내 내부 구조를 인식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다. 소실점 검출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육면체를 이루는 실내 내벽들 사이의 직교성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내 이미지 내의 세그먼트들을 레이블링 하기 위하여 슈퍼픽셀 기반의 군집화 방법과 트리기반 학습기를 통한 레이블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들에 의하여 실내 구조 검출 결과가 개선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improved vanishing points detection and segments labeling methods for inside wall frame detection from indoor image of a piece of having a colour RGB. A lot of research related to recognizing the frame of artificial structures from the image is being performed due to increase in demand for AR technology. But detect the inside wall frame in indoor images have many objects that caused the occlusion is still a difficult issue. Inner wall frame detection methods are usually segment labeling methods and detect vanishing point methods are used together. In order to improve the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we proposed using inner wall orthogonality which forms the cube. Also we proposed labeling method using tree based learning and superpixel based segmentation method for labelingthe segments in indoor images. Finally, in experiments have shown improved results about inside wall frame detection according to our methods.

      •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임베디드 다중 전광판 시스템의 구현

        정도욱 ( Do-wook Jeong ),정재훈 ( Jae-hun Jung ),한형철 ( Hyeong-cheol Han ),차정운 ( Jeong-un Cha ),김영곤 ( Young-g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WiFi 환경이 제공되는 요즘의 환경에 맞추어 전광판을 무선 네트워크망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 ATmega2560코어와 WiFi 모듈 및 서버를 활용하여 제작한 본 시스템은 다양한 출력이 불가능한 기존의 전광판과 전광판에 필요한 임베디드 코어에 문자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변환과정으로 생긴 부화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의 장점을 지닌다. 한 가지는 사용자에게 다중 전광판의 출력 내용을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서버를 통하여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전광판 관리자에게 출력할 폰트나 출력 양식을 서버로 집중 관리하게 함으로서 쉽게 변동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 ATmega128을 이용한 효율적인 작업공정 처리결과 입력 시스템

        정재훈 ( Jae-hun Jung ),정도욱 ( Do-wook Jeong ),한형철 ( Hyeong-cheol Han ),차정운 ( Jeong-un Cha ),김영곤 ( Young-g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산업공장 내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작업에 대한 지시를 효율적으로 이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한다. 모든 공장에서는 자동화와 더불어 안전하고 생산성 높은 시스템을 추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작업공정이 비체계적이며,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제조 공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다양하고 많은 제품이 동시 다발적으로 생산되는 상황에서 적기 생산과 완성도 높은 제품을 위한 작업 제어 관리가 필요한 시점으로 작업에 관련된 데이터를 재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공정 전체를 시스템으로 포착하여 각 설비(요소)의 안전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여야 하며, 작업공정 처리 결과를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는 ATmega보드를 모듈화 해야한다. 본 논문은 입력장치 모듈과 ATmega128, WIFI 모듈을 접목하여 작업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작업공정 입력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로 인하여 현 제조 공장 생산업무의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경영 개선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특징 검출 영역 제한을 통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속도 향상 방법

        아나르 ( Anar Munkhjargal ),정성기 ( Sung Gi Jung ),김효연 ( Hyo Yeon Kim ),정도욱 ( Do Wook Jeong ),김기상 ( Kisang Kim ),최형일 ( Hyung-il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기법의 중요한 부분은 입력 영상들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영상간의 대응점을 찾는 작업이다. 특징 추출할 때 영상의 회전, 스케일, 밝기 변화에 강건하고 수행속도가 비교적 빠른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과정에 있어서 실제 대응하는 점들을 크게 다루기 때문에 불필요한 영역의 특징들은 오히려 연산속도의 방해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 추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특징 매칭 횟수 감소 및 속도 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특징의 개수가 감소되면 매칭 횟수 감소되고, 이후 이루어질 여러 계산량도 줄어 속도가 향상된다. 본 연구에 SURF(Speeded-Up Robust Featur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