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화질(FULL HD)경관 콘텐츠 구성에 따른 수용자의 정서 및 생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한예진 ( Ye-jin Han ),김기성 ( Ki Seong Kim ),문상정 ( Sang Jeong Moon ),주혜선 ( Joon-woo Chon ),전준우 ( Young Jun Choi ),최영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고화질 영상화면(Full HD)1)의 다양한 경관 구성에 따른 수용자의 정서 및 생리적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TV미디어 화면의 화면치유(Screen Therapy)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는 융복합 연구 프로젝트로서 순수 인문사회분야 연구 프레임을 벗어나 구조화된 임상심리 설문을 적용하여 36명의 피험자를 선발하였고, 실험설계 방식을 활용하여 영상자극에 대한 자기보고식 응답과 생리적 반응(EEG)을 모두 확인하였다. 영상자극물은 고화질로 구성된 호주, 뉴질랜드 경관 8종의 영상물로서 편집과 내용의 구성에 따라 단일(SIMPLE)경관 4종과 복합(MIX)경관 4종(Video1,2,3,4)으로 차이를 두었다. 연구결과 단일경관 시청그룹 내의 자아관여와 주의회복요인 중 조화감, 매혹감, 확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다양한 자연경관에 사람이 함께 구성된 Video4에서 가장 높은 자아관여 및 주의회복이 일어났음이 확인되었고 생리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뇌파(EEG)분석 결과 명상 및 시각적 자극에 대한 광범위한 인지 활성화 상태일 때 증가하는 전두엽 부위의 Gamma 파의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자아관여 및 주의회복이 높은 경관은 바다와 해양경관인 Video2였으며, 평안, 긍정정서와 관계있는 Alpha파의 증가를 전두부와 측두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경관 시청그룹 내의 주의회복은 조화감과 매혹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 들, 바다, 해양의 경관이 복합된 Video1의 조화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심사숙고하거나 내적 경험에 주의를 기울일 때 활성화되는 Theta파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매혹감과 자아관여가 가장 높은 경관은 도시에 사람이 함께 구성된 Video4이었는데, 뇌파측정결과 집중 및 고도의 인지력을 발휘할 때 증가하는 Beta파와 Gamma파의 활성화가 전두부에서 확인되어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외출과 여행이 제한된 개인이 도시 속을 활보하는 호주의 풍경을 감상하는 동안 대리만족을 통한 자아관여를 깊이 경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황에 따라 아름다운 도시환경도 개인에게 회복환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영상을 활용한 회복환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의 편집과 내용에 따른 단일 및 복합 경관 8종의 경관을 통하여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영상의 정서적 개선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이는 융복합연구 프로젝트의 목적인 화면 치유(Screen Therapy)의 실효성을 탐색적인 수준에서 입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recipients according to the various landscape configurations of the high-definition video screen (Full HD). In particular, this study is a convergence study that attempt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creen Therapy’ on TV media screens, and 36 subjects were selected by applying a systematic clinical psychological survey beyond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method,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image stimulus as well as the self-reported response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response (EEG) were confirmed in real time. The video stimuli are 8 types of Australian and New Zealand landscapes composed of high-definition, an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editing and content, there are 4 types of single (SIMPLE) landscapes and 4 types of complex (MIX) land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nse of compatability, fascination, and extent factors within the SIMPLE viewing grou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Ego-involvement. In particular, in Video 4, which is the result of combining various natural landscapes and people togeth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Attention Restoration and Ego-involvement were confirmed, and gamma waves of the frontal lobe that increase during meditation were analyzed by EEG analysis to additionally confirm physiological responses. In Video2, an ocean and marine landscape in which the results of Attention Restoration and Ego-involvement were second highest, an increase in Alpha waves related to peace and positive emotions was confirmed in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patability and fascination factors of the Attention Restoration within the MIX viewing group. In Video1, a combination of mountain, field, sea, and ocean landscapes, it was found that compat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result of EEG measurements confirmed the activation of Theta wave, which is activated when careful consideration or paying attention to internal experiences. In Video 4, the factors of fascination and Ego-involvement were the highest, and as a result of EEG measure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ation of Beta waves and gamma waves.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 deep experience of Ego-involvement through surrogate satisfaction while enjoying the scenery of Australia walking through the city by individuals who are restricted from going out and traveling in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In particular, it was a new result confirming that a beautiful urban environment can be a restorative environment for individual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new level of discussion on emotional improvement of Video that have not been attempted so far through video of eight single and composite landscape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ble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Screen Therapy at an explorator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