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orphyromonas gingivalis 바이오필름에 의한 숙주 면역반응의 교란

        전우석,김성조,최점일,Jeon, Woo-Seok,Kim, Sung-Jo,Choi, Jeom-Il 대한치주과학회 200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2 No.4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how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were perturbed by immunization of mixed periodontal bacterial biofilms. Each group of mice was immunizared with 1) Poq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is) grown as a planktonic culture, 2) Fusobacterium nucleatum (F. nucleatum), 3) P. gingivalis grown as a biofilm, or 4) mixed P. gingivalis plus F. nucleatum grown as a biofilm culture, respectively. Immune mouse sera were collected from each mouse. Spleens were harvested to isolate T cells and consequently stimulated with antigen presenting cells and P. gingivalis whole cell antigen to establish P. gingivalis-specific T cell li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anti- gingivalis IgG antibody titers among mouse groups. Immunization of mice with pure P. gingivalis biofilm or mixed P gingivalis plus F. nucleatum biofilm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o f antibody avidity and opsonophagocytois function. INF-$\gamma$production by P. gingivalis-specific T cell lines was also substantially recluced in mouse groups immunized with the biofilm. It was concluded that P. gingivalis biofilm perturbs the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in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국내산 대나무 3종의 해부학적 특성

        전우석 ( Woo-seok Jeon ),김윤기 ( Yun-ki Kim ),이주아 ( Ju-ah Lee ),김아란 ( Ah-ran Kim ),( Byantara Darsan ),정우양 ( Woo-yang Chung ),김남훈 ( Nam-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8 목재공학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의 하나인 대나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대나무 3종(맹종죽, 솜대 및 왕대)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3종 모두 유관속Ⅰ형으로 종간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횡단면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출현빈도가 더 높았고, 유관속을 둘러싸고 있는 유관속초의 비율도 커졌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모든 종에서 외측부의 값이 내측부의 값보다 컸으며, 내측부와 외측부 모두 왕대의 섬유길이가 가장 길었다. 섬유길이의 유의성 검정 결과 3종 모두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 횡단면에서 측정한 도관 직경 및 유세포 직경은 맹종죽의 값이 가장 컸으며, 방사 및 접선단면에서 측정한 유세포 길이 및 폭은 맹종죽과 왕대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고, 솜대가 가장 작았다.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분석 결과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은 외측부가 내측부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왕대의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이 다른 2종에 비해 다소 높았다. Bamboo is one of the major biomass resources in the world. To obtain valuable information for effective use of bamboo resources in Korea,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Korean bamboo species (Phyllostachys pubescens, Phyllostachys nigra,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were analyzed. The structures in bamboo culm were observed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lso the crystalline properties as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were measured by an X-ray diffraction method. The three Korean bamboo species had the vascular bundle type Ⅰ with tylosoid in intercellular space. In the outer part of culm, vascular bundles showed denser spacing than inner part. The fiber length in outer part samples of the three bamboo species showed longer than inner part samples. Furthermore, the fiber leng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ner part and outer part in three bamboo species, showing the longest fiber length in Phyllostachys bambusoides. Phyllostachys pubescens showed the greatest diameter in vessel and parenchyma on cross section. Parenchyma cells in Phyllostachys pubescens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showed similar length and width in both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The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in outer part samples of the three bamboo specie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in inner part samples, with the greatest values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 KCI등재

        국내산 맹종죽의 죽령별 해부학적 특성

        전우석 ( Woo-seok Jeon ),변희섭 ( Hee-seop Byeon ),김남훈 ( Nam-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8 목재공학 Vol.46 No.3

        대나무는 생장이 빠르고, 벌목주기가 짧으며, 목재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주요 바이오 매스 자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의 1년생∼5년생까지 죽령별로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X선회절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유관 속초의 크기는 1년생이 가장 작았으며, 2년생 이후 유사하였다. 수 부분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분포밀도가 높았고, 유관속초의 발달 형태가 뚜렷하게 달랐다. 특히, 1년생 수 부분 유관속 중 세포간극에 인접한 유관속초가 발달 되지 않은 유관속이 드물게 출현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1년생이 가장 짧았으며,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가 수 부분보다 길었다. 유관속의 방사 및 접선방향 폭은 모든 년생에서 접선방향 폭이 더 컸으며, 2년생부터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관 직경 및 내층 두께는 1년생의 값이 가장 작았으며, 도관 직경은 2년생 이후, 내층 두께는 3년생 이후부터 유사한 값을 보였다. 상대결정화도는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1년생의 값이 가장 낮고, 2∼5년생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산 맹종죽은 죽령별로 조직구조에 있어 정성적 및 정량적 차이가 있었으며, 2∼5년생의 특성은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1년생은 미성숙한 상태이며, 2년생 이상의 대나무는 성숙한 상태로 조직구조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Bamboo is one of the major biomass resources that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fast growing, easy cultivation, short rotation, and a relatively lower price. In this study,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by age from one-year-old to five-year-old were examined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lso, the crystalline properties such as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were investigated by an X-ray diffraction method. In one-year-old bamboo xylem, a few vascular bundles showed missing bundle sheath in near the intercellular space. Moreover, one-year-old bamboo had the shortest fiber length and the smallest values in vessel diameter, width of vascular bundle, and thickness of inner layer. One-year-old bamboo also showed the smallest values in th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Near epidermis samples had longer fiber length and greater vascular bundle spacing than near pith samples.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near the epidermis were also higher than near the pith.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to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one-year-old and two-year- or more old Moso bamboos. It is concluded that the structural differences by bamboo age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nd mature bamboo.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색소침착가려움발진의 유발인자에 따른 임상소견과 재발률

        전우석 ( Woo Seok Jeon ),이지현 ( Ji Hyun Lee ),박영민 ( Young Min Park ),이준영 ( Jun Young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1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52 No.11

        Background: Prurigo pigmentosa (PP) is a chronic recurrent dermatosis that occurs in young adults and is characterized by pruritic erythematous macules and papules that leave reticular hyperpigment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a few comprehensive studie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currence rates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and recurrence rates according to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P.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photographs, and histopathological slides of 6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P between March 2005 and March 201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currence rates between the group without associated factors and the group with associated factors (contact, diet/ weight loss, and sweat, respectively). Results: PP associated with contact showed localized involvement a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lesions; however,the PP lesions associated with diet or weight loss showed diffuse involvement. PP associated with sweat showed a tendency to be distributed in the flexural area and depressed area with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sions. The recurrence rate of the group with no associated factors was 45.7%, while that of the group with associated factors was 33.3%. Within this group, the recurrence rate was 23.1% (3/13) for the contact group, 27.3% (3/11) for the diet/weight loss group, and 50% (4/8) for the sweat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in recurrence ra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e suspe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P. Although the differences in recurrence rates according to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suspect that further research with a larger sample size will show that the differences are in fact present. (Korean J Dermatol 2014;52(11):797∼801)

      • KCI등재

        전통 마감제인 명유의 방미효력 평가

        윤새민,박용건,전우석,이현미,황원중,남기달,박재관,Yoon, Sae-Min,Park, Yonggun,Jeon, Woo-Seok,Lee, Hyun-Mi,Hwang, Wonjoung,Nam, Kee Dal,Park, Jae-Gwa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현한 전통 명유, 전통 명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개발한 크린 명유, 그리고 명유의 원료이자 현재 목조문화재를 보수할 때 단청의 마감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들기름의 방미효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생들기름은 방미효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두 종류의 명유는 모두 높은 성능의 방미효력을 보였다. 하지만, 명유를 천연용제인 테르펜유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균주에 노출된 지 4주 만에 방미효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재에 처리된 약제의 함량이 명유의 방미효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목조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명유가 들기름보다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마감제로 더 적합하며, 야외 환경에서의 곰팡이 성장 억제를 저해 할 수 있는 최적의 처리량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명유의 적용 가능성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study, the anti-stain effect of the Traditional Myoung-oil, which has been reproduced through traditional method, the Clean Myoung-oil, which was developed in an eco-friendly metho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f Traditional Myoung-oil, and the perilla oil,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Myoung-oil and is currently used as a finishing agent when repair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perilla oil showed almost no anti-stain effect, whereas both types of Myoung-oil showed high anti-stain effec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stain effect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4 weeks of exposure to the strain when Myoung-oil was diluted with terpene oil, a natural solvent. Thus, it wa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treatment in the wood affected the anti-stain effect of Myoung-oil. In other words, in constructing wooden buildings, Myoung-o il is more suitable as a finishing agent to suppress mold growth than perilla oil.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Myoung-oil,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search on the optimal treatment amount and treatment method that can inhibit mold growth inhibition in outdoor environments is necessary.

      • < 전시-P-03 > 산림전통지식 유형 분류에 따른 목재 수종 식별 연구

        이현미 ( Hyun Mi Lee ),전우석 ( Woo Seok Jeon ),박찬열 ( Chan Ryul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우리나라의 산림전통지식 체계 연구를 통하여 다른 국가들의 전통지식과 비교 분석하고 고가옥·누각·정자와 목조 문화재의 수종 구성을 조사하여 목재문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목재 수종 식별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지식에 대한 부분을 현대적인 해석으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목재문화의 수종에 따른 산림문화 변천을 알 수 있었다. 산림전통지식 활용체계 정립 및 보전방안 연구의 유형 분류에 따라 소백산 권역의 경상북도 상주시와 영주시에서 목재 샘플채취를 하였다. 6.25 전후 전통가옥의 기둥, 문창살, 부엌문, 집틀 그리고 정자, 대청마루, 대들보에서 각각의 시료를 분류하여 활용하였다. 목재조직 현미경 관찰을 위한 목재 3단면의 수종분석 대부분은 침엽수인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해부학적인 조직요소인 가도관, 수직수지구, 수평수지구, 수지구를 둘러싸는 에피델리움세포, 방사유세포, 방사가도관, 분야벽공 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시료에 대한 부후 정도를 알 수 있었고, 일부 시료에서는 부후가 심하게 나타났다. 특히 가옥의 시료 중 기둥 부재의 부후 원인은 빗물과 습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부재의 시료 중 소나무류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수종 중 방사단면이 다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부분은 과거 집을 지을 때 다른 부재가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한국의 목재 관련 산림전통지식을 발굴하여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정립함으로써, 권역별 목재 관련 산림전통지식을 발굴하여 과학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 공유와 확산을 통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 17세기, 18세기 영건의궤 국용목재 부재별 해부학적 분석

        이현미 ( Lee Hyun Mi ),전우석 ( Jeon Woo Seok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조선후기 국용목재에 사용된 수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건의궤 6종(장서각, 규장각)의 영건에 사용된 침엽수 1점과 활엽수 5점에 대한 수종을 분석하였다. 영건의궤는 17세기 창경궁수리소의궤,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 18세기 경모궁개건도감의궤, 진전중수도감의궤, 화성성역의궤이다. 주요 용도로는 궁궐, 제실, 사묘, 성곽 등의 수리와 보수 공사에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17세기~18세기 영건의궤에 명시된 수종은 재료 수급에 따라서 활엽수재는 가래나무,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오동나무,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이고, 침엽수재는 소나무가 공통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목조문화재가 현대의 목조문화재·건축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형태의 단순화, 기계화, 부재의 규격화, 작업의 표준화, 수종의 복원화 등이다. 문화재 수리는 같은 재질의 동일 수종으로 수리나 교체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종 조사는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각 시대별 수종을 대신해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표본실 재감에서 식별에 필요한 같은 수종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관찰을 위해서 목재 3단면의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해부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영건의궤 편역본을 통하여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부재별 수종을 알 수 있었으며, 수리·보수 공사시 목재 수종을 추정하는데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