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언론에 나타난 가상 인간 윤리 이슈 파악: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장서진(Seojin Jang),한다은(Daeun Han),오창훈(Changhoon Oh)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1

        Virtual humans have emerged as a new digital service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the technology could be misused. We collected 139 Korean media reports on virtual humans and analyzed them through semantic networks using UCINET 6 to identify the ethical issues of virtual huma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discuss the ethical issue of virtual humans in terms of the overall process of their development and their use. Regarding policies and regulations relating to virtual humans, discussions on ‘job replacement’,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and ‘diversity’ are urgently required. Virtual humans are also subject to issues like sexual harassment, appearance judgement, hatred, and other types of discrimination that affect humans. There are also issues related to ‘crime’, ‘portrait rights’, ‘dignity’, ‘right to be forgotten’, etc., when a virtual human is created after the appearance of a real human. Lastly, the development phase of virtual human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factors like ‘trus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ias’, and ‘prejudice.’

      • 청년 1인 가구 질병 예방을 위한 커뮤니티형 메타버스 헬스케어 서비스 ‘Us Healthy’ 제안

        권민주(Minju Kwon),장서진(Seojin Jang),김영진(Young Jin Kim),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경제적인 이유와 시대적인 흐름으로 청년 1 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의지가 약해서 비만 확률이 높으며 외로움, 신체적 질병, 우울등의 다양한 건강문제들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1 인 청년가구를 위한 가상 운동 공간에서 소속감과 운동의 재미와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의 커뮤니티형 메타버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사용하여 1인 청년 가구의 생활, 건강관리와 사회적 관계성, 니즈를 확인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와 유저 다이어리를 진행하였다. 기획 및 컨셉을 도출 한 후, 퍼소나와 사용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한 헬스케어 서비스와 달리 AI 가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체형이 비슷한 운동 소그룹을 추천하여 가상공간에서 다른 아바타들과 함께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아바타로 체형변화 확인, 리워드 보상 그리고 외로움을 AI 아바타와의 인터랙션과 운동 커뮤니티로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소속감과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정신 건강 모두 높여준다. 전체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향상할 수 있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사회 가치를 증진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