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칭찬 응대 비교 연구

        장민정(Jang Min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세계화ㆍ다문화 등의 담론은 더 이상 새롭거나 낯선 것, 혹은 준비해야 하는 미래가 아닌 이미 우리 내부에 도래한 세계이다. 특히 대학의 교육 현장은 이미 오래전부터 세계화, 다문화라는 틀 안에서 운영되고 있다. 교육은 이미 다문화를 지향하고 있고, 다양성에 대한 인식 강화를 명시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나 아니 타자와 사회적 거리를 적절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이해, 타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인식의 한 방향으로 칭찬 화행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모어 화자의 칭찬 응대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다문화 사회의 타자에 대한 이해 맥락을 형성할 수 있는 틀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칭찬은 사회적 거리형성에 중요한 담화이며, 교육적으로도 여러 의미를 지니는 화행이다. 하지만 그러한 칭찬은 칭찬의 주제나 맥락에 따라,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고, 무엇보다 교사나 동료의 칭찬 화행에 응대하는 방식이 달라 친밀도 형성 시기에 오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과 한국 내 대학에 유학 와 있는 중국 유학생의 칭찬 응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의 의미를 밝힌 연구이다. 연구는 담화완성형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연구 결과는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wareness of diversity is important. Multiculturalism is not a future we have to prepare, but it is already arrived inside us. In particular, Universities have long been operating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Education has already praised multiculturalism and has explicitly aimed at strengthening awareness of diversity. In order to properly form social relations with other peopl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 and understand the other’s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ompliment and compliment response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others in multicultural society. Compliment is an important speech act in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and it is an discourse that has various meanings in education. Such Compliment, however,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by culture, depending on the theme and context of the compliment. Above all, misunderstandings may occur at the time of forming intimacy by responding to the compliment.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mpliment respons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esul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statistically.

      • KCI등재

        비대면 강의에서 강의 듣기 태도, 학습스타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강의를 중심으로

        장민정(Jang Min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비대면 강의가 일상이 되면서 기존의 교육 환경과 다른 교육 여건 속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Covid-19와 관련된 언택트(Untact),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가 일상화된 것처럼 빠른 속도로변화하는 시대의 모습 속에서 교육 환경의 다양화 다각화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 방법 등에 대한 논의가 절실한 시점이다. 더불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에 따른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듣기 연구는 그 중요도와 필요성에 비해 여전히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문 목적 듣기 강의에서 비대면 강의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강의 듣기 태도, 학습스타일, 자기조절학습 등을 분석하여 대면 강의에서와 어떻게 차이를 두고 비대면 강의를 진행해야 할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강의에서 학습자들은 대면 강의에 비해 강의 중 활동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성취 학점이 높은 학습자에 비해 성취 학점이 낮은 학습자들은 청각적 활동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은 성취 학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Non-face-to-face lectures have become a daily routine, and learners’ lesson participationmethods have changed in the existing and other educational conditions. As the terms “untact”and “new normal” related to Covid-19 have become a routine, in this rapidly changing era,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an urgent time to discuss how toteach. In addition, although the study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increasing due to the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listening research is stillneglect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analyze the listening attitudes, learn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learners participatingin non-face-to-face lectures in academic Korean listening lectures to clarify how to conduct nonface-to-face lectures with a difference from face-to-face lect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found that in non-face-to-face lectures perceive the while listening activities as more importantthan in face-to-face lectures. In addition, the low-achieving learners were found to focus only onlisten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high-achieving learner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analyzedto be correlated with achievement credit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듣기 전략 효과에 대한 연구

        장민정(MinJung J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 듣기의 성공적 요인 중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전략 사용이 학문 목적 듣기상황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2언어 듣기 선행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강의 수강 전의 한국어 듣기 능력, 메타인지 전략, 자기조절학습 능력, 하향식 전략 사용, 상향식 전략 사용 등이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인지 전략, 하향식 전략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상향식 전략을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ategy use,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econd language listening success, is also significant in academic listening. Therefo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istening ability,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use of top-down strategies, and use of bottom-up strategies, which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ious research on second language listening, aff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top-down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bu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bottom-up strategies had relatively less significant effects.

      • KCI등재
      • KCI등재

        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과정 연구

        홍은실 ( Hong Eunsil ),장민정 ( Jang Minjung ),오문경 ( Oh Moonkyoung ),유하라 ( Yu Hara ),현원숙 ( Hyun Wonsook ),김경훤 ( Kim Kyonghwon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y. Traditionally, since learning involved obtaining static and absolute knowledge and skills, the structure of knowledge played a major role in the curriculum. However, a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efficient problem-solving abilities regardless of circumstances. Therefore, attention has now shifted to core competencies in developing curricula. Firs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the concept and traits of core competencies will be revisited. Second, we will identify implications from the cases of curricula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ing our curriculum. Third, we will show how the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of Sungkyunkwan university is develop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