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구두 형태의 디자인요소에 관한 감성반응 연구

        장미소(Jang, Miso),정재욱(Jung, Jaewook)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4

        여성들이 구두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착용감과 가격도 중요한 선택요인이지만, 형태와 색상의 디자인은 절대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구두의 디자인적 요소와 구매행위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구두의 구매행위를 결정짓는 디자인요소와 감성반응간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것을 연구주제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의 구두이미지를 샘플자료로 수집하였고, 유사도에 따라 총 65개의 구두이미지와 24개의 구두관련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수량화이론 Ⅲ류를 이용하여 현시판되는 여성구두의 분포특성을 2차원 분산그래프로 전환하여 그 속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유의한 성과였다. 여성구두의 어떠한 형태적 요소가 여성구두 구매행태에서 가장 큰 감성어휘로 추출된 ‘세련된’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수량화이론 Ⅰ류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굽의 굵기가 가장 영향을 끼치는 독립변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구두 디자인에 대한 감성반응을 정량적으로 추출하고 그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특정 감성어휘를 형성하고 있는 디자인요소를 정량적으로 추출함으로써 향후 여성구두 디자이너들에게 신뢰도 있는 지표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둘 수 있다. When it comes to buying shoes, how it feels and how much it costs may be some of the things women consider. However, the design and the color of the shoes are the main factors that lead women to make their final decisions. Ye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women’s shoes and the decision to purchase has been far from sufficient. For that matter,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observe the correlation among design elements that determine the decision to purchase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his research collected sample data from the shoe imag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of 65 shoe models and 24 shoe-related sensitive vocabularies. We made use of qualification theory III to convert data on women’s shoes into a two-dimensional dispersion graphs and arrived at a meaningful conclusion. Since ‘Chic(saeryeonduen)’ was the most critical word for women when purchasing shoes, we have applied qualification theory I on this word.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thickness of the heels was the dependant variabl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quantitatively show the emotional response of women to their shoe designs and tried to interpret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lso, its academic value lay in the fact that a quantitative extraction was done on a design factor that formulates an sensitive vocabulary, providing a credible indicator to women’s shoe designers.

      • KCI등재

        대학 플립드러닝의 실제에 관한 연구: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선(Jinsun Kim),장미소(Miso Jang),박양주(Yangjoo Par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actice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ie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five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hich were accompanied by the analyses of the syllabi, the pre class video, and the instructional portfolios. As a result, the design of the whole class, the natur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pre-class video, and the activities during the class have been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ways. Nevertheless, all of the interviewees acknowledged that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had been effective. The researchers analyzed that the basis of this effect was their educational enthusiasm,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own classes, and the support of the university to support them.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플립드러닝의 실제적 다양성을 기술(記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위치한 A 대학에서 플립드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플립드러닝 효과에 대한 인식’, ‘참여 동기 및 계기’,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 개발, 운영’의 분석 유목을 도출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의 설계, 사전 동영상의 성격과 개발/활용, 수업 중 활동 등이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수업은 대략 토론활동 중심, 소그룹 협력활동 중심, 프로젝트 중심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됨에도 면담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모두 플립드러닝 전략이 효과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과의 기저에는 교수자가 지니고 있었던 수업에 대한 열정,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 당국의 노력과 지원 등이 주효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