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이상봉(Yi, Sangbong),임휘(Lim, Huiy)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개발된 혼합 학습 설계를 비교 분석 및 종합하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 학습 경험의 성격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표준 혼합 학습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제시한Michael & Heather(2015)의 혼합 학습 설계와 Bath & Bourke(2010)의 혼합 학습 설계를 분석하여 혼합학습 설계 단계별로 수정 및 보완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Mager & Beach(1967)의 수업 개발 모형을 통해 수업개발의 기본적인 단계를 보완하여 반영함으로써 여러 교과 및 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이 가능한 표준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준비, 개발, 실행, 개선의 네 단계를거치며 각각의 세부 절차에 따라 전개된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 분석, 혼합 학습 상황분석, 학습목표 선정의 절차를 수행한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세부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경험과 혼합 학습공간, 혼합 학습 전략을 선정하며 수업을 위한 혼합 학습 자료를 개발 및 디지털화 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혼합 학습 관리 시스템에 탑재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혼합 학습의 전반에 대해 안내하고 혼합 학습을 실시하며, 넷째, 개선 단계에서 이를 토대로 설계된 혼합학습을 개선한다. 또한 동 교과 및 학습 주제의 전문가에 의해 혼합 학습 설계 및 수업 자료를 평가하고 보완하여 수업을 재실시 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와 같이 개발된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국내 여러 교과 및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가능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각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혼합 학습 설계 모형, 혼합학습 유형별로 구체화된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을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ing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by compar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previously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s. In this study, the blende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space, character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blending level were comprehensively studied and considere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Michael B. H. & Heather S. (2015), which appli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arning spaces, an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Bath, D. & Bourke, J. (2010), which consider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vel of blending,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In addition, through the instruction developing model of Mager, R. F. & Beach, K. M. (1967), a standardized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lended learning situations was developed by supplementing and reflecting the basic steps of class development. This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is improved according to each procedure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mprovement. First, in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s for curriculum analysis, student analysis,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and learning objective selection are included.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objectives for each courses are selected, blend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paces, and character of learning experiences are selected,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blended learning are developed and digitalized. In addition, a tool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learning is developed and mounted on a blend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present it to students. Third, in the application stage, students are guided on the overall blended learning and after, tried blended learning out. And fourth, in the improvement stage, blended learning is improved based on the result from application stage. In addition, it goes through a procedure of reimplementing classes by evaluating and supplementing blended learning desig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by experts in the subject and learning experience. In conclusion,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applicable to various subjects and blended learning situations in Korea, and based on this study, a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시기별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내용의 분석

        이상봉(Sangbong Yi),임휘(Huiy L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제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가공하여 처리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에서 갖춰야 할 기본적 소양이다. 이를 위한 교육이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술교육 시기별로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변천을 분석하여 상호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통신기술 관련 기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교육 시기별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통신기술 교육의 방향과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기술교육 제1기에서 제3기까지는 제도,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통신기술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강조하기 시작하였으며, 제8기부터는 정보통신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 처리 능력, 정보통신 관련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 등을 강조하였다. 고등학교 기술교육 또한 제1기부터 제3기까지는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컴퓨터와 정보통신 관련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제6기와 제7기에는 ‘정보’ 관련 과목이 독립 과목으로 신설되어 ‘기술’ 교과에서 통신기술을 다루지 않았다. 제8기에는 정보통신기술 관련 문제해결 체험활동, 제9기에는 정보통신기술 시스템을 통해 기술교육의 특성에 맞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였으나 그 비중은 굉장히 적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에서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기술학에 터한 체제적 접근으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교육으로써의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technology-related technology education by analyzing transition in communication technolog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From the first to third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electrical and electronic-related education is the main focus, and industrial education is stro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began to be emphasized, and from the 8th perio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and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emphasized.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s also dominated by electricity and electronics-related education from the 1st to the 3rd, and has a strong industrial education character.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related to 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in earnest, and in the 6th and 7th periods, information related subjects were newly established as independent subjects, so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not dealt with. In the 8th period, problem-solving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re presented, and in the 9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but the proportion was very small. Based on this stud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to technology in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as gener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