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이트 컬러의 연구 추이 및 기회 분석

        임태훈(Lim, Tai Hu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감성의 중요성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에 컬러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 핵심적인 요소만을 강조하는 간결한 조형이 디자인의 큰 흐름을 형성하면서 화이트 컬러는 이러한 조형을 가장 잘 완성시킬 수 있는 컬러로써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기반의 기업에서는 완성도 높은 화이트 컬러의 개발과 더불어 급변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감성에 대한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는 많은 인원, 높은 비용과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구 초기에 올바른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향설정에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오랜기간 진행되어 왔던 연구들의 추이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연구 이슈와 향후 연구과제의 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디자인, 예술을 중심으로 5가지 분야의 석, 박사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을 통해 269개의 논문이 수집하였다. 각각의 특성에 따라 3차례에 걸쳐 범주화 하였고, 이후 화이트 컬러의 전반적 연구 추이 변화와 디자인, 예술 분야의 변화 그리고 디자인과 연계된 분야의 연구 추이 변화를 집중 분석하였다. 지난 35년 동안의 연구추이를 개괄적으로 보면, 공학 분야(89%)에서 압도적으로 화이트 컬러가 연구되었는데, 빛과 연관된 LED, OLED 분야의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다소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자인, 예술분야(5%)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연구의 양적인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소 미미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연구의 질적인 부분에서는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 급격히 확대되었고, 2010년 이후부터 전반적으로 축소경향을 띄고 있다. 주로 의상디자인 분야에서 역사적인 특수성과, 현재 디자인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디자인과 연계되어 있는 분야에서의 연구는 2010년대에도 인문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것은 화이트 컬러가 단순한 색채 혹은 표현으로써의 연구보다는 연계 분야에서 다른 관점으로 연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다른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구가 전무하고, 연구자의 전문 영역 안에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현재 연구의 한계점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화이트 컬러의 연구는 단순 색채의 한정된 영역에서 벗어나 실질적 연관관계가 높은 인문학, 사회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관점이 능동적으로 융합된 연구가 기회영역이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화이트 컬러의 본질적 가치가 한층 더 명료해지고, 소비자의 경험의 질이 향상되는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 Color is an integral part of the post-modern industrial design. White plays an important role since the desire for simplicity leads to present and future trend of design. The use of White into industrial design is expected to grow considerably as it has bee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like household appliances, automobiles, clothing, and interior design. He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stinctive White color is tremendously important for the product marketing. However, it could cost ridiculous amount of money and time, so it is essential to set a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long term trend researches would help setting the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By analyzing the long term trend researches, we can find current issues and set the research direction. In this study, I selected five areas of design and art based on the published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1980 to 2015. All 269 collected papers are categorized 3 times based on each attribute, then focused on analyzing overall trend research on White, primarily the trend in design, art, and related areas. In a study of trends over the last 35 years in general, Whit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engineering (89%),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LED and OLED associated with the light. These studies were intensive from the 1990s to the 2000s, but slowing down in 2010s.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in design and art as well, even though they are not many in number of studies, they made significant progres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rapidly increased in the 2000s, then slowing down a bit since 2010. The studies are mainly in fashion design area, researching on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contrast, in 2010s, the research of White in industrial design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into liberal arts, engineering, and other areas, which means that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of White. However, the studies are not integrated throughout the different areas; they are specialized on each areas of their study. Therefore, the research on White is now required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areas, like liberal arts, sociology, engineering, and etc.

      • KCI등재

        화이트 컬러의 연구 추이 및 기회 분석 산업디자인 및 제조업 관점에서

        임태훈 ( Lim Tai Hun ),황성걸 ( Hwang Sung Gul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감성의 중요성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에 컬러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 가 되었다. 핵심적인 요소만을 강조하는 간결한 조형이 디자인의 큰 흐름을 형성하면서 화이트 컬러는 이러한 조형을 가장 잘 완성시킬 수 있는 컬러로써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되는 거의 모든 분 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기반의 기업에서는 완성도 높은 화이트 컬러의 개발과 더불어 급변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감성에 대한 연구방향을 설정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는 많은 인원, 높은 비용과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 구 초기에 올바른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향 설정에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오랜 기간 진행되어 왔던 연구들의 추이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연구 이슈와 향후 연구과제의 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디자인, 예술을 중심으로 5가 지 분야의 석, 박사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 프라인을 통해 269개의 논문이 수집하였다. 각각의 특성에 따라 3차례에 걸쳐 범주화 하였고, 이후 화이트 컬러의 전반적 연구 추이 변화와 디자인, 예술 분야의 변화 그리고 디자인과 연계된 분야의 연구 추이 변화를 집중 분석하였다. 지난 35년 동안의 연구추이를 개괄적으로 보면, 공 학 분야(89%)에서 압도적으로 화이트 컬러가 연구되 었는데, 빛과 연관된 LED, OLED 분야의 연구가 가 장 많이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집중 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다소 축 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자인, 예술분야(5%)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 었지만, 연구의 양적인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소 미미 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연구의 질적인 부분에서는 의 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에 들어 서 급격히 확대되었고, 2010년 이후부터 전반적으로 축소경향을 띄고있다. 주로 의상디자인 분야에서 역 사적인 특수성과, 현재 디자인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 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디자인과 연계되어 있는 분야에서 의 연구는 2010년대에도 인문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 야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 다. 이것은 화이트 컬러가 단순한 색채 혹은 표현으로 써의 연구보다는 연계 분야에서 다른 관점으로 연구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다른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구가 전무하고, 연구자의 전문 영역 안에 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현재 연구의 한계점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화이트 컬러의 연구는 단순 색채의 한정된 영역에서 벗어나 실질적 연관관 계가 높은 인문학, 사회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관점이 능동적으로 융합된 연구가 기회영역이라고 사 료된다. 이를 통해 화이트 컬러의 본질적 가치가 한층 더 명료해지고, 소비자의 경험의 질이 향상되는 긍정 적 영향을 기대한다 Color is an integral part of the post-modern industrial design. White plays an important role since the desire for simplicity leads to present and future trend of design. The use of White into industrial design is expected to grow considerably as it has bee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like household appliances, automobiles, clothing, and interior design. He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stinctive White color is tremendously important for the product marketing. However, it could cost ridiculous amount of money and time, so it is essential to set a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long term trend researches would help setting the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By analyzing the long term trend researches, we can find current issues and set the research direction. In this study, I selected five areas of design and art based on the published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1980 to 2015. All 269 collected papers are categorized 3 times based on each attribute, then focused on analyzing overall trend research on White, primarily the trend in design, art, and related areas. In a study of trends over the last 35 years in general, Whit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engineering (89%),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LED and OLED associated with the light. These studies were intensive from the 1990s to the 2000s, but slowing down in 2010s.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in design and art as well, even though they are not many in number of studies, they made significant progres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rapidly increased in the 2000s, then slowing down a bit since 2010. The studies are mainly in fashion design area, researching on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contrast, in 2010s, the research of White in industrial design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into liberal arts, engineering, and other areas, which means that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of White. However, the studies are not integrated throughout the different areas; they are specialized on each areas of their study. Therefore, the research on White is now required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areas, like liberal arts, sociology, engineering, and etc.

      • KCI등재

        색채 인지 요인의 구조적 범주화 기초 접근 연구

        임태훈(Lim, Tai Hu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현 시대는 감성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시 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이며, 색채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특정한 색채를 선택하고 완성된 디자인의 색채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색채 선정에 대한 기준과 연계된 평가의 신뢰성이 높지 않으며, 이해당사자들의 공감과 설득을 얻기 힘들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시된 제품의 성공과 실패의 요인이 색채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검증도 불가능 하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진행된 색채 인지의 배경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조적으로 범주화 하는 것은 컨셉 구상 단계에서부터 제품 출시 후 제품에 대한 정량적인 고객평가까지 전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었던 색채 인지요인에 대한 내용을 다학제적 관점에서 종합적,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리처드 솔 워먼 (Richard Saul Wurman)의 LATCH 법을 기준으로 구조적인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카테고리(Category)와 위계(Hierarchy)에 의한 3가지 범주화 결과를 얻었다. 이 세 가지 범주화는 공통적으로는 국내외에서 특정한 제품, 공간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대상을 선정하거나 출시할 디자인들의 색채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이나 통제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도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인지 요소의 상태에 따른 범주화로써 고정적 요인과 가변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두 번째는 배경요인의 관점에 의한 범주화로써 주체(자아) 요인과 객체(대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에 적합하며, 세 번째 위계에 의한 범주화는 개인과 환경의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대상 선정, 디자인 리서치, 선호도 평가, 경쟁력 검증 등에서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써의 활용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목표로 한 대상에 최적화된 색채를 엄선하고 최종적으로는 훌륭한 사용자 경험이 창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current era is a post-modern era in which the importance of sensitivi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colo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However, the criterion for selecting a particular color and evaluating the color of the finished design is unclear. For this reas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linked with the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is not high enough and it is difficult to gain the empathy and persuasion from stakeholders.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conduct a specific and empirical verification as to wheth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aunched product through this process is due to color. Therefore, a structural categorization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ckground factors of color recognition which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abroad has values in all areas from concept development to quantitative customer evaluation of products after product launch.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olor recognition factors in Korea and abroad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structural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based on Richard Saul Wurman"s LATCH law. Through this, three categorization results by category and hierarchy were obtained. These three categorizations are commonly used as criteria or control factors when selecting a target user who will use specific products, spaces or services in Korea and abroad or evaluating the color preference of designs to be released. Also, while it can be us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s, the first is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cognitive elements and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chronic (fixed) factor and the synchronic (flexible) factor. The second is the categorization based on background factor and it is appropriate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 (self) factor and object (target) factor and the categorization by the third hierarchy is suitable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herent factors of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and the acquir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utilize it as a reliable standard in object selection, design research, preference evaluation, and competitiveness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lors that are optimized for the target are selected through this and ultimately a great user experience is created.

      • KCI등재

        협동로봇 디자인의 융복합적 특성 연구 - 조형요소를 중심으로 -

        임태훈(Lim, Tai H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전환되면서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도 협동로봇 시장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이것은 고객들의 요구가 세분화, 고도화됨에 따라 대량생산에서 유연한 맞춤 생산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 공장 외에 일반 식음료 매장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외관 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협동로봇의 조형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고 추세를 파악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전 세계적으로 출시된 수직 다관절 6축 구조를 가진 13개 모델로 한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협동 로봇의 구조를 분석하여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조형적 특성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유형을 통계처리 하여 전 세계적 추세와 국내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로봇의 디자인은 관절(Joint)과 연결부(Link)의 조형적 결합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둘째, 두 부위의 조형적 구성에 따라 “요소 구성형”, “관절 강조형”, “곡면 엣지형”, “자유 곡선형”로 분류할 수 있다. “요소 구성형”과 “관절 강조형”은 기계적이고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 “기계적 구조형”으로 범주화된다. 곡면 엣지형과 자유 곡선형은 하나의 완성된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한 “유기적 일체형”으로 범주화 된다. 셋째,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가장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관절 강조형”으로써 국내와 해외 모든 지역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경쟁력 높은 협동로봇 디자인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transition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llaborative robot market is newly forming in the industrial robot field. As customer demands are segmented, production has shifted from mass production to flexible custom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robots to food and beverage stores is expanding worldwide. For this reason, design has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ategori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obots and to identify global trends. The analysis target was limited to 13 models of vertical multi-joint 6-axis robots that were released worldwide. The key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collaborative robot. And based on this factor,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the collaborative robo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ative coupling of the joint and the link. Second, according to the formative composition of the two parts, four structural categorization results were obtained. The collaborative robot can be classified into component type, joint type, round edge type, and free curve type according to joint and link"s shape. Component types and joint types are categorized as structural types that express mechanical and structural beauty. The round edge type and the free curve type are categorized as an seamless type that expresses a completed formative beauty as a whole. Finally,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in global is the joint type, which has the highest share in all regions of Korea and abroad. I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collaborative robot design through this research.

      • KCI등재

        TRIZ를 활용한 냉장고 디자인의 융복합적 조형요소 해석

        임태훈(Lim, Tai H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최근 밀레니얼 세대가 제품구매의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하기 시작하면서 가전제품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대중적 트렌트를 참고하면서도 개인의 취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한다. 이로 인해 제조사는 핵심모델 중심의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양한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다품종 맞춤 생산”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특색이 강하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야하는 냉장고 디자인은 이러한 융복합적인 환경을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체계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문제 해결을 위해 참고할 디자인 방법론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명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TRIZ와 조형요소의 연관성을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해석하여 향 후 진행될 냉장고 디자인 개발에 근간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시점에서 가장 핵심적인 냉장고 플랫폼을 중심으로 6가지 조형 요소를 추출하고, TRIZ의 40가지 원리 중 연계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8가지 원리를 가설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원리들이 적용된 디자인 사례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처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장고 조형 요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8가지 원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분할”, “비대칭” 원리는 전면 도어의 비례, 구성과 연계성이 높았다. “과부족 조치”, “피드백” 원리는 홈바의 크기와 인터랙션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추출” 원리는 디스펜서의 주요 기능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합”과 “구형화” 원리는 핸들의 형태나 위치와 관계가 있었으며, “차원 바꾸기”원리는 캐비닛의 깊이와 연계성이 높았다. 향후 본 연구를 활용하여 냉장고 디자인이 보다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With the recent millennials starting to play an important role, the home appliance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For millennials, tast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Manufacturers are changing from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to “customized production of many kinds”. Therefore, a refrigerator design requires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is fusion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design methodologies to refer to for problem solv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logical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RIZ and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design. So,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frigerator designs. At this point, six formative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essential refrigerator platform, and eight principles that were judged to have high connection with the TRIZ principle were hypothetically selected. After that, design cases were discovered and verified. Finally derived eight principl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sign. As a result, the principle of “segmentation” and “asymmetry” showed high connection with proportion and composition. The “partial or excessive action” and “feedback” principl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home-bar and the interaction, and the “extracting” principle was correlated with the dispenser. The principles of “consolidation” and “spheroidality” were related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andle, and the principle of “transition into a new dimension” had high connection with the depth of the cabi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