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 중등과정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한국에 관한 인식 연구

        임소라(Lim, Sora),양수영(Yang, Suyoung),성규림(Sung, Gyurim)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3

        This study examines Brazil’s middle school curriculum textbooks to understand how Korea is perceived and identifies issues related to misinformation about Korea in the Brazilian public education system. Since the 2000s, as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increased, Korea’s image has become highly influential in Brazilian society, and this makes it essential to understand how Korea is represented in Brazilian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regard, the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Korea in 79 history and geography textbook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1. The references to Korea were categorized into five domains, which are politics, economics, society & culture, history, and environment & geography. As a result, the analysis revealed instances where Korea’s identity was misrepresented or historical data was inaccurately presented. Given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play a pivotal role in shaping adolescents’ identities and world views, it is crucial to address and correct these inaccuracies because they have the potential to embed negative perceptions about Korea in young learners. Furthermore, by rectifying these inaccuracies in textbooks, it is possible to enhance exact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Korea and foster more effective public diplomacy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특허문서 필드의 기능적 특성을 활용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

        임소라 ( Sora Lim ),권용진 ( Yongjin Kwo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최근 지식과 정보가 가치를 생산하는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지식재산권의 대표적인 형태인 특허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출원되는 특허의 양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방대한 양의 특허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특허문서를 그 발명의 기술적 주제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람의 손으로 이뤄지는 특허문서의 IPC 분류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마이닝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IPC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IPC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특허문서의 구조적 특징과 같은 특허문서 고유의 데이터 특성에 대한 고려보다는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특허문서로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C 자동분류를 위해 특허문서의 특징과 구조적 필드의 역할을 기반으로 특허문서 분류에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 필드,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필드의 활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특허문서가 동시에 다수의 IPC 분류코드를 가지는 점을 반영하여 다중 레이블 분류(multi-label classification) 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의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630개의 범주를 가지는 IPC 서브클래스 레벨까지 분류 가능한 수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등록된 564,793건의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특허문서의 구조적 필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제목, 요약, 청구항,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필드를 활용한 실험에서 87.2%의 싱글매치 정확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두 필드가 IPC 서브클래스 레벨까지의 다중 레이블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with the advent of knowledge based societ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make values, pat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form of intellectual property have become important, and the number of the patents follows growing trends. Thus, it needs to classify the patents depending on the technological topic of the invention appropriately in order to use a vast amount of the patent information effectively.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s widely used for this situation. Researches about IPC automatic classific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current IPC classification task which categorizes patent documents by han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applying various existing machine learning methods to the patent documents rather than consid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or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wo structural field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considered as having impacts on the patent classification, where the two field are selected by apply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ent documents and the role of the structural fields. We also construct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to reflect what a patent document could have multiple IPCs. Furthermore,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patent documents at the IPC subclass level comprised of 630 categories so that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into the real field. The effect of structural fields of patent documents are examined using 564,793 registered patents in Korea, and 87.2% precision is obtained in the case of using title, abstract, claim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From this sequence, we verify that the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recision of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in IPC subclass level.

      • KCI등재
      • KCI등재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

        임소라 ( Lim Sora ),양수영 ( Yang Suyoung ),성규림 ( Sung Gyurim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본 연구는 브라질 공교육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올바르게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한국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에서 2021년 사이에 발간된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의 역사·지리 교과서 45권을 대상으로 정량적·내용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환경 및 지리의 다섯 가지 주요 분야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중 특히 역사 및 사회·문화 분야에서 한국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러한 정보의 오류는 청소년기에 학습되어 성인기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한국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의 왜곡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교과서 속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것은 단순한 교육적 필요를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브라질 사회는 한류 열풍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 대한 관심과 호감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정확하게 교정하는 작업은 단순히 오류를 수정하는 것을 넘어서 한국과 브라질 간의 양자 관계를 강화하고 한국의 글로벌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한국과 브라질 양국의 문화적 이해와 상호 작용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bout Korea presented in Brazilian high school textbooks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research specifically aims to identify and address inaccuracies in references to Korea in these textbooks and suggests areas for improvement. A thorough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45 volumes of history and geography textbooks from the Brazilian high school curriculum, published between 2015 and 2021. The study organizes the content into five categories: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History’, and ‘Environment and Geography’. It was observed that the sections on history and society and culture contained numerous inaccuracies about Korea. Given the long-lasting impact of adolescent learning on adult perceptions, these inaccuracies in textbooks could lead to distorted views of Korea. Furthermore,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Hallyu wave in Brazil since the 2000s, rectifying these inaccur- acies in textbooks is seen as an essential step in enhancing Korea's image and further developing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Brazil.

      • KCI등재

        EU-영국 사이의 무역과 협력에 관한 협정이 EU 회원국인 포르투갈의 이민법에 주는 영향

        김봉철(Bongchul Kim),임소라(Sora L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1

        EU와 영국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는 협정이 발효되면서 브렉시트가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서 이민제도 분야에서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새로운 기준들이 출현할 것이다. 포르투갈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적극적인 이민제도를 통하여 외국인의 투자 유치를 도모하기도 하였다. 동시에 포르투갈은 EU 회원국으로서 EU의 정책에 부합해야 하므로, 유럽시민권 개념과 자유로운 이동의 보장에 관한 EU 기준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앞으로도 꾸준히 논의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영국의 EU 탈퇴인 브렉시트 상황이 포르투갈 이민제도와 이민법에 주는 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포르투갈과 영국은 이미 오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포르투갈에는 많은 수의 영국인들이 투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포르투갈 이민제도는 브렉시트에 영향을 받는 EU 정책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동시에, 영국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포르투갈 내부적인 정책 협의와 갈등 조정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물론 COVID-19와 같은 다른 변수에도 융통성 있게 적응해야 한다. 포르투갈의 경험과 상황들은, 다문화 사회로 향하는 한국의 이민법 분야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보다 적극적이면서도 외부의 변화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려는 포르투갈의 이민법과 정책운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rtugal has responded to social demands and promoted foreign investment through an active immigration system. It has also successfully responded to changes in EU standards regarding the concept of European citizenship and guaranteeing free movement. These issue should be discussed steadily in the future and irrational issues should be improved.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Brexit situation on the Portuguese immigration system and immigration law. Portugal and Britain already have a long ties and a large number of British citizens live in Portugal with investments. With an agreement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EU and the UK, Brexit became a reality. In the field of immigration system, new standards will emerge in the long run. As a member of the EU, the Portuguese immigration system is also bound to change as it adapts to the actual Brexit situation.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EU policy, Portugal"s internal policy consultation and conflict adjustment will be necessary. Portugal"s experiences in the immigration system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s immigration system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Portugal"s immigration law, which is more active and flexible to adapt to external changes. The changes in Portugal"s immigration system in response to Brexit, which has become a reality in the future, should be observed and analyzed.

      • KCI등재

        포르투갈어 동사 활용 학습: 동사 활용표의 대안 모색을 위한 사례 연구

        마리아루이자쿠냐리마 ( Maria Luiza Cunha Lima ),임소라 ( Sora Lim ),성효정 ( Hyo Jeong S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동사 활용표는 외국어로서의 포르투갈어 교수·학습에 있어 기본적인 필수 요소이다. 포르투갈어 동사의 다양한 활용 형태로 인해 학습자들은 포르투갈어 습득 기간의 대부분을 동사 변형을 암기하는 데 집중한다. 본고에서는 포르투갈어 교수·학습을 위해 주로 어떤 방법론이 사용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대표적인 외국어로서의 포르투갈어 교수·학습 교과서 문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사 활용표가 외국어로서의 포르투갈어 교수·학습 교과서 전체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국어 학습자들은 학습과제와 과정에 따라 정보를 탐구하고 내재화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포르투갈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폴리코릭 요인 테스트를 통해 응답을 분석한 후 서수 로지스틱 회귀를 통해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들이 동사 활용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학습전략을 함께 시도할 경우 학습과제를 덜 어렵게 느낄 뿐만 아니라 단순한 동사 활용 학습은 소모적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재의 포르투갈어 문법 교수·학습은 전통적인 동사 활용표의 제시를 넘어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Conjugation tables are a basic staple in teaching Portuguese as a foreign language. Due to the rich verbal morphology, students spend a considerable time of their acquisition period concentrating in memorizing all verb inflections. In this paper we examine first a representative sample of Portuguese as second language textbooks, to explore what methods are used to teach the subject. Results show that conjugation tables are the only way conjugation is introduced in the totality of the textbooks. In the second part, we turn to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ubject matter and in their processes to study and internalize the information. For that, we conducted a survey and analyzed the responses through polychoric and factorial tests and finally through ordinal linea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students use conjugation tables constantly, but the ones that try different strategies perceive the subject as les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We propose that there is an important gap to be filled in the teaching of grammar and it is past time to develop more methods beyond the traditional conjugation t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