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에 대한 장애아동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진숙 ( Jin Sook Lee ),이현래 ( Hyun Rae Lee ),이옥등 ( Ok Deung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연령인 만 5세 이상 초등학교 입학 전 장애아동의 학부모 95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입학에 관한 사항, 학부모의 어려움, 초등학교 입학에 필요한 정책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인식조사지를 제작하여 서울, 대전, 경기, 충남, 충북, 경남, 제주지역의 장애아동 학부모 100명에게 배부하고, 회수된 9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입학에 관한 사항으로는 응답자 자녀의 82.1%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문제행동을 갖고 있으며, 응답자의 93.7%가 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녀를 입학시킬 기관으로는 응답자의 59.0%가 일반학급보다는 특수학교나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을 선택하였으며, 23.2%는 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아동 학부모의 어려움에 관한 사항으로는 학부모의 96.8%가 학교 선정, 자녀의 취학유예 등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입학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 증상을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자녀의 입학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매우 많은 반면, 입학준비를 하면서 긍정적인 경험으로 자녀의 발달에 대한 희망을 갖기도 한다. 셋째, 장애아동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기관에 바라는 점이나 필요한 정책에 대한 의견으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관심과 배려, 장애아동을 위한 환경 조성, 전문 인력의 확보, 방과 후 학습지도, 정보 지원, 치료교육 지원, 올바른 장애인식 교육, 장애용품 지원, 일반교사 연수 등을 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입학 전 장애아동 학부모에게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bout some matters, difficulties and polic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over 5 years old about the entrance to an elementary school, examining by 95 of their parents. For this, there are some questionnaires and distributions given to 100 parents in Seoul , Deajeon, Kyunggi, Chungnam, Chungbuk. kyungbuk and Jeju , then we analyzed the results as collected by 95 of them. First, the matters of their children`s entrance were that more than 82.1% of parents have had more than 2 problem behaviors of their children, 93.7% of parents have experienced the economical difficulties due to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About some institutions for their children were 59% of respondents chosen to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or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rather than entering the general class. 23.2% have not chosen to any school yet. Second, the difficulties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that 96.8% of parents have worried the problems of selecting the school and delaying the time to enter the school. They also have experienced a variety of stresses because of their children`s entrance to the school. Even though they have a lot of concerns and anxieties about their children`s entrance to a school, they are still having an expectation about their children`s better development as preparing for the entrance to the school. Third, the opinions for policies about what their parents want for the teachers and institutions were that they would like to receive th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from the homeroom teacher, a good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tension of the number of the professional staffs, academic classes after school, information supports, therapy education, positive education for disabilities, equipments for disabled support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making some possible way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adapt to the school before entering the school.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이상희 ( Sang Hee Lee ),고영림 ( Young Lim Ko ),이현래 ( Hyun Rae Lee ),정태인 ( Tae In 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지역 다문화가정 유·아동의 언어구사 실태 조사를 위하여 결혼 이주 다문화가정의 여성 99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언어구사 실태, 양육에 필요한 지원 정책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수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모르겠다." 23.3%로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본 연구에 응답한 대상자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초어를 시작하고 말을 모방하는 시기인 "l~2세"의 유아가 52.3%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자녀와 의사소통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한국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자녀의 엄마나라 말 구사능력과 응답자 민족별 분포와의 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p<.001)하였으며, 베트남 가정과 필리핀 가정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필리핀 가정 자녀들이 엄마나라 말을 더 잘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셋째, 자녀의 주 의사소통 대상은 어머니이며, 자녀에게 책 읽어주는 가정 내 분위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결과는 자주 읽어주지 못한다 66.3%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구성원이 자녀에게 엄마나라 말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연구 결과는 반대 없다가 68.6%로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자녀의 한국어 구사능력 테스트 희망여부에 관한 연구 결과는 필요 없다 52.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가족구성원의 인식은 있지만, 외부에 다문화 가정을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제주지역의 보수적인 경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제주지역 다문화가정의 양육에 필요한 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결과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의견 제시에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languag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 policies required for child-rearing through 99 migrant wom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 of language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Jeju region. The main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hen ask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Jeju,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unsure" at 23.3%. This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children of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52.3%) were 1 to 2 years old, which is when children begin to imitate and learn language. Second, Korean was the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by the respondents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bility to use their mother`s language and respondent nationality showed that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mpared to children of Vietnamese families, children of Filipino families were more skilled at speaking their mothers` language. This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which claimed that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is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Third, children`s main communication target was the mother. When asked about reading books to children, 66.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read often with their children. 68.6% of responses indicated that family members did not oppose children learning their mother`s language and when asked about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tests for the children, 52.3% responded that they are not necessary. These results may be interpreted as a conservative attitude held in the Jeju region where family memb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hesitant to be open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most respondents were reluctant to suggest support policies required for child-rearing. Future studies should review this from a variety of ang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