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Metal-Organic Framework의 수소 흡착 메커니즘의 이해

        이태범(Lee, Tae-Bum),김대진(Kim, Dae-Jin),윤지혜(Yoon, Ji-Hye),최상범(Choi, Sang-Beom),김자헌(Kim, Ja-Heon),최승훈(Choi, Seung-H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11

        Hydrogen adsorption mechanism onto the porous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has been studied by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 The selected functionals for the predict ion of interact ion energies between hydrogen and potential adsorption sites of MOF was utilized after the evaluation with the various functionals for interaction energy of H₂C<sub>6</sub>H<sub>6</sub> model system the adsorption energy of hydrogen molecule into MOF was investiga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favorable adsorption sites and the orientations. We also calculated the second favorable adsorption sites by geometry optimization using every combination of two first absorbed hydrogen molecules. Based on the calculation of first and second adsorption sites and energies, the hydrogen adsorption into MOF follows a cooperative mechanism in which the initial metal sites initiate the propagation of the hydrogen adsorption on the whole framewor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strength between the simple benzene ring with hydrogen is significantly reinforced when the benzene ring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framework of MOFs.

      • KCI등재

        기준신호원을 이용한 배열센서의 위치, 이득, 위상 보정기법

        유성기(Seong Ki Yoo),이태범(Tae Beom Lee),신기영(Ki Young Shin)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9

        기하학적 오차와 전기적 오차는 배열센서 시스템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보정 기술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배열센서의 위치오차, 이득오차, 위상오차를 보상하는 두 가지 기술을 비교하였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은 1차 테일러급수 전개를 통해 배열센서의 명목상 값으로부터 실제 조향 벡터를 예측한 후 MUSIC 알고리즘의 null 특성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몇 가지 식을 이용하여 센서의 실제 위치, 이득, 위상을 추정한다.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은 기준신호원의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이러한 오차들을 예측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가지 보정기술 모두 성공적으로 오차를 보정하였고, 10dB∼50dB SNR 범위에서 Fistas and Manikas의 알고리즘이 Ng and Lie의 알고리즘 보다 노이즈에 더 강건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The geometrical and electrical errors of array sensors can severely degrade the performance of array sensor system. Various calibration techniques are developed to alleviate this problem. In this paper, two different calibration methods with respect to location, gain and phase of array sensors are presented. One method applies the first-order Taylor series expansion to approximate the true steering vector from the nominal values of array sensors. Then a set of equations is formed by using the nul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pectrum to estimate errors of location, gain and phase of array sensors. Another method estimates these errors based on the data covariance matrix of pilot sources. From the simulations, it is demonstrated that two calibration algorithms calibrated an array system successfully. In addition to that, Fistas and Manikas’s algorithm is more robust against noise than Ng and Lie’s one when SNR is from 10dB to 50dB.

      • KCI등재후보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홍삼 농축액의 기능성 성분 변화 및 이를 이용한 신선치즈 제조

        박종혁 ( Jong Hyuk Park ),문혜정 ( Hye Jung Moon ),오전희 ( Jeon Hui Oh ),이주희 ( Joo Hee Lee ),정후길 ( Hoo Kil Jung ),최경민 ( Kyung Min Choi ),차정단 ( Jeong Dan Cha ),임지예 ( Ji Ye Lim ),한수범 ( Su Beom Han ),이태범 ( Tae B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1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변화 및 폴리페놀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발효유제품 중 신선치즈를 선정하여 홍삼 발효물의 기능성 소재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홍삼농축액3% 처리구에 L. acidophilus 유산균주를1.0×108 CFU/mL로 첨가하여 40℃에서 24시간 발효한 경우 유산균 수는 발효 0시간째 3.5×108 CFU/mL에서 발효 16시간째 3.8×108 CFU/mL로 증가하였다가 그 후 감소하여 발효 24 시간째에는 2.2×108 CFU/mL로 측정되었다. Ginsenoside 전환 양상은 고분자 물질로는 Rb1, Rb2, Rc, Rd, Re, Rf, Rg1이 검출되었고, 저분자 물질로는 Rg3(20S), Rg3(20R), Rh2 (20S), Rh1 (20R), Rh2(20S), Rh2(20R), F1, Compound K, Protopanaxadiol(20S), Protopanaxadiol(20R)이 검출되었다. 고분자 물질이 감소함에 따라 저분자 물질인 Rg3(20S) 및 Rg3(20R), protopanaxadiol(20R), F1, Compound K 등이 증가하였다. 홍삼 발효물의 총 페놀 화합물의 변화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16% ACN 분획물에서 발효시간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홍삼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신선치즈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홍삼 발효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pH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고, 산도 및 유산균수는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홍삼 발효물 1% 처리구가 대조구와 유사한 평가를 얻었으며, 이때의 사포닌 함량은 14.8 mg%, 총 페놀함량은 3.7 mg%이었다. 따라서 향후 동물모델을 통한 추가적인 효능검증이 이뤄진다면 홍삼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 강화 고부가가치 신선치즈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insenosides and polyphenols in red ginseng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to manufacture fresh cheese usin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Red ginseng extract (3%, w/v) was fermented by L. acidophilus for 24 h. On performing lactic acid bacteria counts, we determined that L. acidophilus reached its maximum growth phase after 16 h; this was followed by decrease in growth. During fermentation, the levels of ginsenosides Rg3 (20S) and Rg3 (20R) as well as protopanaxadiol (20R), F1, and compound K increased, while those of s Rb2, Rd, Rf, and Rg1 decreased.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in fresh cheese prepared usin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pH decreased over time, while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duration of the storage period. Sensory tests showed that the overall sensory properties of fresh cheese prepared using 1%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L. acidophilus-fermented red ginseng has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new bioactive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