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루디 오티오의 작품특성과 활동에 관한 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12 한국도자학연구 Vol.9 No.2

        This studyfocuses on both the formative backgroun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that hadanimpactontheceramicartist,RudyAutio'scharacteristicsofworkandcreativework. Abstractexpressionism ceramiccanbeconsideredasanapproachtomaterialpropertyofclay andthevalueofitsmaterialthatcan'tbedisregardedinthepotteryandalsoachangetoa new idea (notdistinctstylistic feature).Changes in perception ofclay and materialproperty induces amusementand impromptu thatcan be experienced in the creating processinto the workcourse.Although the U.S.had remained on the borderarea ofceramicin world history fora long time,itwasinfluenced byRudyAutio'sformative activitiesuntilitcan grow into a central country of modern pottery along with the expansion and spread of abstract expressionism pottery. Itwas found thathis works are results ofachievementin the experimentalprocess forthe drawingsandmaterialsthathehadaccumulatedforalongtime.Hiswhereaboutsandattitudes towardcreativeactivityareregardedasexamplesshowingtheblindspotsinthemanufacturing process and representation in which his research process ofclay and plasticity was omitted priortolookingfordifferencesbetween'functioningandnon-functioning'inthefieldofpottery.

      • KCI등재

        독일유형의 의회제도 수용과 변법운동시기 강유위의 양원제 의회설립 구상 - 독일하원과 프로이센 상원의 수용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이춘복 한국사학사학회 2019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0

        In this paper, Modern China’s process of accepting German and Prussian model, which my previous study lacked, was first examined, and traced the process involving the transition of Imperial Germany’s Bundesrat(upper house) to Prussian Upper house, which equate upper house to the government, through the translation by Xu Jianyin(徐建寅)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German and Prussian model. Based on this, on how Xu Jianyin’s translation was applied in the design of parliamentary system that appears in Gongche shangshu and the Fourth Memorial. Especially, ①German lower house system and Yilang(議郞) system of Gongche shangshu(公車上書), ② the relation between Prussia’s upper house system before 1853 and Piguanguwen(闢館顧問) from the Fourth Memorial were focused on. Even though Kang didn’t mention the legislative authority of upper house from Gongche shangshu to the Fourth Memorial, considering that ①lower house(kaimen jiyi) is to be elected through civil election, ②popularly elected MPs were admitted the engagement of the composition of upper house (Prussian Constitution in 1850) ③he planned the establishment of upper house based permanent committee, ④lower house is to participate in voting of matters like budget bills in plenary session, it seems evident that that Kang Youwei referred to Prussia’s bicameral parliamentary system. Also, when compared to the fact that Prussia developed more into centralized authoritarian and bureaucratic upper house, Kang Youwei’s ideas from the Fourth Memorial like participation of popularly elected MPs in upper house and shuren’s right to submit memorial are rather more democratic and even progressive. 본고에서는 기존연구에서 미진했던 변법운동기 이전 중국의 독일과 프로이 센 의회제도 수용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그 수용과정에서 徐建寅의 번역에 의 해 독일제국 연방참의원(즉 상원)이 상원을 정부와 동일시하는 프로이센식 上 院제도로 탈바꿈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徐建寅의 번역이 강 유위의 의회제도 구상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①독일의 下 院제도와 「公車上書」의 議郞制 ②1853년 이전 프로이센의 上院제도와 「제4차 상서」의 闢館顧問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公車上書」에서 「제4차상서」에 이르기까지, 강유위는 비록 上院의 입법권 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①공민의 선거를 거쳐 下院(민선 議郞制와 開門集 議)이 선출되는 점, ②上院의 구성에 民選 의원의 참여를 인정하는 점(1850년 프로이센 헌법), ③下院(「公車上書」)과 上院(「제4차상서」)의 상임위원회를 설 치를 구상하고 있는 점, ④下院이 ‘大政’ 혹은 ‘모든 정사(凡有政事) 및 예산안 (‘籌餉’) 등 本會議 의결에 참여하는 점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고려해보면, 강유위의가 독일형 下院과 프로이센형 상원제를 결합한 양원제 의회를 참고했음이 분명해 보인다. 또한, 프로이센이 1853년 이후 중앙집권적 관료형 上院으 로 발전한 것에 비한다면, 「제4차상서」에서 강유위가 제기한 민선의원 上院 참 여 및 일반 庶民의 상서권 향유 등의 구상은 오히려 보다 민주적이고 진보적이기까지 하다.

      • KCI등재

        윌리엄 데일리(William Daley)의 건축도자 특징과 전개과정 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1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analyze factors influenced at each stages and new attempts appeared in the process by dividing time periodic stages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architectural ceramic artist, William Daley who has expressed with a form of multitier architecture. Without revealing wall while inner and outer form can influence on each others to establish boundary naturally and in order for interior and exterior to be grasped three-dimensionally at first sight, planned work processes have established based on drawings. Through this process, effects to expand spatial expression region can be expanded by developing a vessel which is critical to put random objects on. While separated into expression method of other region, methods to utilize inner and outer space as an advantage of clay have caused by material restriction that only form molded with thin surface of wall can stand against high temperature during plastic process. However, trial utilizing structure of such wall surface which is a restriction of clay molding for plasticity allows potters to express inescapable structure that inner and outer space exchange mutual influence no matter what potter has intended, and it also allows molding of dual structure of wall surface. William Daley, furthermore, works on his own style molding works by designing vertical direction multi-level molding method and concept of X,Y,Z axis for expression expansion toward horizontal direction. He has introduced arrangement considering both opened inner and outer space at a same time, combination of multi-level structure, and cruciform inner structure. He has utilized architectural image at molding process by using detail drawing drawn before a process of molding and using step-up structure, arch, pipe, and pillar structure at various locations. Latterly, he has expressed expanded spac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religions of various cultures, and form of vessels.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도예가 윌리엄 데일리가 현재와 같이 다층 구조 방식으로 건축적이미지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기까지의 과정과 특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 과정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과 그 과정에서 보여 지는 새로운 시도에 주목하고 있다. 1950년대경제적 호황기 동부지역의 회화에서부터 발현하였던 추상표현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아새로운 시도를 했던 도예가들이 있었다. 이들과는 달리 데일리는 기능의 가치를 인정함과동시에 작업 과정의 결과로 얻게 되는 기물 내·외부와 그 경계를 나누는 얇은 벽을 새로운 표현의 요소로 끌어들이며 자신만의 표현요소를 통해 건축적 공간을 구조적으로 해석하여 도자예술의 표현 영역을 확장하였다. 다층구조 방식의 성형법 사용, 모듈화된 작업과정, 건축적 요소의 도입, 수평방향의 표현 확장을 위한 X,Y,Z 축개념의 적용 등으로 대표되는 그의 작업과정과 작품의 특징적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자예술가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미술의 빠른 변화과정에 적응하거나 독자적인 개별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였는데 윌리엄 데일리는 표현의 대상으로서의 점토의 물성과태생적 가치인 기능을 지속적으로 작업과정에 포함시키고 있다. 자신의 장점인 세심한 드로잉 능력을 입체화 과정에 활용하거나 효율을 우선시하는 산업에서 사용하던 결합 방식을 성형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부터 작업 과정의 속도감이 높아졌고 최종 결과물이 구조적인 동시에 역동적이게 보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문화권의 종교와 기물형태의 이해를 바탕으로 확장된 공간을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그의 개인적 경험과 작업의 배경을 이해 할 수 있는 여러 자료들을 동시에 참고하여현재와 같이 그의 작업이 정립되기까지의 이면의 원인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말 중국 근대 ‘民族’ 개념 담론 연구 * -문화적 ‘民族’ 개념과 정치적 ‘國民’ 개념을 중심으로

        이춘복 한국중앙사학회 2009 중앙사론 Vol.29 No.-

        This essay focused on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Nation' in late Qing of China through synthetic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cultural 'ethnic' and political 'nation', or relationship of state. The late Qing era of China considered on the research was traditional World-system of China collapsing from the impac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period that nation-state concept of modern switched was needed. And the conceptions of meeting the trend of the day swiftly flew from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as the late Qing's intellectuals used together with and in conjunction with the terms and definitions, such as 'race,' 'people,' 'nation,' 'ethnic,' 'state,' 'rights,' and 'sovereignty,' had even not current researchers as well as Chinese at that time convey the definite meaning of the new ter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essay uses the conceptual analytical frame which is called a concept of cultural 'ethnic' and political 'nation', then tried to approach about accommodating process of the concept of cultural 'ethnic' political 'nation', and the late Qing intellectuals's recognition on 'nation' and 'people', and late Qing Chinese's various discourses which besieged the cultural 'ethnic' with the perspective of a conceptional history. As result of this research, even though the concept of 'Clan class(族類)' frequently mentioned in traditional period of China is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ethnic,' after modern period, I could find that the concept like 'nation-state' including cultural 'ethnic' and political 'nation' did not exist at that time. In addition, I confirmed that Chinese from time to time used mixed terms on 'ethnic' and 'people' or 'ethnic' of cultural 'ethnic' was used by 'people of clan' and 'ethnic' in accommodating process of the concept. But they distinguished cultural 'ethnic' from political 'nation' and introduced them as well. Furthermore, Chinese intellectuals defined as different the concept of cultural 'ethnic' and political 'nation' after 1903 and the late Qing intellectuals on the concept of cultural 'ethnic' presented the cultural factors; ancestry, pedigree, language, religion, custom, practice, and history. On contrary they on the concept of political 'nation' mentioned the concepts like 'territory,' 'sovereignty,' 'state,' and 'right'. Finally, I focused on revolutional group and reformative group during the period of XINHAI(辛亥) Revolution and analyzed the perspective of both groups on modern 'nation,' 'state,' and 'people.

      • KCI등재후보

        니노 카루소(Nino Caruso)의 건축 도자 전개 과정 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pays attentions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works by Nino Caruso (1928- ), a architecture ceramist in Italia and historical situation dramatically changed after war, which had an effect on the process, specific 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terranean coast, and modifications of works due to thei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ny kinds of contemporaneous art movement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talia was dominated by the fascism dictatorship of Mussolini who wanted to demonstrate that his regime is in line with the old Roman Empire, under which artists were exploited and controlled by his power. After Italia lost the war, it eliminated remnants of dictatorship for a long time and actively conducted preparation for the Roma Olympic and reconstruction project after the war, and various expression desires were socially erupted. In Europe, the writers belonging to the Art Informel line which emphasized atypical subjective expressions, and which was in line with the Abstract Expressionism prevailed in economic booming after the war in America, began to actively be involved in art activities. Opening his studio in Rome, Caru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y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them, and strived to introduce individual experiences and various cultural heritages in the Mediterranean coast into work process. As he devoted creative ideas into realization of artistic potential using divers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a new material which was unfamiliar in the ceramic filed was actively accommodated into and us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therefore, innovative change appears in his works. As his flexible experimental attitude was positively applied to the reconstruction project after the war, the previous ceramic materials which had been limited to a part of ornament can be expressed even in an expanded space. Caruso reclaimed his independent sector in the historical situation where the ceramic was likely to be regarded as an old-fashioned material, with his flexible attitude for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regarding a new one, which may be a good case of finding a potential as not only the ceramic as an ornamental material practically applied to public facilities and architectures but also the equal cooperation through which artistic value may be enhanced. 본 연구는 이탈리아의 건축도예가 니노 카루소(Nino Caruso, 1928- )의 작품 전개 과정과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전후(戰後)의 급변하던 시대적 상황, 지중해 연안의 특이한 지역적 특성, 동시대의 여러 예술운동과 같은 주변 환경요인들에 의한 작품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세계 2차 대전 당시 이탈리아는 무솔리니의 파시즘 독재 정권 아래에 있었으며, 자신의 정권이 고대 로마제국의 연장선에 있음을 알리려는 무솔리니의 통치 아래 예술가들은 권력에 이용당하고 통제되는 상황이었다. 패전 후 이탈리아는 오랜 기간 독재정권의 잔재를 지우고 로마올림픽 개최준비와 전후 재건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으며,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표현욕구가 분출되던 시기였다. 미국의 전후 경제적 호황기에 맞물려 유행하였던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와 상응하여 유럽에서는 비정형의 주관적 표현을 중요하게 여기는 앵포르멜(Art Informel) 계열의 작가들이 왕성하게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로마에서 자신의 스튜디오를 열면서 카루소는 그들과 활발한 교류를 하면서 오히려 재료와 물성(material)의 중요함을 인지하게 되었고, 그가 태어나고 자란 지중해 연안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개인적 체험들을 적극적으로 작업 과정에 끌어 들이려 노력하게 된다. 다양한 재료의 물성과 이를 활용한 예술적 가능성의 실현에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쏟아 붓기 시작하면서 당시에는 도자(陶磁)분야에서 낯설었던 새로운 재료를 적극적으로 제작과정에 수용하여 활용함으로서 그의 작품에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의 유연한 실험적 태도는 당시의 전후 재건사업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면서 건축에서 장식의 한 부분에만 한정 되었던 기존의 도자재료에서 확장된 공간으로의 영역까지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카루소는 재료와 물성(material)을 대하는 그의 유연한 자세와 새로움에 대한 지적호기심으로 도자가 진부한 재료로 취급되기 쉬웠던 당시의 시대 상황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하였으며, 공공시설과 건축에 실재 적용될 수 있는 장식적 소재로서의 도자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동등한 협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개척한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용융 알루미나를 활용한 백자 페이퍼 소지 개발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orcelain using the fibers that’s been attempted so far in order to solve cracks and transformation that’d been frequently occurred in the white porcelain moulding process and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drying process and further develop the stabilized white porcelain paper sludge in the secondary-coat firing process. The White Fused Aluminum Oxide used in other fields as a primary reinforcing agent for mixing powder alumina (Al²O³) and as a reinforcing agent for manufacturing large objects were compared by interpreting the high-powere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direc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bservation of the visible appearance changes by the rate of addition and structural section changes and giving an explanation with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particle unit. The pores made when fibered additives including papers used in the pre-forming stage are not regularly round but rather very irregular in terms of length and width. To identify the ideal mixing ratio, various additives were mixed at a different rate to make a sample and after secondary-coat firing, external changes were measured in terms of shrinkage factor and warping angle. Not only visible changes but also in which manner the structure is reinforced by powder alumina and fused alumina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fine particle by using the SEM are observed to analyze the components contained within the range.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fused alumina was more appropriate than powder alumina as a reinforcing agent for the porous structure created when the fibers required in the process of making white porcelain paper sludge were lost in the firing process. Also, anoth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iring time and increasing temperature in order to remove the deposition of carbon layer and the cause of its occurrence on the edge frequently occurred in the firing process of the works using white porcelain and an ideal rising temperature was presented per unit time. The role of fused alumina as a reinforcing agent could be understood structurally through the components experiment using a high-powered equipment and the white porcelain paper sludge made in an experiment was actually applied to the formative work to find out its usefulness. 본 연구는 대형 백자 조형작업의 성형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균열, 변형과 습도차이에 의한 장시간 연속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소지 보강 실험들을 진행하였 다. 하지만 오히려 보강제 첨가로 인해 소성과정에서의 구조적 취약함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실험이 추가 되었다. 연구과정은 소성과정에서 보강재로 사용된 첨가물의 다공구조를 보완하고 성형력을 높이는 동시에 백자 고유의 투광도를 유지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지난 수년간 본 연구자가 페이퍼 소지를 사용한 백자 조형작업을 진행해 오며 체득한 재료별 혼합 비율을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을 통해 단면을 구체적으로살펴보았으며 1차 보강제로서 분말 상태의 알루미나(Al²O³) 혼합하였다. 대형 기물제작을 위한 보강제로서 타 분야에 사용되던 용융 알루미나(White Fused Aluminum Oxide)를 추가 적용하여각각의 첨가 비율에 따른 외형 변화와 단면구조변화를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해 얻은고배율 단면 정보를 해석하여 입자 단위의 구조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성형단계에서 사용 되는 종이를 포함한 섬유질의 첨가물이 소성과정에서 소실되며 발생한 기공은 규칙적인 원형의모습이 아니라 길이와 폭이 매우 불규칙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백자 소지에 첨가된 섬유질은 성형, 건조 단계에서장점으로 작용하였으나 재벌소성 과정에서는 오히려 단면에 다공구조를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첨가물의 이상적인 혼합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비율로 혼합한후 시편을 만들었고 재벌 소성 후 외형변화를 수축률과 휨 각도로 구분지어 측정하였다. 가시적 변화의 관찰 뿐 아니라 주사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분말 알루미나와 용융 알루미나가 어떤 방식으로 구조를 보강하는지 관찰하고 조정된 소지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백자페이퍼 소지를 이용한 작품의 소성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가장자리의 탄소층의 침착과발생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상승 온도별 소성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한 실험을 병행하여 이상적인 단위 시간당 상승 온도를 알아보았다. 고배율의 장비를 이용한 성분 실험을 통해용융 알루미나의 보강제 역할을 구조적으로 이해 할 수 있었으며 실험에 따라 만들어진 백자소지를 조형작업에 적용해 보아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윌리엄 머레이의 작품과 배경 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19 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1

        Long-held traditional values and production process of potteries for practical use came to a dramatic shift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irst of all, in Britain where the machine industry was highly developed, the roles of skilled pottery makers became limited, a change that further accelerated after the first World War. A movement denying and challenging conservative codes of conduct, morals and living styles became prevalent throughout the society, after the long-held trends of Victorian lifestyle. An experimental and confusing challenge that sprouted from such a background attempted to mirror a new spirit of the times,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pottery making. During this era, there was an artist who viewed pottery making as an act of art consisting of separate expressions and not something limited to utility and original values,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artists of various genres. William Murray started to apply the new attempts of modernistic sculpture and painting to his working process. He also applied an individual concept to works of pottery by himself, even before Bernard Leach came back from Japan and settled in Britain. The two lived the same era and formed competition with one another in many aspects. As the production process and output of pottery became recognized as individual objects of new creation just like the arts and not merely something belonging to routine daily tasks of skilled workers in mass-producing facilities, the roles of Murray and Leach were both important. However, the two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fining the nature of craft – whether it should aim for beauty based on its original objective of utility or it can be expanded to individual creation of the art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rough the work process and background of Murray’s time, who exhibited an experimental attitude by expanding the expressive range of pottery art. Also, based on this, it explains the reason why Murray’s viewpoint became the roots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 of modern British pottery. 사용 목적을 기반으로 한 도자의 오랜 전통적 가치와 제작과정은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극적인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가장 먼저 기계 산업이 원숙기에 접어든 영국에서 숙련된 도자 직공의 역할이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특히 1차 세계대전 후 가속되었다. 오랫동안 유행되었던 빅토리아 양식을 뒤로하고 보수적 행동규범이나 도덕, 생활양식에 도전하고 부정하는 움직임이 사회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배경으로 시작된 실험적이고 혼란스러운 도전은 도자제작과정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오던 전통적 기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고자하였다. 이 시기에 여러 장르의 예술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기(器)작업의 효용과 본래의 가치에서 벗어나 도자제작과정을 개별적 표현이 가능한 예술행위로까지 인식하는 작가가 있었다. 윌리엄 머레이(William Murray)는 버나드 리치(Bernard Leach)가 일본에서 돌아와 영국에 정착하기 이전부터 자생적으로 예술적 표현의 대상으로서 도자작품에 개별성을 부과하고 모더니즘 조각과 회화의 새로운 시도를 그의 작업 과정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동시대를 살았던 그들은 여러 요소에서 경쟁관계에 있었다. 대량 생산시설에서 숙련된 직공들의 반복된 일과였던 도자기의 생산과정과 결과물이 예술 작품과 같이 새로운 창작의 개별적 대상으로 인정받는 과정에서 머레이와 리치의 역할이 각각 중요했다. 하지만 그들의 주장에는 공예가 태생적 목적이었던 쓰임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움 추구인지, 예술적 개별창작의 대상으로 까지 확장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했다. 도자예술의 표현 범위를 넓게 확장하여 실험적 태도를 보여준 머레이의 작업 전개과정과 시대적 배경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 현대도예의 특징적 현상인 실용성을 기본으로 한 예술적 가치 추구라는 의식의 뿌리가 된 원인을 전후 시대상의 변화와 그에 대한 작가의 상응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존 메이슨 도자조형의 특징과 변이과정연구

        이춘복 한국도자학회 2020 한국도자학연구 Vol.17 No.2

        Even modern ceramic arts are failing to digress very far from the dependence on material properties caused by attributes of materials, while trying to be free from function, due to the expanded scopes and objects of expression. As pragmatic function began to be gradually denied by those, who received art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of the 1950s, clay was recognized as an expressive medium and means. Especially, ceramic art works of John Mason were a constant test of dramatic shifts in awareness of the way of handling material properties and of their attributes. His early works displayed untouched traces of pressures and motions of hands and tools created during the forming process, based on extreme plasticity of clay, and went though an experimental transition. Then starting the time when he began to be influenced by minimalism after the mid 60s, his point of view obviously changed to simpleness and conciseness, which went through a restrained and strict control process. In the early stage of his career, he acquired atypical results using clay, as a medium for free and impromptu expressions shown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bstract expressions, but his works turned into forms with vertical structures, installations using ready-made fireproof bricks and geometric forms emphasizing thingness using commercial glaze. He simplifies structures for forming and makes thingness of ceramics stand out for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materials by using clear monochromatic glaze, based on his accumulated experience. He tried not to expose his emotions and intentions to express by appropriately controling variables of forming and plasticity processes ike transformation, shrinkage and unexpected changes through experiments. He developed his own formative language, based on deep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materials and material properties. Inherent concepts and content of crafts rely on the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Craft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produced by hand and resonate the cultures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which they are produced. 기능의 목적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표현범위와 대상의 확대를 시도하는 많은 현대 도예 작가들조차도 점토 본연의 물성을 간과하기란 쉽지 않다. 1950년대 접어들며 미국 서부의 미술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이들에 의해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이 점차 부정되기 시작하였다. 그들에 의해 점토는 표현의 매체이자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현대 도예의 태동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이들 가운데 존 메이슨의 도자 조형 작업은 물성을 다루는 방법과 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극적인 변화를 끊임없이 실험한 독특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초기 작업에서는 점토의 가소성을 이용하여 손과 도구의 압력, 동작의 흔적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시도를 하게 된다. 점차 실험적 변이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1960년대 중반 이후 미니멀주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절제되고 엄격한 실험과정을 거치며 단순함과 간결함으로 대표할 수 있는 존 메이슨의 특징적 작업들을 활발하게 발표하게 된다. 초기에 추상표현의 수용과정에서 보여준 자유롭고 즉흥적인 작업 방식에서 미니멀주의 작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물성을 대하는 태도가 극명하게 변하였다. 점차 수직적 구도의 형태 실험, 레디메이드( Ready made)로서 내화벽돌을 사용한 설치작업, 상업 유약을 사용한 사물성이 돋보이는 기하형태로 변이과정을 거치게 된다. 형태를 단순하게 만들고 표면에 선명한 단색 유약을 적용함으로써 특징적인 도자의 사물성이 돋보이는 방법으로까지 발전시킨다. 변형, 수축, 요변 등의 성형과 소성 과정의 변수들을 실험을 통해 엄격하고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감정과 표현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려 했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점토, 유약 등의 재료와 물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오랜 경험을 통해 가능하였고 동시대의 작가들과 구별되는 특징적 조형 언어를 확장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