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대리인비용 하의 기업가치평가모형과 대리인비용의 추정에 관한 연구

        이원 한국재무학회 200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05

        본 연구에서는 M&M모형(1958, 1961, 1963)을 확장하여, 무형자산의 자본화, 성장기 회 및 법인세, 도산확률, 대리인비용 등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적이다. 첫째, 이원흠-최수미(2002)의 지식자산가치 평가모형 및 이원흠-최수미(2004)의 가중 평균기업가치 평가모형은 무형자산의 자본화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서 기업가치를 평 가하는 모형으로 개발된 것이다. 둘째, 이원흠(2006, 2007)의 세후 가중평균기업가치 평 가모형은 무형자산의 자본화, 법인세, 도산확률 및 성장기회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 비해 대리인 비용이 존재한다는 추가적인 가정 하에서 기업가치평가모형을 개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모형은 다음과 같은 기여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기업의 내재가치는 실물자산가치, 무형자산가치, 지급이자의 절세효과와 예상도 산비용 및 대리인비용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수익가치, 성장기회가치 등 모두 4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세후 가중평균자본비용은 기업의 자본비용은 무 부채기업의 자본비용, 대리인비용의 조정항목 및 지급이자의 절세효과와 예상도산비용 등 크게 4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모형을 이용하여 대리인비용(agency costs)이 기업의 자본비용 및 기업가 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 개별기업의 대리인비용 크기를 측정하였다. 추정결과, 기 업지배구조가 좋지 않은 기업의 대리인비용은 기업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에 비해 평균적 으로 기업가치의 약 13% 만큼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구감소지역 일상생활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이원도,김영롱 국토연구원 2024 국토연구 Vol.120 No.-

        총인구 감소와 함께 인구 불균형 문제가 더해져 지역이 체감하는 인구감소 위기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인구감소지역이 지정되었으며, 행·재정적 특례를 지원받고 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은 장기적인 청년인구 유출로 인해 지역 생산성 감소와 계속하여 지역쇠퇴가 진행되는 지역이므로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결방안 마련에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과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축소도시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로전환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인구감소지역 유동인구의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공간적 범위를 이동통신 데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활용하여, 지역별로 다른 하루 동안의 활동반경 및시계열 변동성을 지표로 작성하였으며, 유형분류를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일상생활 반경을 고려한 생활권 설정 및 지역 간 연계·협력 강화정책 수립의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South Korea has been facing the grand challenges of population decline, which is characterised by low birth rates and an ageing population. This challenge is further accelerated by an uneven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across regions. The South Korea Government has designated 89 depopulation areas, current and projected populations are forecast to decline and regional economies are expected to fall into recession. These challenges require a long-term strategy to rehabilitate demographic resilience to create more job opportunities and attract a younger population to live and visit. Existing studies of shrinking cities could offer guidance on finding directions towards sustainable and liveable neighbourhoods for these areas. We have estimated the ambient population, consisting of the usual residents and visitors of depopulation area, and measured the spatial extents of their daily activity spaces. Our analysis reveals variations in daily activity spaces over depopulation areas in South Korea.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strengthening inter-city regional partnerships for shrinking regions towards liveable neighbourhoods

      • KCI등재

        인구감소 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활력의 시계열 변동성 분석

        이원도,유수동,김영롱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1

        South Korea has faced a demographic crisis due to declining birth rates and rapid age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total population. This demographic challenge is exacerbated by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with prosperous cities offering better liveability and more economic opportunities. It has led to young people leaving mainly rural and peripheral area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collapse of local communities, and long-term deprivation. Addressing these challenges requires a multifacet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interplay of various factors and potential solution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South Korea is vital to tackle demographic challenges from a local government perspective. To this end, we propose a new conceptual framework, regional vitality, for assessing the appropriate level of demographic and economic activities using novel data sources. This framework helps regions to develop their pathways to tackle population decline. Our findings reveal that designated depopulation regions experienced relatively higher volatility in the social vitality index while relatively lower volatility in the economic vitality index, as measured b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South Korea.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 fresh and locally informed perspective on addressing the population decline in South Korea and can help pave the way for local governments to revitalise their regions.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총인구감소와 함께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대규모 인구이동은 우리나라의 인구감소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재화와 서비스의 수도권 집중은 균형발전을 위한 노력을 저해시키고, 일자리, 주택, 교통 인프라 등 더 나은 생활환경과 경제활동 기회를 위한 청년인구 유출을 가속화하여 지역소멸이 논의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처럼 인구감소는 단편적인 이해관계 및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므로, 문제해결을 위해선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원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선 우리나라 인구감소 위기 현황과 정책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별 여건 및 역량 수준을 지역활력 개념을 통해 평가하였다. 지역활력은 항상성을 지닌 유기체로써 지역이 얼마나 건강하고 활력을 지니고 있는 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구체화하였으며, 상대적인 생체신호로서 지역 간 비교 및 시계열 변동량 측정이 가능하다. 지역활력의 시계열 변동성 분석결과, 인구감소지역 및 관심지역이 사회적 활력 지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계수가 나타났으며, 반대로 경제적 활력 지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계수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인구감소지역 및 관심지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인구 변동성과 함께 낮은 소비 변동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기초 및 광역지지체에서 각기 다른 인구감소 문제 및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현황과 역량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와 지역 간 격차 완화 및 급변하는 사회환경 대응을 위한 지속적인 지역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