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디자인의 '전통' 논의에 대한 연구

        이옥분(Lee Oak-boon),조현신(Jo Hyun-shin) 한국디자인학회 2011 시그포럼 Vol.1 No.-

        본 연구는 한국 디자인계에서의 전통에 대한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전통에 대한 개별 연구자들의 시각을 담은 단행본이나 비평, 디자인 전문지의 기획과 기사, 학회를 중심으로 한 학술 논문을 고찰하면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디자인에서 전통에 대한 연구의 흐름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디자인 연구자들이 전통적 미학의 현대화라는 당위성을 주장하고는 있지만 거대 담론의 단계에 머무르면서 구체적 실천의 단계를 위한 이론을 계공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그간 예술계와 미학, 철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디자인 인식, 디자인 철학, 조형원리 등과 연관시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전통에 대한 디자이너의 활용 방법은 시각적 표피의 재현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넷째,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전통 논의가 사라지고 아시아 미학으로 확대되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향의 특성은 전통에 대한 당위적 연구 의지는 있으나, 디자인 실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자인 교육 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반복가능하며 보편적인 한국적 조형원리나 조형요소, 미학의 정립이 미약하다는 현실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 전통문화물에 드러난 미학과 조형성을 현대의 디자인 환경에서 창조적인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이론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인 전망을 제시하는데 있다.

      • 한국 디자인에서의 전통 담론

        이옥분(Lee Oak-Boon),오주은(Oh Joo-Eun),김혜림(Kim Hye-Lim),조현신(Jo Hyun-Shin)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awareness and studies about tradition in Korean design by researching books, class magazines, and academic essays. Tradition studies has been carried out to be very active from a global perspective, but most studies are not used in the field of design practice due to abstract, conceptual, and rhetorical expressions. Therefore, the studies on modernized versions of traditional aesthetics require practical, scientific approaches and educational theories.

      • KCI등재

        승용차의 외장 색 운영과 선호 색을 통해 본 색채의 시대성 고찰 -1970년대~1990년대,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이옥분 ( Oak B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색채는 제품을 구성하는 재료의 표면적인 질감, 광택이 함께 만들어내는 시각적인 특성이고, 색채 디자인은 제품의 목적에 맞는 색채를 계획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정확한 관리에 의해 그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색채 디자인은 재료의 물리적 인 표면 전반을 다루는 실무적인 분야이다. 이 연구는 디자인 실무 현장에서 구체화된 색채를 중심으로 국내 승용 자동차의 색채 변화와 그 시대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현대자동차 생산 승용차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자동차 색채 디자인의 본격적인 출발은 현대자동차의 포니로부터 시작되고, 이후 산업 발전과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한 주요 모델인 엑셀로 이어졌다. 90년대 들어 색채 디자인은 국 내의 독자적인 디자인 능력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소비문화에 대응하는 개성화된 차종들의 개 발에 역할 했다. 자동차 색채는 당시 사회와 산업의 요구를 반영하며 기술적으로 구체화되었다. 시대를 반영한 색채는 포니의 단순한 유채색과, 엑셀의 무난하고 기능적인 무채색, 90년대 다 양한 스타일에 걸 맞는 여러 가지 질감의 색채들로 나타났다. 색채 운영과 선호 색을 통해 색채가 함의하는 시대성에 관해 살펴본 연구 결과, 색채가 지닌 사회적인 인식과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한국 승용 자동차의 외장 색채 역사의 자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olor is visual characteristic made with surfacing feeling and polishing of materials. Color design is a set of actions to express visually through scheming color in accordance with purpose of products and to work with accurate management. Like this, in respect of whole physical surface of materials, color design is based on practical fields. This research considers it in all its bearings of the development of motors color and the historical meaning in center of color design being given shape in the indust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subject to the passenger car of Hyundai as Korean representative company. Full-out starting of the color design is Pony. And then it connect to Accel which has leaded popularization of vehicle and development of relevant industry. Since 90s, color design have emerged to more individualized cars with a diverse of customer cultures and choices thank to unique design skills. Colors of these cars reflect desire of industry and takes shape physically inculding techniques. In the end, they appear as Pony`s simple chromatic and Accel`s soft and functional colorlessness, and several color appropriate to 90`s different styles. Since this research considers color`s own substantial meaning of the needs of the times through color in practice and color preference. We can figure out desire and recognition of society of today through color.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a historical documentation about trimmed color of Korea motors.

      • KCI등재

        근대 가구 디자인의 유형 분류와 양식적 특징

        이옥분 ( Lee Oak-b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이 연구는 거주 공간이 근대화되면서 나타난 가구의 근대적 변화를 고찰하고 가구 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며 그 양식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가구 디자인의 근대적 성격을 밝히며, 그 스타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범위와 대상은 근대적 거주 공간이 확립된 일제시기의 생활공간용 수납 가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공간이 근대화되면서, 가구는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재배치가 이루어졌고, 수납 효율을 강화하는 형태로 변화했으며, 입식 공간이 생겨 좌식과 입식 가구로 이원화되었다. 둘째,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가구 디자인은 한식 개량형, 화양절충형의 두 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두 가지 유형의 양식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식 개량형은 전통 가구의 기본형이 유지되면서 공간 활용과 수납 기능을 높여 변형되었다. 화양절충형은 외래 가구의 기본형과 문양이 섞인 형으로 근대 가구 형식의 기본 틀이 되었다. 서양 가구를 기본으로 일본에서 개량된 양가구가 대표적이었다. 넷째, 두 가지 유형과는 다른 새로운 조형 방향으로 모던 가구가 일본으로부터 소개되며, 기능주의적 조형 개념과 표준화의 생산 방식이 일부 도입되기 시작했다.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y the furniture design considering modern changes of furniture while the residential space is modernized. The scope of this study show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Korean furniture design and arrange systematically the modern style. The target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cabinet for residential spa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modern living space has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idential space is modernized, furniture was re-arranged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each room and chang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torage and divided into dual category, sitting furniture and Western Style furniture as stand-up space generated. Second, modern furniture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2 types, improved Korean style, compromised model of Japanese/Western type. Thir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2 types are as follows. The improved Korean style was modified by improving space application and cabinet function while keeping the basic type of traditional furniture. The compromised model of Japan/Westen was a mixed form blending the basic type and the pattern of foreign furniture, and it was the basic structure of modern furniture. Based on western style furniture, type compromised furniture improved in Japan was typical. Fourth, the modern furniture as a new stream was introduced from Japan and some functional formative concept and a production method of standardization was partly started introducing.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