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기능이 아동의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영글(Yeonggeul Lee):김희철(Hee Chul Kim)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6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29 No.3

        Internet has become a crucial factor affecting children’s lives. Accordingl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ternet use among children. However, little research exi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ternet use. In response to this gap,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As primary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and gender differences were examined.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amily functioning on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Lower levels of family functioning led to more time using the Internet and was mediated by the purposes of Internet us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al and community efforts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may prevent Internet overuse or mis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Also, there is a need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Internet use within the context of policy-making.

      • KCI등재

        주민이 참여하는 인적 안전망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미치는 영향

        이영글 ( Yeonggeul Lee ),박성준 ( Seongjun Park ),함영진 ( Young Jin Ha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1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있었으나 복지 사각지대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역사회의 인적 안전망은 주민참여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도입된 이후 다양한 인적 안전망 조직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많은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확대되고 있는 주민참여가 지역사회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읍면동에서 입력한 2019년의 인적 안전망 규모와 활동 실적 등을 취합한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종속변수인 복지 사각지대 해소는 공적 지원과 민간자원 연계 변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독립변수인 주민참여 인적 안전망은 유형별 인적 안전망 인원으로 측정하였고, 인적 안전망 유형은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통(이)장, 기타단체 회원, 신고 의무자, 생활업종 종사자, 기타 주민으로 구분하였다. 매개변수인 복지 사각지대 발굴은 인적 안전망 활동을 통해 발굴된 위기가구 발굴 건수로 측정하였다. 분석은 완전매개모형을 구성하여 경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참여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둘째, 복지 사각지대 발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복지 사각지대 해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민참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간접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민참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읍면동의 인적 안전망 운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on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in Korea. Residential participation data of 2019 collected from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were analyzed. A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analyzed with path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tection of households in need. Second, detected households in need were provided proper public assistance and welfare service provision. Third, detection of households in need significantly mediated residential participation and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Therefore, residential participation is meaningful activity to prevent crisis of households in need and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Implications for community welfare policy and residential particip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 KCI등재

        주민참여가 위기가구 발굴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영글(Yeonggeul Lee),박성준(Seongjun Park)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on detection of households in need and investigated moderation effect of Gyeonggi-do on the associations.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rom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were analyzed. Descrip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level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detected households in need. Differences of variables between Gyeonggi-do and the other province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d test and t-tests.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link between residential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detected households in need and test moderation effect of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level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i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 between Gyeonggi-do and the other provinces but differences of the result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were found. Second, the level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detection of households in need. Third, several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Gyeonggi-do were found on the associations. Implications for community welfare polic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