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cial TV 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해외 Social TV 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정연(Joungyoun Lee),이승원(Seongwon Lee)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two studies on Social TV. In one study, meaning and possibility of TV as social media was theoretically studied and based on this meaning, we reviewed existing social TV systems and literatures. By doing this, we could extract the conditions and issues raised by designing Social TV's user experience. Based on our analysis, we could conclude with elements which are (1) channel communication, (2) Co-viewing experience, (3) Interaction Devices and elements, (4) Personalized contents browsing and selecting, (5) Accessibility and usability (6) User interface design. 현 사회는 통신과 방송 융합 시대의 도래와 웹2.0의 영향으로 기존의 단 방향 형식의 TV가 개인화된 양방향 서비스의 TV2.0 를 맞이하고 있다.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활용하여 TV를 시청함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부가하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Social TV'란 명제아래 여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IPTV의 새로운 성장요소로서의 SocialTV의 사례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을 진행하였다. 먼저 TV가 지닌 매체적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를 통해 TV가 Social TV로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Social TV의 해외 사례분석과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Social TV를 디자인 할 시 고려되어야 할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로는 (1) 커뮤니케이션 채널, (2) 동시 시청에 대한 경험, (3)인터랙션 디바이스와 세부 요소들, (4) 개인화된 콘텐츠 브라우징/검색과 선택, (5) 접근성과 사용성, (6)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리되었다. 향후 연구로는 추출한 인자들을 국내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재정의하여 향후 국내에서의 Social TV 서비스 개발 시, 유용하게 활용될 가이드라인을 제안해 본다.

      • 효율적이고 확장가능한 3D - WT 압축기법

        김성민(Sungmin Kim),박시용(Siyong Park),이승원(Seongwon Lee),이화세(Hwase Lee),정기동(Kidong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기존의 비디오 코딩에서는 연속된 프레임의 시간적인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전 프레임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는 움직임 예측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정지 화상에 비해서 대용량의 특성을 지니는 비디오 데이터는 이런 움직임 예측을 통해서 대부분의 압축이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움직임 예측기법은 많은 계산과정을 요구하므로, 전체적인 부호기 복잡도를 높이는 단점을 지닌다. 반면 3D-WT는 움직임 예측을 하지 않으므로, 부호기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3D-WT기법들은 부호화를 위한 메모리 요구사항과 복호를 위한 수신측의 지연시간 이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요구사항과 수신측의 지연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확장가능한 3D-WT 기법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