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골반상의이완

        이수종(SJ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8

        근대의학이 발달되어 많은 문제가 해결되고 있으나, 질식분만후 대다수예에서 어느 정도의 골반 이완이 유발되며 이의 정도는 반드시 분만수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장래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부인과환자중 자궁탈출, 뇨실금, 질이완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경산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하나의 노쇄기현상 특히 폐경기후의 난포홀몬 결핍에 의한 골반장기의 신축성의 감소로 인하여 오며 30∼40대 후의 여성이 대부분이다. 골반상 이완의 수술적 치료방법은 골반지지조직과 해부학에 대한 지식, 술법의 선택 및 의사의 수술의 숙련도 등등에 관계되며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약 20∼30%의 재발이 속발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는 골반상의 이완은 크게 3대별하여, 1)전부-뇨도류,방광류 2)상부-자궁탈출,후부탈질(Enterocele) 3)후부-직장류, 만성회음열상 등으로 구분한다. 자궁탈출, 긴장성뇨실금, 뇨도류, 방광류, 직장류,후부탈질, 질광대 등의 효과적 수술치료를 위하여 중요한 것은 골반내 지지조직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함이 중요하며 그외에 환자의 건강상태, 만성기침,연령자세 등이 관계 된다.

      • KCI등재

        복강경불임술에 관한 임상적관찰

        이수종(SJ Lee),홍성봉(SB Hong),구병삼(BS Koo),심근섭(GS Sim),김선행(S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8

        저자등은 1974년 6월부터 1977년 4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복강경을 이용하여 여성불임술을 시행한 3,030예를 대상으르 연구관찰하였다. 1) 연령분포를 보면, 30∼34세 연령군이 전체의 41.3%를 차지 하고 25세부터 39세 사이 가 전체의 90%이상을 나타내었다. 2) 시술당시 생존아수는 두 자녀를 가진 예가 전체의 47.7%로 가장 많았고 전체평균 자녀수는 2.8명이었다. 3) 시술당시 인공유산을 경험한 회수를 보면 2∼3회가 전체의 36.2%로 가장 많았고, 환 자의 교육정도도 국졸,중졸,고졸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최종월경일로부터 불임술 실시일까지기간은 11∼15일 사이에서 전체의 21.2%로 가 장 많으며 결국 월경주기의 증식기에 시행된 예가 53%에 해당한다. 또한 최종 인공유산일로부터 불임수술일까지의 기간을 보면 1∼6개월 사이가 전체의 20.3%로 가장 많았고 최종문만일과 불임수술일과의 기간을 보면, 3년 이상이 전체의 60.7%로 가장 많았다. 5) 본원 산부인과에 복강경불임수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동기는 가족계획요원의 권고로 수술받은 예가 52.7%로 가장 많고, 개인병원의 소개가 23.7%, 환자자신이 결정한 예가 22.2%의 순이었다. 6) 불임수술을 받기까지의 피임방법을 보면 경구피임약을 사용한 예가 978예(30.9%)로 가장 많았고 다음 이자궁내장치로 844예(26.5%)이었고, 아무런 피임방법도 사용치 않았 던 예가 561예(17.7%)이었다. 7) 복강경 불임수술을 시행한 총 3030예중 170예(5.6%)에서 개복수술의 기왕력을 갖고 있었고 그 가운데 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이 78예로 가장 많았다. 8)전체의 99% 이상에서 국소마취와 진통제 및 진정제를 정맥주사하여 수술을 시행하였 고 전체마취는 13예(0.4%)에서만이 시행하였다. 9)수술중에 사용한 CO2 gas양은 1.5ℓ이하를 사용한 예가 전체의 62%로 가장 많았고 수술 소요시간은 10분이내에 수술을 끝마친 예가 전체의 60.1%를 차지하였다. 10)수술방법으론 전기소작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84.2%), 다음이 silastic ring에 의한 결찰법이었으며, 복강경 불임술을 시행하면서 동시에 시행한 수술로는 인공 유산(D & E 혹은 M-R)이 245예로 전체의 8.1%를 차지하였다. 11)복강경 불임수술중 관찰한 자궁의 소견은 장막하근종을 갖고있는 예가 19예(6.0%), 자궁주위의 염증소견을 보인 예가 19예(6.0%)이었고 그외에 주위조직과 유착을 일으킨 경우도 있었으며 난관의 이상소견은 난관염이 50예(34.3%)를 나타냈고, 유착만을 보인 경우는 47예(32.5%)이고, 난관수종이 25예(17.3%)를 나타냈으며 또한 총 96예서 난소에 이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중 여러 큰기의 난소낭종을 44예(56.4%)에서 발견하였고 29 예(30.2%)에서 주위조직과 유착을 나타내었다. 12)수술후 경미한 자각 및 타각증상을 나타낸경우는 660명으로 26.1%를 차지했고 가장 흔하게는 견압통(7.5%)과 하복통(6.3%)이었으며 수술의 신체적 부담의 정도를 알고자 수술 전후의 체온의 변동을 조사한바 수술후 약간의 체온 상승을 볼수 있었다. 13)수술의 합병증을 보면 67예(2.2%)에서 발생되었으며 난관간막에 출혈을 한 예가 41 예(61.6%)로 가장 많았고 개복수술을 필요로하였던 예는 2예이었다. 14)시술후 실패율을 보면 3,030예중 자궁외임신이 3예이었으며 2예에서 정상자궁내임신 (luteal phbse pregnancy는 제외)이 있었다. Recently the use of laparoscope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in gynecology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nd great enthusiasm has been generated for female aterilizations using laparoscopy. From June 1974 to April 1977, 3030 cases of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ere performed by means of fulguration and silastic ring apply under mostly local anesthetics. Three thouend and thirty cases were analys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ge distribution showed 41.3% from age 30 to 34, and over 90% of patients are aged between 25 and 39 years old. 2. Majority of patients (47.7)have two children and average number of child was 28 in over all group. 3. Steriliz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during follicular phase in 53%, Ovulatory phase in 10%, and luteal phase in 37%. Duration between last induced abortion and sterilization, was 1 to 6 month period and 60.7% of the patients had sterilization in more than 3 years from the time of last delivery. 4. Most of the patients (36.3%) have had history of 2 or 3 times induced abortion. Also, educational background w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order of frequency. 5. In 52.7% of the patients, sterilization was recommended by the public health nurses, 23.7% from private clinics and 22.2% from patient herself. 6. The contraceptive methods prior to sterilization were 30.9%(978 cases)with oral contraceptives, 26.5%(844cases) by the IUCD and none of method were used in 17.7% (561cases). 7. The 170cases(5.6%) had previous laparotomy, and 78cases of among those cases had appendectomy as most. 8. Steriliazation procedure have been done under local anesthesia in 99.6%, and under general anesthesia in 0.4% (13 cases). 9. One to two liters of CO2 gas consumed for pneumoperitoneum in 62%, and it tooks less than 10 minutes to complet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in 10.1% of all cases. 10. Most beloved technique in electric coagulation method in 84.2%, and incidental pregnancy termination at the first trimester was performed in 245 cases by Menstrual Regulation or D&E. 11. Incidental findings of uterus during laparoscopic sterilization were seen in 19 cases (6.0%) if subserosal myoma and few cases of adhesions, fifty cases (34.3%) were shown the evidence of salpingitis, and various size of ovarian cyst were found to be in 44 cases (56.4%) 12. Postoperative subjective complaints were seen in 660 patients (26.1%) with most common symptoms of shoulder pain and lower abdominal discomfort. 13. There were two serious complications requiring laparotomy among all complication of 67 cases (2.2%), mostly complicated from controlable bleeding from mesosalpinx. And operative failure was 3 cases of ectipic pregnancy and 2 cases of intrauterine pregnancy.

      • KCI등재

        자궁근층결핵의 치험례

        이수종(SJ Lee),홍성봉(SB H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6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 No.1

        저자등은 최근, 33세의 미산부에서 거대한 자궁근종으로 자궁척출술을 한 바 그 빈도가 희소한 자궁근층결핵을 관찰하여 보고하였다. A case of tuberculosis of myometrium associated with a huge fibroid of uterus was observed on a 33 year-old married barren woman who had complained of menorrhagia and lower abdominal pain after menstruation.

      • KCI등재

        부인과질병에 관한 Josamycin 효과에 관한 임상적 관찰

        이수종(SJ Lee),홍성봉(SB Hong),구병삼(BS Koo),규완(KW Lee),박승신(S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9

        Josamycin에 대한 임상 및 실험적 관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수성시험에서 JM의 감수성은 Staphylococcus aureus 12주의 최소발육저지농도는 0.8mcg/ml에서 8주, 1.6mcg/ml에서 3주(91.6%), 3.2mcg/ml에서 1주였고, Staphylococcus는 4주 중 1.6에서 3주, 3.2mcg/ml에서 1주를 관찰하였다. 검출균의 소실효과를 보면 Staphylococcus aureus와 Staphylococcus albus를 비롯하여 전 24주 가운데 19주(약 80%)가 소실되었다. 2) 치료성적을 보면 골반염증성질환 16예에 대하여 JM. 1.6g을 5일간 투여하여 1예의 미상 을 제외하고 14예에서 저효 및 유효(93.3%)를 보았으며 자궁부속염을 초래한 8예에서는 85.7%의 저효 및 유효를 보았고, 그 외의 자궁염, 자궁 경부염 등을 일괄하여 저효 및 유효 율은 86%를 나타내고 있었다. 3) 불완전유산, 실산, 내막증식증 등 자궁내용제거 내지는 소파술 후 감염예방을 목적으로 0.8 내지 0.6g을 3일 내지 5일간 투여함으로써 전 11예에서 1주일 후에까지 감연상태가 발 견되지 않았다. 4) JM.은 전 50예에서 심한 부작용은 없었으나 경미한 소양증과 피부발진이 1예에서 관찰 되었다. A new macrolide antibiotic, Josamycin(JM) was administered to patient with various gynecological infections, and an evaluation of it`s clinical effects is as follows : 1) In the sensitivity test of JM,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were observed to inhibit growth in the MIC of JM 0.8mcg/ml to 1.6mcg/ml (91.6%). we also tested strains of staphylococcus albus in 1.6mcg/ml (75%) of the MIC of JM and growth also inhibited. Our result was that growth was inhibited in 19 (80%) of the 24 strains which were isolated. 2) In the 39 cases of gynecological infections such as pelvic inflammatory disease(PID), adnexitis, endometritis (& myometritis, perimetritis), a puerperal infection and cervicitis etc, JM was effective in 86% of all therapy. 3) In 11 cases evaluation and curettage due to missed abortion, incomplete abortion and endometrial hyperplasia were performed. JM was administered for prevevtion of postabortal infection. There were no cases of infectionary of the above cases even a week after therapy. 4) No signigicant side effects were observed but one case of mild skin eruption did occur.

      • KCI등재

        남성반음양 ( Male Hermaphroditism ) 에 실시한 질성형술 1예

        이수종(SJ Lee),구병삼(BS Koo),나종열(JY Rha),강재성(JS Kang),최영열(YY Cho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1

        외생식기관의 기형을 동반한 환자의 염색체검사 및 생식선 생검결과 여성화된 남성반음양으로 진단되었으며, 대음순 상부에 위치한 환을 제거하고 McIndoe술식에 의한 질을 형성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Male hermaphroditism with feminization the most arresting syndrome in intersexuality is that of the genetic male with tests, but who resembles a normal appearing woman with excellent breast development. We herewith present a case of male hermaphroditism with feminization with congenital abscence of vagina associated with bilateral labial testes , who received vaginoplasy with testicular resection with brief of literatures.

      • KCI등재

        Prostaglandin F2a 에 관한 중기임신중절

        이수종(SJ Lee),구병삼(BS Koo),서용득(YD Suh),최영송(YS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6

        1976년 3월부터 1977년 2월까지 12개월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의학적 및 기타 적응증으로 중기임신중절을 목적으로 입원한 28예에 대하여 prostaglandin F₂α의 간헐적 양막외 주입법을 시행하여 유산을 성공하였으며 그 결과를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ostaglandin F₂α의 주입에서 부터 유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18.89시간이 었다. 초산부에서는 평균 21.19시간, 경산부에서는 평균 17.41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경 산부에서 초산부보다 약간 빠른 것을 볼수 있었다. 2) Prostaglandin F₂α의 주입량은 최소 1,500㎍에서 최대 11,250㎍까지 였으며, 초산부에서는 평균 5036.36㎍, 경산부에서는 평균 4035.29㎍이 주입되었다. 3) 유산성공율은 24시간내에 85.7%의 성공율을 보여 주었고, 36시간내에 100%의 성공율을 보여 주었다. 4) 중기임신중절의 적응증중 정신사회적 문제가 16예로 가장 많았고, 자궁내태아사 망이 4예를 차지했다. 5) 부작용은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통의 장애(14.3%)가 가장 많았고, 악한과 발열반응이 각각 1예 있었다. 6)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불완전유산(25%)이었고, 소파수술과 용수박리 등으로 태반 조직을 제거하였다. The use of prostaglandin F2α administered by extra-ovular infusion through foley catheter for the induction of abortion was studied in 28 patients between 16 and 28 weeks gestation. No serious complications occurred. Some minimal side effects were observed. Occasional vomiting was the commonest symptom but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was lower than with alternative routes of administration. Side effects were in general well tolerated by the patients and never required therapy or termination. There were 4 cases of incomplete abortion with over 250ml, of estimated blood loss, but transfusion was not required. The method has proved a safe and effective means of terminatimg pregnancies in the second trimester.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The mean abortion time from infusion to the abortion of the fetus was 18.89 hours. The mean abortion time for the multiparas was 17.41 hours, somewhat lower than the mean time for the primiparas of 21.19 hour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mean total dosage of prostaglandin F2α was 5036.36 ug in primiparas and 4035.29 ug in multiparas. 3. The abor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in 85.7% of patients within 24 hours and in 100% within 36 hours. 4.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mid-trimester abortion was psychological problem in 16 cases, next was intraurteine fetal death in 4 cases. 5.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consisted of gastrointestinal sysptoms(14.3%) such as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Other side effects included transient pyrexia and chilling. 6. The most common disadvantage was incomplete abortion. In 75% of patients, abortion was complete but in 255 of patients was incomplete. These were managed by dilatation and evacuation or manual removal of the placenta.

      • KCI등재

        임신중독증과 Hormone

        이수종(SJ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6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 No.5

        임신중독의 원인에 대한 여설은 대단히 많으나 결론에는 도달되지 않은 것 같다. 즉 임신으로 인하여 생긴 태아부속물이 배출되면 증세가 소실된다는 것이다. 다시 그 원인을 고찰하며 크게보아 그원이 태아에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왜 그러냐하면 분만후 태아소견이 발육이외에는 정상태아와 다른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아부속물에는 확실이 변화가 있을 뿐아니라 현저하다 고로 태반에서 생기는 물질이 수용성물질로 독성 또는 광의allergy 즉 이 물질이 태반다당체양물질인 allergy로 임신중독이 온다고도 한다. 이것이 allergy설이 나오는 연고이다. 또 이것만 갖이고는 광범한 증상의 설명이 않되어 간뇌를 중심으로한 기능실조에 부치는 사람도 있다. 또 임신하고 밀접한 관계가 있는 Hormone에 원인을 붙이는 학자도 있다. 이 Hormone과 간뇌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태반과 자궁은 그 Target Organ이기도 하다. 고로 술자는 Hormone을 구명함으로서 임신중독이 해결의 점이 없나하여 몇개의 문헌을 소개코저 한다. Smith and Smith(1952)는 임신중독증은 태반성 Gonadotrophin의 분비과잉으로 각종 Steroid Hormone 특히 Estrogen의 대사이상을 초래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임신중독증이 오게된다고 하였다. 또 Hain(1952)은 임신중독증환자의 Hormone검사를 하여 Gonadotrophin Pregnandiol 17-Ketosteroid, 11-Oxycorticoids를 측정하여 임신중독증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특히 부신피질Hormone이 깊은 관계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자궁적출이 난소에 미치는 영향 < 제1보 성숙처녀백서의 실험관찰 >

        이수종(SJ Lee),홍성봉(SB H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6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 No.1

        성숙처녀백서를 자궁척출후 성주기와 난소의 조직변화를 술후 제2주말, 제4주말에 관찰한 결과. (1) 수술후 발정개시에 요하는 일수는 평균 10.45일로서 지연되었다. (2) 수술후, 성주기는 불규칙하여진다. (3) 수술후, 발정지속을 하는 경향이 있다. (4) 수술후 성숙난포, 황체형성이 활발하다. (5) Prehormone 을 주사한 백서는 특히 난포혈종이 현저히 출현한다. In view of the divergent opinions about the ovarian function in hysterectomized women, experimlntal studies were performed on mature rats, weighing from 130 grams to 200 grams. Morphological studies of ovaries and changes in estrus cycles were observed for the period of two to four weeks following hysterectomies. In hysterectomized rats regular estrus cycles had been ascertained prior to the surgical procedures by daily evaluations of vaginal smears. Results are as following: (1) Recurrences of estrus cycles were observed in 10 days and half following hysterectomies. (2) Irregularity of estrus cycles were present in hysterectomized rats. (3) In a considerable numbers of hysterectomized rats prolonged estrus stages were observed. (4) Following hysterectomy, apparent growth of mature follicles and corpora lutea were noted within four weeks. (5) In cases anterior pituitary hormones were administered parenterally for the period of ten days, hemorrhagic follicles were markedly present.

      • KCI등재

        Mucocolopmetra의 1예

        이수종(SJ Lee),구병삼(BS Koo),신재승(JS Shin),남웅수(US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4

        The mucocolpometra is a rare disorder usually associated with congenital malformation such as imperforated hymen, transverse vaginal septum, or other occlusion of external genitalia. The authours reports a case of mucocolpometra due to atresia of vagina in 80 years old multiparous woman . The patients had been admitted to gynecological department because of yellowish vaginal leucorrhea and left flank pain. This genital tract disorder was easily detected by means of inspection and manual examination. A transabdomin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due to above condition, and neoplastic ovaries and uterine change had to be ruled out by pathologcial studies. The mucous materila not only filled into the uterine and vaginal cavities but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as noted throughout endometrium and cervix. The patients was advised to have further evaluation to rule out possible malignancy. She refused additional medical care.

      • KCI등재

        부인과 각종질환의 자궁경관내체온과 구강내 체온

        이수종(SJ Lee),강효달(HD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6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 No.1

        외래환자중 비교적 경한 만성염증환자 부속기염 9예 만성자궁경관염 20예 외음염예 4예 합계 33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관찰하였다. (1) 자궁경관내 체온은 구강내체온보다 평균 3.4분 높다. (2) 자궁급부속기염증성 질환에 있어서 치료전에는 구강내체온은 정상인데 비하여 자궁경관내체온은 5분이상 상승되어 있다. (3) 염증치료 2내지 7일이면 자궁경관내의 체온이 구강내의 체온에 접근하여 차위가 3분내외로 된다. (4) 체온측정에 있어서 자궁경관내의 체온측정이 구강내의 체온 측정보다 안정성이 있다. (5) 자궁경관내체온을 측정함으로써 배란기능측정을 할 수 있으며 타기초체온 측정법에 비하여 의사가 수시로 측정함으로써 타기초체온 측정법과 동등한 확율을 얻을 수 있다. (6) 자궁경관내의 체온측정으로 부속기염환자가 자궁경관염 환자에 비하여 배란기능이 저하됨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