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특성 연구 ?상업,비상업 전시 공간 특성 비교-

        김새록 ( Sae Rok Kim ),이돈일 ( Don Yi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현대인은 기존의 단순히 잘 만들어진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넘어 즐거움, 놀라움, 슬픔과 같은 감정의 경험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느끼기를 원한다. 이러한 바람은 공간의 패러다임도 변화시키게 되었다.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매개체로 공간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의 인터랙션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 공간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여 전시 공간디자인에서의 인터랙션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이론정리 및 사례분석으로 진행하며 이를 토대로 평가 모형을 만들어 인터랙션이 전시 공간에 적용될 때, 공간과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의 핵심 특성인 사용자, 공간, 경험을 통해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의 인터랙션 표현 특성에 있어 이용객의 경험창출 요소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평가항목에 따른 분석결과, 인터랙션이 적용되어진 전시 공간 모두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몰입을 통해 행위유발을 유도할 수 있었다. 비상업 전시의 경우 이용객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의미를 해석하고 연출해 보려 노력할 수 있지만, 상업전시의 경우 전달자의 의도된 경험이 확실히 나타나므로 개인의 경험과 생각에 있어 제한적이었다. 또한 비상업 전시에 비해 빠르고 강하게 이용객과의 상호작용을 꾀하려 하는 등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발전과 트렌드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감성욕구에 부합하는 인터랙션기반의 전시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활용방법들의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modern man wants a new experience which maximizes experience of emotion like happiness, surprise, and sadness exceeding the existing simply well-made functional and physical hardware. Such wish also changed the paradigm of space. Space began to be used as the medium of interac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user in a physical space can be felt.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duce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in exhibition space design through observing exhibition space design cases in which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can be experienced and analyze by dividing to noncommercial exhibition space and commercial exhibition space. For this, thi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through theory summarization and case studies, and based on this, makes an evaluation model henc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al expression between space and human when interaction is applied to exhibition space, and analys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r`s experience creation between noncommercial and commercial interact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which are user, space, and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earch according to evaluation items, it was possible to induce behavior through active immersion utilizing visual elements in all exhibition spaces to which interaction was applied. In the case of noncommercial exhibition, each user can interpret and present the meaning in a variety of ways, commercial exhibition was restrictive in terms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and thought because the communicator`s intended experience certainly appear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differences such as plann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quicker and stronger than noncommercial exhibition. Research of a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of interaction-based exhibition space design that coincides with the user`s emotional desi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end change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