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독·일 소재기술분야 공공연구시스템 비교연구

        이주석(Juseok Lee),이경재(Kyongjae Lee),채재우(Jae-Woo Chae),이장재(Jangjae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본 연구에서는 기술을 차원으로 한 국가소재기술혁신시스템을 개념틀로 하여 국가 간 비교분석을 추진하였음. 소재기술을 주된 차원으로 하고 관련 산업을 대상으로 소재기술과 제조업 강국인 독일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혁신시스템을 공공연구시스템 차원에서 비교분석을 수행함. 동 분석의 강점은 소재기술을 둘러싼 혁신주체(산학연)와 산업 간에서 일어나는 학습활동, 연구개발, 상호작용, 기술의 생성과 확산, 네트워크 등 동태적인 기술혁신 활동을 공공연구시스템 차원에서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다는 것임. 본 연구를 통하여 국가별 시스템의 장단점 분석과 함께 향후 바람직한 국가소재기술혁신시스템을 지향하기 위한 공공연구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드론 기반 병충해 예찰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설계

        이대현 ( Daehyun Lee ),한길수 ( Kilsu Han ),이현동 ( Hyundong Lee ),김국환 ( Gookhwan Kim ),이명훈 ( Meonghun Lee ),김점순 ( Jeomsoon Kim ),홍성준 ( Sungjun Hong ),이경재 ( Kyongjae Lee ),송장훈 ( Janghoon S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국내농업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국가 간 교역 확대,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인해 농산물 수입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검역병해충 및 외래·돌발 병해충의 발생 확산을 야기하여 농가의 병충해 피해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이 중 과수 화상병의 경우 빠른 전염속도로 인해 발생 시과수원을 폐원시키므로 농가의 심각한 피해를 가져다주고 있어 문제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병충해 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예찰 및 방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인력 활용 및 육안으로 감염 여부를 판정하고 있어 정확한 예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력에 의한 병의 전파가 지속적으로 우려되고 있다. 드론은 무인비행장치로 최근 비행 제어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그 활용범위가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다. 농업분야의 경우 영상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통해 다양한 영상센서를 드론에 장착함으로써 농지의 다양한 정보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항공 예찰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항공예찰 영상의 분석 및 드론 이착륙 관리를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통합 관제 시스템은 드론 이착륙을 위한 스테이션과 항공영상 수신 및 제어 신호 송신, 항공영상 DB 관리 및 영상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부로 구성된다. 이착륙 스테이션은 드론 보관을 위한 케이스 내부에 드론이착륙 지원을 위한 상하 리프트 제어와 착륙 플레이트, 기구부 등이 설치되며, 드론의 이착륙에 따라 루프가 자동 개폐되도록 설계되었다. 데이터 관리부는 수신된 항공 영상을 위치-예찰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를 이용하여 영상학습 모델 기반 과수병 예찰영상 분석을 수행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는 각각의 항공 영상을 분할하여 훈련, 검증, 테스트 데이터로 분류하며, 훈련 데이터는 샘플 수 증가 및 오버피팅(over-fitting) 감소를 위해 잘라내기, 회전, 밝기/색상 변환 등 데이터 증강 후 사용된다. 영상학습 기반예찰 기술의 적용성은 사과 과수 화상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한 예찰 수행 시 인력 예찰 문제 해결 및 과수원의 항공영상 정보 수집의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를 위해서는 과수병 증상이 발현된 항공영상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예찰 모델 정확도 향상과 최적화된 드론의 운행 제어를 통한 항공 예찰의 효율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영상 기반 병충해 예찰을 위한 DB 수집 및 관리 체계 설계

        김국환 ( Gookhwan Kim ),이재수 ( Jaesu Lee ),한길수 ( Kilsu Han ),이현동 ( Hyundong Lee ),홍성준 ( Sungjun Hong ),이경재 ( Kyongjae Lee ),송장훈 ( Janghoon S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최근 들어 전국에서 다양한 병충해 피해가 다발적으로 발생되고 있는데, 특히 과수 화상병의 경우 빠른 전염속도로 인해 발생 시 과수원을 폐원시켜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가져다주고 있어 문제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정기적인 예찰 및 방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인력만으로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정확한 예찰이 어렵고 인력에 의한 병의 전파가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영상 센서들을 드론에 장착하여 과원 내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 분석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획득한 영상들의 분석, 수집 및 관리를 위해 DB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병 의심주 판별을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총 4가지 영상 자료(RGB, NIR, Red-Edge, 초분광)를 취득하여 DB화 하였다. DB화를 위해 먼저 과수원 별로 각각 영상 센서를 장착한 후, 드론을 띄워 과원에 대한 구간별 공간별 영상을 취득하였다. 취득한 영상은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스틸영상과 여러 장의 스틸영상을 기반으로 영상 정합을 얻어진 과원맵으로 구분되는데, 스틸 영상은 영상 분석을 통해 화상병 의심주를 판별하는데 활용하였고, 영상 정합을 통해 얻은 과원맵은 찾아진 의심주를 표시하고, 과원의 어느 위치에 의심주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분된 영상 정보를 각각 사용자(과수원별 고유 ID 발급)를 기반으로 주소, 촬영 날짜, 위경도, 고도, 과수품종, 그루수, 년생 등 과원 상태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반으로 이미지명, 이미지 크기, 수평, 수직 해상도, 촬영 시기의 조리개 오픈 정도, 파일크기, 픽셀 정보 등 물리적인 스틸 영상 정보와 영상 정합을 통해 얻어진 과원맵에 대해 고유 ID, 촬영 날짜 및 시간, 기준 위치를 기반으로 3D 좌표값(m)으로 표시된 화상병 의심주 위치 및 의심 가능성(확률), 의심주 수 등의 병증 기반 DB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DB 체계는 전국적으로 수행되는 정기 및 수시 예찰기간동안 인력 예찰에서 탈피하여 체계적이고 최적화된 DB 환경 기반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예찰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