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윤현정(Hyeon Jeong Yoon),지영석(Yong Sok Ji),윤경철(Kyung-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5

        목적: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고, 재발 및 각막부전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58명 5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진 시 전신질환, 시력, 안압, 세극등현미경 임상소견과 각막내피세포수, 중심 각막두께를 측정하였고, 치료 후 시력, 안압, 중심각막두께를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재발 및 각막부전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58안 중 45안(77.6%)에서 원판형, 11안(19.0%)에서 미만형, 2안(3.4%)에서 선형의 임상양상을 보였다.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종류별로 치료 후 결과를 비교분석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4안(24.1%)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이 재발하였으 며,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이 재발하였던 군은 재발하지 않았던 군에 비하여, 초진 시 안압이 높았고, 전방 내 염증이 많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 재발의 위험인자는 안압이었다. 각막부전은 8안(13.8%)에서 발생하였으며, 각막부전이 발생한 군은 각막부전이 발생하지 않았던 군에 비하여, 초진 시 안압이 높았고, 전방 내 염증이 많았으며, 백내장수술을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각막부전의 위험인자는 전방 내 염증 및 백내장수술 기왕력이었다. 결론: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아형별로 치료 후 임상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재발의 위험인자는 초진 시의 높은 안압, 각막부전의 위험인자는 많은 전방 내 염증 및 백내장수술의 기왕력임을 알 수 있어, 초진 시의 임상양상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5):516-522>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corneal decompens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58 patients (58 eyes) who were diagnosed with herpetic endotheliit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a follow-up period of less than 6 months and a previous history of ocular inflammation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recorded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on both initial and final visit, and recorded clinical finding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of the eye only on initial visit. Factors affecting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corneal decompensation were also analyzed. Results: Among the 58 patients, 45 patients had disciform type endotheliitis, 11 patients had diffuse type, and 2 patients had linear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nal clinical manifestations according to subtype. 14 patients exhibited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High intraocular pressure and high-grade anterior chamber cells were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risk factor for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was high intraocular pressure. We found that 8 patients exhibited corneal decompensation, and high intraocular pressure, high anterior chamber cell grade, and a history of cataract surgery were associated with corneal decompensation.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corneal decompensation were high anterior chamber cell grade and cataract surgery history. Conclusions: For herpetic endotheliitis, the subtype did not affect the final records of clinical manifestation, and the only risk factor for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was high intraocular pressure. Additionally, the risk factors of corneal decompensation were found to be high-grade anterior chamber cells and a history of cataract surgery. Initial examinations of clinical manifestation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of herpetic endotheli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5):516-522

      • KCI등재

        아래눈꺼풀에서 발생한 단독 색소 얼기신경섬유종 1예

        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 Chul Yoon),김가언(Ga Eon Kim),최 원(Won Choi)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3

        목적: 저자들은 전신적인 신경섬유종증 없이 눈꺼풀에 단독으로 발생한 얼기 색소성 신경섬유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출생 직후부터 발견한 우측 아래눈꺼풀 피하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12세 남자 환아가 수술적 치료를 원하여 내원하였다. 과거력 상 바터 증후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받고 치료 중이었다. 내원 시 시행한 이학적 검사상리쉬소결절, 시신경아교종, 고도근시 등 신경섬유종증에서 나타나는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병변에 대해 절제생검술을 시행하였으며, 육안소견상 4.0 × 1.5 × 1.5 cm 크기의 불규칙한 모양의 결절이었다. Hematoxylin & eosin 염색상 점액기질을 동반한 다양한 크기의 비후된 신경 다발이 있었으며 증식된 멜라닌세포가 그 주위를 감싸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neurofilament, melan-A, HMB-45 (Melanoma marker antibody)에 양성을 보여 얼기 색소성 신경섬유종으로 판명되었다. 피부과에서 시행한 이학적 검사, 뇌자기공명영상촬영 및 유전자 검사에서 전신적인 신경섬유종증의 증거는 없었다. 결론: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 과거력 및 임상적 소견이 없더라도 눈꺼풀 종물의 감별 진단 시 얼기 색소성 신경섬유종을 고려해야하며, 절제술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Purpose: Solitary plexiform neurofibroma of the eyelid without neurofibromatosis is a rare disease. We report a case of solitary plexiform pigmented neurofibroma of the eyelid without neurofibromatosis. Case summary: A 12-year-old male visited our clinic with a painless palpable subcutaneous mass on the right lower eyelid. He had a history of Batter syndrom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n initial presentation, clinical features regarding neurofibromatosis such as Lisch nodule, optic nerve glioma, or high myopia were not observed. We performed excision and biopsy of the lower lid mass under general anesthesia. Macroscopically, the tumor was 4.0 x 1.5 x 1.5 cm in size with irregular nodules. Microscopically, the tumor consisted of multiple, variably sized tortous enlarged nerve fascicles with clusters of pigmented cells. Immunohistochemical results revealed expression of S-100 protein. Pigmented cells express both S-100 and melan- A proteins, while nonpigmented cells express S-100 protein only. The tumor was finally diagnosed as plexiform pigmented neurofibroma. Dermatological evaluation revealed no evidence of systemic neurofibromatosis. Conclusions: Plexiform neurofibroma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n eyelid mass, even if the patient does not have a history or clinical features of neurofibromatosis. Plexiform neurofibroma can be successfully managed with surgical excision.

      • KCI등재
      • KCI등재

        마이봄샘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펄스광선조사기의 임상적 효과

        문자영(Ja Young Moon),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마이봄샘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펄스광선조사 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쇼그렌증후군 환자들 중 마이봄샘기능장애가 동반된 43명을 펄스광선조사 치료와 마이봄샘 압출을 함께 시행받은 복합치료군(22명)과 마이봄샘 압출만 시행 받은 단독치료군(21명)으로 분류하였다. 치료는 3주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치료 종료 6주 후 한 번 더 내원하였다. 내원 시마다 안구표면질환지수, 형광 및 비침습눈물막파괴시간, 눈물띠 높이, 쉬르머검사, 안구표면염색 점수, 마이봄샘 질 및 배출 점수, 마이봄 점수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복합치료군에서는 추가적으로 눈물막지질층을 평가하였다. 결과: 복합치료군에서 안구표면질환지수, 형광 및 비침습눈물막파괴 점수, 각막표면염색 점수, 마이봄 질 점수, 마이봄 점수와 눈물막지질층 등급은 치료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복합치료군과 단독치료군 모두에서 마이봄 배출 점수의 호전을 보였다(p<0.05). 결막표면염색 점수, 쉬르머검사, 눈물띠 높이는 두 치료군 모두 치료 전과 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종료 후 복합치료군이 단독치료군에 비하여 안구표면질환지수, 각막염색 점수, 마이봄 질 및 배출 점수는 유의하게 낮았고, 형광 눈물막파괴시간은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 마이봄샘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펄스광선조사 치료와 마이봄샘 압출 복합치료는 눈물막 및 안구표면지표의 개선뿐만 아니라 마이봄샘의 기능호전에도 효과가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reatment in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associated with Sjögren’s syndrom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3 patients with MGD and Sjögren’s syndrome. Patients received either IPL with meibomian gland expression (IPL/MGX) (n = 22) or MGX only (n = 21). Treatment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at a 3-week interval. Patients were followed up 6 weeks after the end of the treatment.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with fluorescein dye (FBUT),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tear meniscus height (TMH), Schirmer test, SICCA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meibum quality score (MQS), and meibum expression score (MES) were evaluated at each visit. Meibomian gland dropouts (meiboscore) and tear film lipid layer grade were measured using keratography. Results: OSDI, FBUT, corneal surface staining score, MQS, meiboscore, and tear film lipid layer grade improved after IPL/MGX treatment (p < 0.05). In both treatment groups, MES significantly improved (p < 0.01 and p < 0.05 for IPL/MGX and MGX groups, respectively). The Schirmer test score, conjunctival surface staining score, and TMH after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fter treatment, the IPL/MGX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OSDI, FBUT, corneal staining score, MQS, and MES, but higher FBUT, compared with the MGX group (p < 0.05). Conclusions: IPL treatment effectively improved tear film, ocular surface parameters, meibomian gland function, and lipid layer grade in patients with Sjögren’s syndrome and MGD.

      • KCI등재
      • KCI등재

        난치성 지속각막상피결손에서 양막추출물 점안액의 임상효과

        남정우(Jeoung Woo Nam),김종화(Jonghwa Kim),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 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난치성 지속각막상피결손 환자에서 양막추출물 점안액의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각막상피결손이 적어도 4주 이상 지속된 환자 16명, 16안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양막추출물 점안액을 하루 6회 점안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다. 양막추출물 점안액 치료 전, 치료 1개월째 그리고 치료 2개월째 최대교정시력, 안구통증점수, 각막지각점수, 각막상피결손 면적을 측정하였다. 치료 2개월 후 각막상피결손 면적이 모두 호전된 경우 효과적, 각막상피결손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남아있는 경우 부분 효과적, 각막상피결손 면적이 증가하여 추가적인 치료가 시행된 경우 효과 없음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양막추출물 점안액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 2개월째 최대교정시력(0.8 ± 0.5 vs. 0.6 ± 0.3 LogMAR, p=0.03)의 증가, 안구통증점수(4.3 ± 1.0 vs. 2.8 ± 0.7, p=0.04)의 감소, 각막상피결손 면적(5.2 ± 3.1 vs. 0.1 ± 0.1 mm2, p=0.01)의 감소를 보였다. 양막추출물 점안액 치료는 13안(81.3%)에서 효과적이었으며, 3안(18.8%)에서 일부 효과적이었다. 결론: 양막추출물 점안은 난치성 지속각막상피결손 환자에서 안구 증상을 완화시키고 각막상피회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mniotic membrane extract eye drops (AMEEDs) in patients with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PEDs) of the cornea. Methods: Sixteen patients with PEDs refractory to the conventional treatment were further treated with AMEEDs six times a day. Visual acuity, visual analog scale (VAS), esthesiometer score, and areas of the epithelial defects before and after 1 and 2 month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After 2 months, AMEEDs were considered effective if all epithelial defects were healed, partially effective if the epithelial defects decreased in size compared with the baseline, and ineffective if the epithelial defects increased in size and required additional treatment. Results: After 2 months of treatment with AMEEDs,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area of epithelial defects (5.2 ± 3.1 mm2 vs. 0.1 ± 0.1 mm2, respectively, p = 0.01), as well 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0.8 ± 0.5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vs. 0.6 ± 0.3 LogMAR, respectively, p = 0.03), and VAS scores (4.3 ± 1.0 vs. 2.8 ± 0.7, respectively, p = 0.04) compared with the baseline values. Treatment with AMEEDs was effective in 13 (81.3%) patients and partially effective in three (18.8%) patients. Conclusions: AMEEDs could stimulate epithelial wound healing and improve ocular symptoms in patients with refractory PED. Therefore, AMEEDs c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refractory PEDs.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340-1347

      • KCI등재

        Eikenella corrodens에 의한 감염각막염 1예

        문자영(Ja Young Moon),진형남(Hyung Nam Jin),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시기능을 상실한 눈에 발생한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에 의한 안내염으로 진행한 감염각막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우안의 각막궤양 과거력, 수포각막병증, 녹내장 등의 기저 안질환이 있는 65세 남자가 우안의 충혈 및 통증이 10일간 호전없이 악화되어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우안의 각막기질침윤 및 2 mm 높이의 전방축농이 관찰되었고, 안구 초음파검사상 유리체혼탁이 있었다. 각막찰과표본을 얻어 그람염색, 세균배양검사, KOH 도말검사 및 항생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하였다. 세균배양검사상 아이케넬라 코로덴스가 검출되었으며 치료 5일 후 각막천공 및 안내염에 대해 유리체강내 세프타지딤 주사 요법 및 히스토아크릴접착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2개월째부터 임상적으로 각막에 누출 없이 안구 유지되었다. 결론: 기저 안질환이 있는 경우, 감염각막염의 원인균으로 혐기성 정상 상재균인 아이케넬라 코로덴스 또한 고려해보아야 한다. 국내에서 보고된 적 없는 아이케넬라 코로덴스에 의한 감염각막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infectious keratitis caused by Eikenella corrodens in a patient who lost visual function. Case summary: A 65-year-old male with histories of a corneal ulcer, glaucoma, and bullous keratopathy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redness and pain in his right eye for the past 10 days.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stromal infiltration, a 2-mm-high hypopyon, and severe inflammation of the anterior chamber. Vitreous opacity was evident on ocular ultrasonography. Culture of corneal scrapings yielded Eikenella corrodens. After 5 days of antibiotic treatment, ceftazidime was injected intravitreally and histoacryl glue applied to treat the corneal perforation and the endophthalmitis. Two months later, the eye was not inflamed. Conclusions: Eikenella corrodens should be considered a possible pathogen when a patient with an underlying ocular disease presents with infectious keratitis. A corneal ulcer caused by Eikenella corrodens has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in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전층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진균각막염의 임상양상

        박도희(Do Hee Park),남정우(Jeoung Woo Nam),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전층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진균각막염의 임상양상과 위험인자, 치료 경과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전층각막이식술 후 진균각막염이 발생한 환자 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연령, 기저질환, 각막이식의 적응증, 증상 발생으로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 감염시 및 치료 후 시력, 감염 전 이식 각막의 상태, 봉합사 관련 여부, 각막상피결손의 크기 및 각막침윤 깊이, 전방축농 여부, 감염 전 사용 안약, 미생물배양검사 결과 등의 임상지표를 조사하였다. 또한 진균각막염 치료 결과에 따라 치료 성공군 및 실패군으로 나누어 이에 대한 위험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층각막이식술을 받은 후 평균 55.31 ± 44.72개월 후에 진균각막염이 발생하였다. 증상 발생으로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은 평균 10.33 ± 7.36일이었다. 전체 18명의 환자 중 5명(27.8%)이 치료 성공이군, 13명(72.2%)이 치료 실패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치료실패군 중 7명(38.9%)이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았다. 감염 전 발생한 이식 실패 상태, 증상 발생 후 내원까지의 소요 시간, 각막상피결손의 크기가 치료 실패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모두 p<0.05).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치료 실패의 위험인자는 이식 실패 상태(p=0.046)였다. 결론: 감염 발생 전 각막 상태, 증상 발생 후 내원까지의 기간, 각막상피결손의 크기가 전층각막이식 후 발생한 진균 감염의 예후와 관련이 있으며, 치료 실패와 연관된 위험인자는 감염 전 이식 실패 상태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isk factors of fungal keratitis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experienced fungal keratitis after PKP between January 2005 and January 2020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age, underlying disease, indication for PKP, symptom duration, visual acuity, graft state before infection, suture-related problems, size of epithelial defect, depth of infiltration, presence of hypopyon, use of eyedrops before infection, and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tests were analyze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treatment success or failure group, and the risk factors were evaluated accordingly.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63.94 ± 15.53 years. Fungal infection occurred a mean of 55.31 ± 44.72 months after PKP. The mean symptom duration was 10.33 ± 7.36 days. Of the 18 patients, 5 (27.8%) and 13 (72.2%) were in the treatment success and failure groups, respectively. Of the treatment failure group, seven patients (38.9%) underwent surgical management. The graft state before infection, symptom duration, and size of epithelial defec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reatment failure (all p < 0.05).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graft state (p = 0.046)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reatment failure. Conclusions: Graft state before infection, symptom duration, and size of epithelial defects were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of fungal keratitis after PKP. Graft state before infection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reatment failure.

      • KCI등재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 조사

        박도희(Do Hee Park),진형남(Hyung Nam Jin),윤희수(Hee Su Yoon),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7

        목적: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6개월 이상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을 사용한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성별, 나이, 사용 안약의 수, 약물 사용 시 부작용, 스테로이드 점안액의 사용 유무, 외래진료 간격을 조사하였으며, 안구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수치, 각막형광염색점수를 평가하였다. 대상 환자를 순응도 50% 기준으로 나누어, 순응도가 좋은 군과 좋지 않은 군에 따른 관련 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67명의 환자 중 순응도가 좋은 군은 36명(53.7%), 순응도가 좋지 않은 군은 31명(46.3%)이었다. 경과 관찰 6개월째, 순응도가 좋은 군에서 순응도가 좋지 않은 군에 비해 긴 눈물막파괴시간(p=0.03) 및 낮은 각막형광염색점수(p=0.04)를 보였다. 부작용 발생 비율은 39명(58.2%)이었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의 종류는 찌르는 듯한 통증(71.8%)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건성안 증상이 심한 경우(p=0.03),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p=0.02), 외래진료 간격이 긴 경우(p=0.02)가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의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인자로 건성안 증상이 심한 경우, 외래진료 간격이 긴 경우,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인자들을 고려하는 것이 순응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Purpose: To evaluate the compliance with 0.1% cyclosporine A in dry 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omplianc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7 dry 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who had used 0.1% cyclosporine A for over 6 months.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sex, age, the number of eye drops used, side effects, the use of steroid eye drops, and the visit interval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tear break-up time (TBUT), Schirmer test score, and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CFS) score were assesse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compliant and non-compliant groups, using a criterion of 50% compliance; relevant factors were evaluated accordingly. Results: Of the 67 patients, 36 (53.7%) were classified into the compliant group and 31 (46.3%) into the non-compliant group. Compared to the non-compliant group, the compliant group showed a longer TBUT (p = 0.03) and a lower CFS score (p = 0.04) at 6 months of follow-up. Altogether, 39 subjects (58.2%) experienced side effects, of which the most common was stinging pain (71.8%).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evere dry-eye symptoms (p = 0.03), non-use of the steroid eye drops (p = 0.02), and longintervals between exam vitists (p = 0.02)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ducing compliance. Conclusions: Factor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compliance with 0.1% cyclosporine A in dry-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included severe dry eye symptoms, long visit intervals, and non-use of steroid eye drops. Taking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may help increase patient compliance.

      • KCI등재

        위눈꺼풀수술 후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이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남정우(Jeoung Woo Nam),박도희(Do Hee Park),윤현정(Hyeon Jeong Yoon),윤경철(Kyung 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무방부제성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이 위눈꺼풀수술 후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위눈꺼풀수술을 시행 받은 43명의 환자를 수술 후 무방부제성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을 사용한 A군(23명 23안), 사용하지 않은 B군(20명 20안)으로 분류하였다. 안구 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플루레신을 이용한 각막염색점수, 마이봄샘 질 및 배출 점수, 마이봄점수를 수술 전과 수술 후 1주째, 1개월째 및 2개월째 각각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구 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점수는 A군에서 수술 전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 후 1주일째 증가(p<0.05)하였다가 수술 후 1개월째 및 2개월째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군에서 안구 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점수는 수술전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 후 1주일째 및 1개월째 증가(p<0.05)하였다가 수술 후 2개월째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1개월째 안구 표면질환지수(p=0.03)와 각막염색점수(p<0.01)는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눈물막파괴시간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쉬르머검사 수치, 마이봄샘 질 및 마이봄샘 배출 점수, 마이봄점수는 각 군 내에서 수술 전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기간 동안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위눈꺼풀수술 후 무방부제성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은 초기 안구건조증 증상과 안구 표면 손상의 빠른 완화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preservative-free 0.15% sodium hyaluronate eye drops on the ocular surface after upper eyelid surger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3 patients who underwent upper eyelid surgery between December 2018 and May 2019.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A (those treated with preservative-free 0.15% sodium hyaluronate eye drops) and group B (the control group).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core (OSDI), tear break up time (TBUT), Schirmer’s test, corneal staining score (CSS), meibomian gland (MG) quality, MG expressibility, and meiboscore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at 1 week, 1 month, and 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In group A, OSDI and TBU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t 1 week after surgery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all p < 0.05). In group B, OSDI, TBUT, and C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all p < 0.05),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at 2 months after surgery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At 1 month after surgery, OSDI (p = 0.03) and CSS (p < 0.01)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within-group differences in Schirmer’s test values, MG quality, MG expressibility, or meiboscor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over time. Conclusions: Preservative-free 0.15% sodium hyaluronate eye drops were shown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early dry-eye symptoms and ocular surface damage after upper eyelid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