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희토원소 세륨과 란타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

        조종관,윤구,김영우,김진수,김광현,권일경,채병조,Jo, Jong-Kwan,Yun, Ku,Kim, Young-Woo,Kim, Jin-Soo,Kim, Kwang-Hyun,Kwon, Il-Kyung,Chae, Byung-Jo 한국가금학회 2009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희토 성분인 Ce(cerium)과 La(lanthanium)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실용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골격성분, 그리고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일령 Hubbard종 암평아리(체중 45 g) 1,60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10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4개 처리구는 T1, 무첨가 대조구; T2, Ce 100 ppm 첨가구; T3, La 100 ppm 첨가구; T4, Ce 100 ppm과 La 100 ppm 혼합 첨가구로 하였으며, 전기(0~3주)와 후기(4~5주)로 나누어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기의 증체량은 T4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 기간에서도 T4의 증체량이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각 단계 및 전체기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전기에서 T4가 T3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며(p<0.05), 후기에는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p>0.05) 전체기간으로 볼 때 T4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소화율에서 건물 소화율은 T3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2와 T4도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가 가장 높았으며(p<0.05), T2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조회분, 에너지, 칼슘과 인의 소화율도 T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성분 분석에서 칼슘의 함량은 Ce과 La을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도체 성상 조사와 육색의 측정에서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육계 사료내 La의 첨가는 영양소 소화율을 뚜렷하게 개선하였다. 또한 육계 사료내 Ce과 La의 첨가는 육계의 소화율을 개선시켰으며, 육성 초기의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erium (Ce), a rare ear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lanthanium (La), a rare earth, in the basal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one composition, breast meat compositi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1,600 day-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four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CON (control diet), T2) 100 ppm Ce, T3) 100 ppm La, T4) 100 ppm Ce+100 ppm L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mong dietary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0 to 5 weeks). Body weight gain for the first three weeks was greater in birds T4 than birds fed T3 diet.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better in birds fed T4 diet (p<0.05) than birds fed T3 diet during 0~3 weeks, and better FCR for 0~5 weeks was noticed in birds fed T4 diet than birds fed T1 diet. Nutrient digestibility was greatest in birds fed T3 diet (p<0.05)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Bone compositi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 supplementation, alone and combination with La could improve performance of broilers.

      • KCI등재

        마늘 추출물(Garlic Extract)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종관,윤세영,김진수,김영우,윤구,권일경,채병조,Jo, Jong-Kwan,Yoon, Se-Young,Kim, Jin-Su,Kim, Young-Woo,Yun, Ku,Kwon, Il-Kyung,Chae, Byung-Jo 한국가금학회 2009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마늘 추출물(GE)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1일령 Hubbard 종 Broiler(체중 $44.72{\pm}1.76\;g$) 1,200수를 공시하여 3처리 4반복, 반복당 10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3개의 처리구는 각각 대조구, 마늘 추출물 (GE) 100 ppm, 200 ppm 첨가구로 나누어, 육계 전기(0~3주)와 육계 후기(4~5주) 총 5주 동안 사양 시험을 진행하였다. 마늘 추출물(GE) 100 ppm과 200 ppm을 사료에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에서는 GE 1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증되지 않았다(p>0.05). 후기의 사료 요구율은 GE 1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GE 100 ppm 첨가구와 GE 200 ppm 첨가구의 건물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산패도는 계육의 보존 기간을 늘려주는 주요한 요소인데, 마늘 추출물 급여시 계육의 산패도가 저장 8일과 12일차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 측정에서는 가슴살의 명도, 적색도와 황색도를 조사하였는데, 명도에서 GE 2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의 결과 육계 사료 내 GE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육의 보존 기간을 늘려주는 주요한 요소인 산패도와 소비자들의 기호성을 높여주는 육색(명도)을 개선시킨 것으로 볼 때 육계 사료 내 GE의 첨가는 계육의 육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rlic extract (G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in broilers. Dietary treatment were control (corn-soy based diet, 0 ppm), and diets added with 100 or 200 ppm GE. Starter and finisher diets were fed from 0 to 3 wk and 4 to 5 wk, respectively. Supplementation of GE had no effect on weight gain, but there was trend towards improvement in growth rate in birds fed diets containing 100 ppm GE during overall period, while birds fed 100 ppm GE had better feed efficiency (p<0.05) than birds fed control diet during finisher period. Birds fed GE had greater (p<0.05) nutri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than birds fed control diet. The TBARS values of breast muscle obtained from birds fed 100 and 200 ppm GE were lower than breast muscle of control birds on day 8 and 12 of storage. The breast muscle of birds fed 200 ppm GE had higher (p<0.05) $L^*$ values than breast muscle of birds fed control and 100 ppm GE diets.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and bone composition, CIE $a^*$ and $b^*$ values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GE enhanced feed efficienc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broilers.

      • KCI등재

        희토원소 세륨과 란타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

        조종관(Jong Kwan Jo),윤구(Ku Yun),김영우(Young Woo Kim),김진수(Jin Soo Kim),김광현(Kwang Hyun Kim),권일경(Il Kyung Kwon),채병조(Byung Jo Chae)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희토 성분인 Ce(cerium)과 La(lanthanium)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실용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골격성분, 그리고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일령 Hubbard종 암평아리(체중 45g) 1,60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10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4개 처리구는 T1, 무첨가 대조구; T2, Ce 100 ppm 첨가구; T3, La 100 ppm 첨가구; T4, Ce 100 ppm과 La 100 ppm 혼합 첨가구로 하였으며, 전기(0~3주)와 후기(4~5주)로 나누어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기의 증체량은 T4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 기간에서도 T4의 증체량이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각 단계 및 전체기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전기에서 T4가 T3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며(p<0.05), 후기에는 각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p>0.05) 전체기간으로 볼 때 T4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소화율에서 건물 소화율은 T3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2와 T4도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가 가장 높았으며(p<0.05), T2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조회분, 에너지, 칼슘과 인의 소화율도 T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성분 분석에서 칼슘의 함량은 Ce과 La을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도체 성상 조사와 육색의 측정에서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육계 사료내 La의 첨가는 영양소 소화율을 뚜렷하게 개선하였다. 또한 육계 사료내 Ce과 La의 첨가는 육계의 소화율을 개선시켰으며, 육성 초기의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erium (Ce), a rare ear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lanthanium (La), a rare earth, in the basal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one composition, breast meat compositi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1,600 day-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four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CON (control diet), T2) 100 ppm Ce, T3) 100 ppm La, T4) 100 ppm Ce + 100 ppm L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mong dietary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0 to 5 weeks). Body weight gain for the first three weeks was greater in birds T4 than birds fed TI diet.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better in birds fed T4 diet (p<0.05) than birds fed T3 diet during 0~3 weeks, and better FCR for 0~5 weeks was noticed in birds fed T4 diet than birds fed T1 diet. Nutrient digestibility was greatest in birds fed T3 diet (p<0.05)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Bone compositi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 supplementation, alone and combination with La could improve performance of broilers.

      • KCI등재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조종관(Jong Kwan Jo),김진수(Jin Soo Kim),윤구(Ku Yun),김영우(Young Woo Kim),김광현(Kwang Hyun Kim),권일경(Il Kyung Kwon),채병조(Byung Jo Chae)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사료 중 콜로이드 은(colloidal silver) 또는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 REE)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성상, 골격 성분 함량 및 강도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1일령 Ross종 육계병아리(체중 39~40 g) 3,872수를 공시하여 무첨가 대조구, 콜로이드 은 20 ppb 첨가구, 희토류 원소 500 ppm 첨가구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의 4처리구에 4반복으로 반복당 242수씩 완전 임의 배치 급여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5주)동안의 증체량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두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사료 섭취량과 사료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과 조단백질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과 칼슘의 소화율에서도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강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뼈의 건물 함량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인의 함량은 희토류 원소 단독 급여시에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성상과 면역 반응 조사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희토류 원소의 단독 첨가와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혼합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rare ear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colloidal silver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3,872 day-old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re were four pens per treatment and 242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1) CON (control diet), T2) colloidal silver (control diet+20 ppb colloidal silver), T3) rare earth elements (control diet+500 ppm rare earth), T4) colloidal silver +rare earth elements (control diet+20 ppb colloidal silver+500 ppm rare ea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among dietary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0 to 5 weeks). Body weight gain was greatest in birds fed T3 and T4 diets (p<0.01).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calcium were greatest in birds fed T4 diet (p<0.05), while apparent digestibility of phosphorus was lowest in birds fed T3 die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strength,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among dietary treatments. Dry matter content of bone was greatest in birds fed T4 diet (p<0.05), and phosphorus content of bone was greater in birds fed T3 diet than in birds fed T2 and T4 diets (p<0.05).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are earth elements supplementation,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colloidal silver could improve performance of broilers.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고령토(천연목질점토)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 Jin Soo Kim ),조종관 ( Jong Kwan Jo ),윤세영 ( Se Young Yoon ),윤구 ( Ku Yun ),권일경 ( Il Kyung Kwon ),채병조 ( Byung Jo Cha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토(Kaolin)의 수준별 급여(실험 1)와 주령이 서로 다른 산란계의 수준별 급여(실험 2)가 산란계의 성적, 난품질 및 난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58주령 산란계 총 64수를 이용하여 고령토 0.0, 0.2, 0.4 및 0.6% 급여구로 구분하였다. 실험 2에서는 두 가지 주령(30과 58주령)의 산란계와 세 가지 수준(0.0, 0.2 및 0.4%)의 고령토를 2×3 요인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 고령토를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하면 사료섭취량이 적어지고 사료요구율과 산란율이 개선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난품질과 난각의 품질에는 고령토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질고령토의 첨가는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산란율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첨가수준은 30주령에서는 0.2%, 58주령에서는 0.2, 0,4%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different levels of kaolin(Exp. 1) and effects of age of layers and levels of kaolin(Exp. 2) on the performance, egg and shell quality parameters of laying hens. In Exp.1, 64 laying hens of 58 wks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f 16 hens in each.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0, 0.2, 0.4 and 0.6% kaolin. In Exp. 2 96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16 hens each in a 2×3 factorial arrangement(two different ages, 30 and 58 wk and three levels of kaolin, 0.0, 0.2 and 0.4%). In both the experiment there were linear decreases in feed intake(P<0.001), improvement in FCR(P<0.05), and egg production(P<0.05), with increasing dietary kolin level. Supplementation of kaolin had no effect on the egg and shell quality parameters in both experiments. Thus, it is concluded that kaolin may improve performance, and 0.2% level showed the best laying performance.

      • KCI등재

        마늘 추출물(Garlic Extract)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종관(Jong Kwan Jo),윤세영(Se Young Yoon),김진수(Jin Su Kim),김영우(Young Woo Kim),윤구(Ku Yun),권일경(Il Kyung Kwon),채병조(Byung Jo Chae)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마늘 추출물(GE)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1일령 Hubbard 종 Broiler(체중 44.72±1.76g) 1,200수를 공시하여 3처리 4반복, 반복당 10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3개의 처리구는 각각 대조구, 마늘 추출물(GE) 100 ppm, 200 ppm 첨가구로 나누어, 육계 전기(0~3주)와 육계 후기(4~5주) 총 5주 동안 사양 시험을 진행하였다. 마늘 추출물(GE) 100 ppm과 200 ppm을 사료에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에서는 GE 1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증되지 않았다(p>0.05). 후기의 사료 요구율은 GE 1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GE 100 ppm 첨가구와 GE 200 ppm 첨가구의 건물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산패도는 계육의 보존 기간을 늘려주는 주요한 요소인데, 마늘 추출물 급여시 계육의 산패도가 저장 8일과 12일차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 측정에서는 가슴살의 명도, 적색도와 황색도를 조사하였는데, 명도에서 GE 200 pp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의 결과 육계 사료 내 GE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육의 보존 기간을 늘려주는 주요한 요소인 산패도와 소비자들의 기호성을 높여주는 육색(명도)을 개선시킨 것으로 볼 때 육계 사료 내 GE의 첨가는 계육의 육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rlic extract (G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in broilers. Dietary treatment were control (com-soy based diet, 0 ppm), and diets added with 100 or 200 ppm GE. Starter and finisher diets were fed from 0 to 3 wk and 4 to 5 wk, respectively. Supplementation of GE had no effect on weight gain, but there was trend towards improvement in growth rate in birds fed diets containing 100 ppm GE during overall period, while birds fed 100 ppm GE had better feed efficiency (p<0.05) than birds fed control diet during finisher period. Birds fed GE had greater (p<0.05) nutri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than birds fed control diet. The TBARS values of breast muscle obtained from birds fed 100 and 200 ppm GE were lower than breast muscle of control birds on day 8 and 12 of storage. The breast muscle of birds fed 200 ppm GE had higher (p<0.05) L* values than breast muscle of birds fed control and 100 ppm GE diets.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and bone composition, CIE a* and b* values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GE enhanced feed efficienc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broi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