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윤경아(Yoon, Kyeonga),이윤화(Lee, Yonhwa),이익섭(Lee, Icksoep)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3

        이 글의 목적은 장애노인을 위한 서비스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애유형별로 그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필요한 서비스들에 차이가 있다면, 장애유형에 따라 어떤 서비스들이 집중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장애유형별로 장애노인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및 향후 필요한 서비스 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춤으로써 장애유형에 따른 서비스 및 정책개발에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167명의 60세이상 시각/청각/지체장애노인이다. 장애유형별로 보다 효과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시각장애노인의 경우는 전화조사를, 지체장애노인의 경우에는 대면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노인인 경우에는 수화를 하는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수화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의 장애유형에 따라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과 여가활동 참여도, 생활만족도, 문제의 심각도, 서비스 인지율/이용률/욕구의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각장애노인의 경우 가정봉사원과 보장구 지원에 대한 서비스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청각장애노인의 경우에는 정보접근성 보장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지체장애노인은 건강증진과 관련된 서비스에 강한 욕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장애노인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개발 방향이 장애유형에 따라 특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a) to examine social service needs and (b) to develop better social 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who are handicapp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for 167 noninstitutionalized elders in 1998.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Ls/IADLs, social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severity of problem, and perception, usage, needs of services upon types of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sabled elderly with sense of sight have strong needs for home helpers. The disabled elderly with sense of hearing were eager to get information easily, and the physically disabled elders were very interested in improving their health and the related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result, we propose specialized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development for the disabled elder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andicap.

      • KCI등재

        치매노인 가족부양자 미충족 욕구 척도타당화 연구

        윤경아(Kyeonga Yoon),손의성(Euiseong Soh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70

        본 연구의 목적은 Gaugler 외(2004)가 개발한 치매노인 가족부양자 미충족 욕구 척도(Measure of Unmet Need)를 한국의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미충족 욕구 척도는 돌보는 치매노인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든 시설에서 생활하든 상관없이 또 돌보던 치매노인이 사망한 후에도 가족부양자의 미충족 욕구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대전과 충청지역의 주간보호센터 18곳과 방문요양기관 5곳을 통해 200명의 치매노인 가족에게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67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2문항으로 구성된 한국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미충족 욕구 척도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이 척도는 ‘일상생활지원1(ADL)’, ‘일상생활지원2(IADL)’, ‘증상’, ‘케어시간’, ‘공적지원’, ‘케어정보’, ‘친교’의 7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Cronbach`s α 값이 .870으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으며, 최종 모형의 적합도지수 CFI가 .959, TLI가 .953, 그리고 RMSEA가 .051으로 적합한 수준의 타당도로 나타났다 또한 수렴타당성 및 판별타당성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 of Unmet Need originally developed by Gaugler and his collegues(2004) for dementia caregivers. The Measure of Unmet Need is a unique measure of unmet need of dementia caregivers at home, following institutionalization, following the death of the care recipient. For data collec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18 adult day-care centers and 5 home-visit long-term care management agenc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 province which resulted in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being distributed and 167 questionnaires returned for the final analysis. By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Measure of Unmet Need Scale was developed which consist of 32 items. This scale include the following seven factors: ‘Hel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1’, ‘Hel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2’, ‘Dementia symptoms``, ‘Timing of care``, ‘Formal support``, ‘Information of care``, ‘Confidante``. The Cronbach`s alpha estimate of the scale was .861. This scale of seven factors model exhibited acceptable fit, assessed by overall fit measure criteria(CFI=.959, TLI=.953, RMSEA=.051). Also, this scale met the criteria of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se results proved the validity of the scale.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경호 ( Gyeongho Jang ),윤경아 ( Kyeonga Yoon ),심우찬 ( Woochan Sh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과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역할태도가 공동의존성과 소진과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대전·충청 지역의 사회복지종사자 중 2년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판단표집 하였으며, 총 36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지역별 분포는 대전 139곳, 충청 41곳이었으며, 시설유형별 분포는 생활시설 45곳, 이용시설 135곳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은 미약한 수준이 18.8%, 가벼운 수준이 65.2%, 중간수준이 15.8%, 심각한 수준이 .3%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과 시설유형에 따른 공동의존성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면 남자와 여자의 전체 공동의존성 수준은 차이가 없게 나타났지만, 공동의존성의 하위영역인 자아숨김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유형별 전체 공동의존성 수준은 생활시설 종사자가 이용시설 종사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의존성의 하위영역인 타인집중 및 자기부정과 자아숨김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의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은 소진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역할태도가 공동의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해본 결과, 공동의존성과 성역할태도의 상호작용변수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동의존성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전통적 성역할태도 집단은 근대적 성역할태도 집단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준의 소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라 소진의 수준이 달라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닌 집단이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닌 집단보다 소진을 보다 유연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의존성과 소진 예방을 통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돕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level of codependency among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since codependency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has not been explored much in Korea. Second purpose is to examine whether codependency affects the level of burnout. Last purpose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x-role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dependency and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1th of December in 2014 until the 28th of February in the following year.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are professionals practicing in social work institutions in Daejeon City and Choongcheong province, via email and mail. In addi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at several continuing education training venues.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CODAT(Codependency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Hughes-Hammer and colleagues in 1998,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in 1981, and SRA(Sex Role Attitude) developed by Osmond and Maryin in 1975. In total, 368 survey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include that gende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codependency, however, male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 than female in one of subscales of codependency called hiding oneself. Workers in the residential settings showed higher level of codependency than those in non-residential settings, especially in the subscale of Other focus or Self-neglect. Codependency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Burnout. Among the five-factor structure of the CODAT, Medical problem, Low Self-worth and Family of Origin showe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Burnout scor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role Attitud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dependency and burnout. Conservative sex-role attitude amplified the level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dependency and burnout. Based on the result,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made in order to prevent burnout among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