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의 식생대 변동과 해안지형 변화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창일,윤한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04

        본 연구는 진우도 전면해안에 대해 퇴적 및 침식이 우세한 두 개의 시험구를 설정하고 DGPS와 레벨을 이용한 정밀 지형측량을 실시하여 시험구 내의 지형변화량을 산출하고 동일 시점에 계측된 식생대 변동과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 전면에서 태풍이 내습하지 않는 시기에는 지형변동량이 0.1 m 내외였으나, 태풍이 내습한 시기의 지형변동량은 0.3 m 이상이었다. 이들 시기에서 식생대는 계속해서 외해방향으로 전진하였으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research interaction bewteen topographic variation and change cf vegetation belt So, we made the test area is called Site-A at Jinudo in Nakdong River Estuary and conducted detailed topographic survey it using the DGPS..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I) - 춘계 국지 해양파랑과 기상인자 -

        유창일,윤한삼,박효봉,Yoo, Chang-Il,Yoon, Han-Sam,Park, Hyo-B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주변해역의 파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7년 춘계(4월, 5월)에 낙동강 하구 중앙 해상 지점에서 관측된 파랑자료와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에서 동일시점에 관측된 결과와 비교 검증하고 관측기간동안의 두 지점에서의 기상인자(기압, 기온, 풍속 및 풍향)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07년 춘계(4월과 5월)의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 파랑 관측자료가 최대파고 약 3-4m, 유의파고 약 2m, 주기 약 5-8sec의 범위에 해당하는 반면에 낙동강 하구에서의 파랑 관측자료는 파고가 대체적으로 1m미만의 상태로 정온한 상태를 보이며 주기는 4-7sec의 범위를 가진다. (2) 춘계 파랑 관측자료에서 바람에 의한 파랑 감쇄가 없을 경우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에서부터 천수 또는 굴절에 의한 파랑변형의 효과로 인해 낙동강 하구 중앙부까지 파랑이 전달되면서 최대파고값은 약 2.2m, 유의파고값은 약 1.3m정도 감소된다. (3) 낙동강 하구역으로 내습하는 해양파랑은 대상해역의 기상조건, 특히 바람의 영향(풍속 및 풍향)에 따라서 증감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풍향이 역풍이 부는 경우 유의파고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풍속이 클수록 그 감소 기울기도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wave transformation in the shallow water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ue to variations in air pressure, air temperature,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weather factors and wind waves in offshore regions near Geoje Island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April and May 2007. The weather and wind wav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automatic ocean observation buoy near Geoje Island operat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For the estuary region, the wind wave information was the result of field observations, and weather data were obtained from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eld observations of water waves in April and May showed that the maximum wave height decreased by about 2.2 m. M oreover, wave h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by about 1.3 m due to the reduction in wave energy caused by the water waves propagating from Geoje buoy to the Nakdong River estuary. We conclude that offshore or wind waves coming into the Nakdong River estuary showed considerable height variation due to the prevailing weather conditions, especially wind speed and direction. In particular, headwinds tended to decrease the wave siz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wind speed.

      • 외해 해조류대량양식 및 생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념설계 연구

        유창일,Theppichai Payuda,김헌태(Heon-Tae Kim),류청로(Cheong-Ro Ryu)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6

        A word-wide overview is presented of the current state of mass cultivation of seaweeds. In comparison with a total annual commercial production of fish, crustaceans and molluscs of about 120*106ton, of which one-third is produced by aquaculture, the production of seaweeds is about 10*106ton wet weight; the majority of this comes from culture-based systems. Also, in recent years, several reports have investigated the possible use of seaweed as a renewable source and analyzed such a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energy from seaweed biomass. This study describes conceptual design for constructing offshore biomass and was carried out measured wave and current conditions at the test farms in Gijang and Wando. The results of current conditions both of them are 34~40 cm/sec by observation, 43~57 cm/sec by numerical simulation, and of maximum wave height conditions are 8~9 m in Gijang, 3~4 m in Wando, respectively. We considered more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to analyze detailed data for high efficiency biomass culturvation system of seawe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해안부유쓰레기 거동

        유창일,윤한삼,김규래,Yoo, Chang-Ill,Yoon, Han-Sam,Kim, Gyou-Tae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범위를 유지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behavior(movement)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rine debris flowing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tracking model on the conditions of the maximum water discharge outflow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during the passage of typhoon Maemi in 2003.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particl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floating marine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reached a stable state at 72 hours after the typhoon had passed, during the flood period of river discharge. The quantity of floating particles distributed on the east coast of Gadeok and Jinu Islands increased by 40% at 33 hours after starting the model, while the change in other sea areas was 20-40%.

      • KCI등재

        소비자의 보석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식, 가치 및 구매패턴의 독특성을 중심으로

        유창,우제성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4

        The consumption of jewelry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daily lives and prior researches on jewelry consumption have focused on differences in purchase and usage patterns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and so on. However, remarkab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why consumers possessing and consuming jewelry. Thus we attempted exploratory research to underst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experiences about consumers’s jewelry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cided to employe ethnography as a guiding principle, collected in-depth data employ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s a data collection method, and analyzed various aspects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hile consuming jewelry from consumers’ perspectiv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ith 27 and 22 informants. As a result, we developed three major themes about jewelry consumptions. We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 various types of values such as utilitarian, hedonic and symbolic values and those values those value perceptions have been changes by personal life stages. In addition, unique patterns at purchase situations have been recognized. We provided in-depth description along with these three major themes. Lastly,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 results,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nagers, clarified study limitations from data collection metho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보석의 소비는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왔고 그에 따라 보석 관련 선행연구들은 보석 구매 행태와 관련된 인구 통계적 요인별 차이를 분석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사람들이 보석을 왜 소유하고 소비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보석소비에 대한 심리적 동기와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에스노그라피를 연구방법의 기본 원리로 채택하고, 면접과 관찰이라는 자료수집방법을 이용해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한 다음, 소비자 관점에서 보석 소비시 느끼는 다양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2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고 19명을 대상으로 동행구매 관찰을 진행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보석 소비와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로 세가지를 선정하였다. 소비자들은 보석을 사용하면서 실용적 가치(자산 가치, 생활의 필수품), 쾌락적 가치(꾸미는 즐거움, 패션의 완성, 나의 분신) 및 상징적 가치(부와 지위의 상징, 특별한 의미의 전달과 저장, 개성의 표현, 주술적 의미) 등과 같은 다양한 가치를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보석에 대한 가치인식은 생애주기별로 변화되고 있었다. 또한, 보석 구매상황에서 소비자들의 독특한 패턴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가지 주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관리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從韓國古代文人名字組合 看中華文化的影響

        劉暢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5 No.-

        예로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문인들은 어렸을 때부터 한자를 공부해서 중국 경전과 문장을 다양하게 외웠다. 이 뿐만 아니라 본국의 독특한 상황에 대해 모국어가 아닌 한자로 자연스럽게 문장을 쓸 수 있었고, 찬란한 문학과 문화를 창조하였다. 한국 문인들이 중국 문화에게서 깊은 영향을 받았으니, 자신의 이름과 자(字)도 중국 문인처럼 만들었다. 중국에서는 동한(東漢) 시대 허신(許慎)이 먼저 사람의 이름과 자로 훈고(訓詁) 자료를 삼아 활용하여, 지금까지 중국 문인 이름과 자의 관계를 해석하는 전통이 있다. 그러나 중국이나 한국에서 고대 문인의 이름과 자의 연구에 대해 관심을 가진 학자가 많지 않다. 한국에서 先賢들의 字와 號 라는 책이 나왔는데, 이름과 자에 대한 해석이 전면적인 명자 훈고를 바탕으로 하지 않아서, 조금은 아쉬웠다. 필자는 한국 고대 문인의 이름 1,034개와 자 997개를 해석한 적이 있는데, 그중에 대략 940세트의 이름과 자가 포함되었다. 이 논문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고대 문인 이름과 자의 조합 방식을 귀납하겠다. 즉, 1)이름과 자의 뜻이 가깝다. 2)이름과 자의 뜻이 상반된다. 3)이름과 자가 같은 종류이다. 4)자가 이름의 속성과 특징이거나 이름이 자의 속성과 특징이다. 5)이름이 자에 속하다든가 자가 이름에 속한다. 6)이름과 자가 유교 경전에서 글자를 얻는다. 7) 이름과 자가 노장 책에서 글자를 얻는다. 8) 이름과 자가 저명한 글에서 글자를 얻는다. 9)이름과 자가 역사 고사(故事)에서 뜻을 얻는다. 10)어떤 사건을 바탕으로 이름과 자를 작성한다. 11)중국이나 한국 고대 사람을 경모해서 그 사람과 상관한 것으로 이름과 자를 만든다. 12)華夏 문화를 경모하는 사상으로 이름과 자를 만든다. 13)한자의 자형 구조로 이용해서 이름과 자를 만든다. 14)이름에 허자(虛字) 하나를 붙여 자를 만든다. 통계를 통해보면 한국 문인들의 이름과 자의 조합 방식 가운데 가장 많이 활용된 방식은 다음과 같은 3종이다. a)유교 경전에서 얻기(상술한 제5조) b)한자의 뜻을 바탕하기(상술한 제1,2,3,4,5조) c)선현을 경모하기(상술한 제11조). 그 원인을 탐구하려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우선은 유교 경전에서 이름과 자를 얻는 방식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유는 한국에서 유학(儒學)이 크게 발달하여 경전이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깊이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교경전을 주로 시험하는 과거제도를 시행하였기 때문이다. 옛날에 국왕도 평소에 경전을 공부하고 글을 쓸 때 자주 경전을 인용하였다. 국왕이 모범을 보여 아랫사람이 본을 받으니까 유교경전의 공부를 크게 추진하였다. 두 번째로는 한자의 뜻을 이해해야 한문 전적을 읽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자의 자형과 뜻을 잘 장악하는 것이 책을 열람하거나, 과거시험에 참가하는 전제조건이다. 그 다음으로 한국 문인들이 어떤 선현을 경모하는지 탐구해보면, 유학, 특히 주자학(朱子學)이 한국 문인들, 특히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중국에게는 한국이 외국(外國)이지만, 한국 문인들이 중화문명에 대해 타고난 공동체 정신과 유대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름과 자의 여러 가지의 조합 방식 가운데 화하(華夏)를 경모하는 현상이 가장 주목을 끌다. 이 논문은 한국 문인들의 중화 문화에 대한 경모를 밝혀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주자학이 성행하는 시대의 사조도 밝혀내었다. In ancient times, Korean literature people made their name and Za(字) mostly like Chinese person. And that is one of the display of the deep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I have explained 1034 names and 997 Za of ancient Korean literature people, which contains 940 combinations of name and Za. In this essay, I will generalize the 14 modes of combination from that. Then statistically study on the 3 mode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ones. At last, I will develop further and explain it.

      • Cross Groove형 등속조인트의 섭동 저항(PR)에 관한 다물체 동역학 해석

        유창범(Changbeom Yu)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3 No.11

        Constant velocity joints in automobiles have been used as important parts that transmit torque from a transmission to wheel. They are classified as plunge type and fixed type joints. The plunge type joints have two important phenomena called the GAF(Generated Axial Force) and the PR(Plunging Resistance) derived from axial force to cause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problems of an automobile. Especially the PR is known as the basic cause of an idle booming phenomenon which generates automobile body vibrations and noise in a stopped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with “D”(Drive) mode, which make worse the riding comfort of an automobile. Therefore many manufacturers producing constant velocity joints have researched the way to reduce the PR of their products. In this paper, the dynamic model including the kinematic, contact and friction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PR of Cross Groove Joint(CGJ). The multi-body dynamic analysis of CGJ is conducted by using MSC.ADAMS. Consequently the developed dynamic model of CGJ is able to predict properly the PR and will be used to study design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