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ISO 요구사항 기반 정량적 협력업체 평가모델 구축 _반도체 공정에 한하여

        유제영,이익모,황용우,김영운,Yu, Je-Young,Lee, Ik-Mo,Hwang, Yong-Woo,Kim, Young-Woon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9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21 No.2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ask the contractors not only the supplier but also the contractors to take the same responsibilities if they did not observe industrial accident safety measures from 2019.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belongs to the representative disaster industry group in which the facility is directly located inside a closed space called clean room.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semiconductor industry group used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their suppliers. This study has developed a model for assessing suppliers by constructing a quantitative checklist item through th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laws and regulations. The evaluation model of the supplier set up through this study becomes the safety management standar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Furthermore, it is applied to the partner companies in the operation of ISO 14001, 45001, I would like to apply it as a measure of performance management for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트리 기반의 다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한 효율적인 혼잡 제어 기법

        유제영(Je-Young Yu),강경란(Kyungran Kang),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0 No.5

        혼잡 제어는 에러 제어와 함께 신뢰적 멀티캐스트의 핵심적인 기능이다. MTCP나 TRAMCC와 같은 기존의 트리 기반의 혼잡 제어 기법은 일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하여 설계되어 다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에 적용할 경우 몇몇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트리 기반의 다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위한 효율적인 혼잡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혼잡 윈도우 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전송률 제어기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수신자들의 처리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피드백 없이 에러 복구를 위한 피드백을 혼잡 제어를 위하여 이용하며, 동적으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는 ACK 타이머와 NACK 타이머 및 빠른 전송률 복구 기법 등을 통하여, 세션 내의 흐름들 간의 공평성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사용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세션 내의 흐름 간 공평성에 있어서 기존의 TRAMCC보다 효과적인 것을 보였으며, TCP-친화성, 응답성, 확장성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뢰적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인 GAM에 통합 구현하여 실험실 내 시험 네트워크 상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Congestion control is a key task in reliable multicast along with error control. However, existing tree-based congestion control schemes such as MTCP and TRAMCC are designed for one-to-many reliable multicast and have some drawbacks when they are used for many-to-many reliable multicast. We propose an efficient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TMRCC, for tree-based many-to-many reliable multicast protocols. The proposed scheme is based on the congestion windowing mechanism and a rate controller is used in addition. The feedback for error recovery is exploited for congestion control as well to minimize the overhead at the receivers. The ACK timer and the NACK timers are set dynamically reflecting the network condition changes. The rate regulation algorithm in the proposed scheme is designed to help the flows sharing the same link to achieve the fair share quick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using ns-2.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RAMCC in terms of intra-session fairness and shows good level of responsiveness, TCP-friendliness, and scalability. In addition, we implemented the proposed scheme by integrating with GAM that is one of many-to-many reliable multicast protocols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in a laboratory-wide testbed.

      • 다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한 혼잡 제어 기술의 비교 분석

        유제영(Je-young Yu),강경란(Kyungran Kang),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Ⅲ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한번의 전송으로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을 원하는 여러 수신자들의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번 전송함으로써 발생하는 대역폭의 낭비를 줄인다. 그와는 달리 혼잡 제어 기술은 어떻게 대역폭을 여러 사람들이 공평하게 나누어 사용할 것이며, 대역폭의 이용률을 최대화할 것인가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한다. 특히, 혼잡 제어 기술은 인터넷에서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혼잡 제어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은 플로우는 네트워크 사용의 불공평성과 혼잡으로 인한 네트워크 동작 중단(congestion collapse)을 초래한다[1]. 따라서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하는 데 있어서 핵심 기능 중 하나는 효율적인 혼잡 제어 메커니즘의 유무이며, 그 혼잡 제어 기법이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TCP와 공평하게 대역폭을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는가가 프로토콜 평가의 중요한 기준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대다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한 혼잡제어 기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특성을 밝히며, 각 기법들의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다대다 멀티캐스트 혼잡 제어를 위한 가장 접합한 방법을 알아본다.

      •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H324 프로토콜 지원을 위한 H.245 프로토콜의 구현

        유제영(Je-young Yu),이승익(Seungik Lee),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H.324는 일반 전화망을 이용한 영상 전화 및 회의용 터미널 시스템 규약이며, H.245는 H.324 기반 터미널 양단이 통신을 시작하거나 끝내기 위해 교환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로써, H.324 시스템의 제어 프로토콜의 역할을 담당한다. H.245 프로토콜은 H.324 뿐만 아니라 H.323 등에도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서 멀티미디어 통신에서는 빠질 수 없는 프로토콜 규약으로써 이를 준수하는 프로토콜 모듈들이 다수 개발되어 왔으며 지금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H.324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 환경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제한된 시스템 자원 등으로 인하여 여러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에 구현된 H.245를 그대로 적용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TU-T 영상화의 표준인 H.245를 준수하는 이동 통신 환경의 인터넷 폰 및 휴대전화에서의 멀티미디어 통신에 최적화된 제어 프로토콜 모듈을 설계, 구현하였다.

      • KCI등재

        메시지 기반 인터페이스 공동 개발을 위한 메시지 관리 시스템

        유제영(Je-young Yu),박진희(Jinhee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6

        대형 시스템은 각 컴포넌트가 여러 다른 개발자에 의하여 개발된다. 개발 과정에서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 관리의 효율성은 전체 개발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개발 초기 과정에서는 컴포넌트가 새롭게 정의되거나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컴포넌트의 새로운 정의나 변경은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의 생성이나 변경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변경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관련된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서로 다른 개발자들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개발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시지 관리시스템은 메시지 기반의 인터페이스 관리를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메시지에 대한 코드 생성을 통하여 구현의 편의성을 제공해 주며, 메시지 관리 시스템 내에 정의된 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설계 명세서(IDD)를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문서 자동 생성은 메시지 변경으로 인한 실제 인터페이스와 문서와의 불일치를 방지한다. 또한, 메시지 관리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의 각 컴포넌트 간 메시지를 관리함으로써 각 컴포넌트 간 메시지 흐름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는 컴포넌트간 메시지 흐름의 병목 현상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거나, 전체 시스템 성능의 조율을 지원하는데 응용할 수도 있다. In Large scale system, components are developed by many different developers. In such a development environment, efficiency of the development depends largely on effectiveness of interface management.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many components are newly defined or modified quite often. These definitions and modifications of components cause the change of interfaces between components. If changes of interfaces are not properly managed, many developers may implement components based on different version of interfaces. This causes decrease in efficiency of development. “Message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MDMS)” provides the means to cope with the inefficiency of unmanaged interface definitions and changes. MDMS automatically generates source code and Interface Design Description (IDD). The automatic generation of source code and IDD prevents the disagreement between code and documents. Furthermore, MDMS shows the overall view of message flow for a system. Based on this information, we can optimize the system identifying message bottleneck and apply to support for the performance tuning of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